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의 얼굴>
봄날의책
돌봄의 최전선에 있는 사람들이 가까이 있었지만, 나는 그들이 늘 희생당한다고 '착각'했다. 업무 외 부당한 요구인 김장을 담그고, 물건이 없어졌다는 이유로 도둑 취급을 받아도 할 일을 완수하고 퇴근했다는 이야기를 듣다가 탄식만 내뱉었다.
뿐더러 나 스스로 돌봄 노동을 신성하게 여겨야 한다는 모종의 압박이 있었는데, 어쩌면 그 일의 곡절을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으려는 핑계였을지도 모르겠다.
요양보호사를 신뢰하는 선한 어르신과 요양보호사를 이용해 먹는 수상한 어르신 사이에서 고초를 감내하는 직업군. 일곱 요양보호사의 일기를 엮여 펴낸 <돌봄의 얼굴>은 그 무수한 편견을 호쾌하게 걷어내는 에세이다.
책에는 돌봄 현장의 '맥가이버'이자, 생을 버텨낸 타인들이 지금의 삶을 충분히 지속할 수 있도록 동력이 되어 주는 프로들의 하루가 상세하게 펼쳐진다.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희생의 아이콘이 아닙니다'.
일곱 요양보호사들의 일기 쓰기 프로젝트를 기획한 옥희살롱은 그간 나이 듦, 질병 등을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의제화해 온 생애문화연구소다. 이들 연구소는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1년, '요양보호사를 위한 온라인 사진+글쓰기 워크숍'을 열었다. 고립이 일상화되던 시기, 요양보호사들이 노인들 곁에서 위기 속 일상을 어떻게 만들어가는지 기록하기 위해서다.
옥희살롱은 요양보호사들과 이후 후속 모임을 열어 글쓰기를 계속했다. 요양보호사들은 SNS에 매일의 생활을 담아 짧은 글과 사진을 업로드했고, 서로의 글에 댓글을 다는 행보를 이어갔다. 그렇게 돌봄노동에 종사해온 요양보호사들의 하루가 모여 책으로 나왔다. <돌봄의 얼굴>은 꽤 두꺼워 보이지만, 생활이 묻어나오는 글들이라 한달음에 읽을 수 있는 이야기다. 은근한 유머와 재미도 톡톡하다.
일곱 요양보호사들은 이력이 다르지만 '돌봄의 베테랑'이라는 점은 같다. 양로원과 요양원에서 15년 차 이사 일해온 김영희, 반려닭을 키우며 7년 차 요양보호사로 살아가는 68세 이분순 등 저자들은 대다수 60대 이상 여성이다.
그들이 쓴 일기에는 당시 글을 기록한 날짜와 시간이 적혀 있는데, 새벽이거나 자정을 넘겨 쓴 흔적이 상당하다. 그 안에는 사람과 사건과 말맛이 있는데, 특히 문장마다 '활력'이 있다.
"나이가 들면 치아가 안 좋아져 부드럽고 말랑거리는 음식을 좋아할 것이다, 란 생각은 나의 편견이었다는 것을 10년 이상 어르신 돌봄을 하면서 알았다. 보통 어르신들이 선호하는 음식은 고기, 생선이다. (중략) 부드러운 것만 드실 것이란 생각은 우리의 편견이고, 오이지를 오도독오도독 씹어 맛나게 드시는 어르신을 보면 좋아하는 음식은 잊어버리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돌봄의 얼굴> 정찬미 요양보호사의 글 중에서
어르신들의 유머와 사회생활
그들의 일기에서 어르신들은 납작하게 표현되지 않는다. 종일 누워 고립된 어른으로 획일화되지 않는다. 어떤 날엔 도움을 갈구하고, 어떤 날엔 생을 오래 살아낸 지혜를 발휘하거나 사려 깊은 면모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