▲연세대 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집단 휴진에 돌입한 6월 2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의료원 산하 세브란스병원에서 환자와 의료진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이정민
최근 <경향신문> 조사에 따르면, 대통령은 집권 2년 동안 공식적으로 '자유'라는 단어를 1000번 이상 사용했다고 한다. 한·미 정상회담이 열렸던 지난 4월 한 달에만 공식 메시지에서 '자유'를 184회 사용했다고 한다. 자유는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이것을 강조하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이다. 그러나 정작 많은 사람들이 이 자유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고 의문을 제기한다. 우리가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자유의 의미와 거리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여전히 언론들은 자유의 의미에 대해서 해석하고 있다.
이 자유는 정부의 각종 혁신 정책을 위한 중요한 기준 혹은 방향으로 활용되고 있다. 얼마 전 정부가 금년도 정부혁신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4대 혁신원칙으로 현장, 협업, 행동, 해결을 제시하였다. 혁신의 원칙으로 충분히 타당하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공식적인 혁신의 원칙보다 대통령이 반복하여 강조하는 자유가 실질적인 원칙으로 작용할 것이다.
권력의 언어는 평범하지 않다. 일상적인 대화의 언어조차도 일상적이지 않다. 하물며 개혁을 강조하며 사용되는 언어는 그 자체로서 권력이 된다. 권력의 언어는 혁신의 언어가 되어 합리적 논쟁의 과정이 없이 현장에 그대로 적용된다. 특정한 단어가 권력의 언어가 되는 순간 그것의 본뜻은 사라지고 현장의 정책은 왜곡된다.
여성가족부가 폐지 대상이 된 지 벌써 두 해를 넘어섰다. 언제 사라질지 예측할 수 없는 여성가족부의 비정상적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국가의 미래를 준비하는 연구개발(R&D) 예산은 부패의 온상으로 낙인 되었고, 예산은 대폭 삭감되어 연구실의 젊은 연구자들의 미래조차 불투명해졌다.
의료개혁을 명분으로 발표된 의대 학생의 급격한 증원은 병원의 진료체계를 무너뜨리고 환자들은 치료를 받기 위해 전국을 헤매고 있다. 100년 만에 간신히 광복된 조국의 땅으로 돌아온 독립군의 흉상은 육사에서 철거의 논쟁에 휘말렸다. 이 모든 것들이 혁신의 이름으로 발생하였다. 정부 조직이 멈추고, 미래를 위한 연구개발이 중단되고, 환자가 전국을 헤매고, 독립운동가의 명예는 손상되었다. 혁신이라는 외양을 걸쳤지만 그 결과는 정반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