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전달보다 커지면서 2018년 9월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사실 1990년 대 이후 많은 나라에서 금융의 신용창출이 제조기업보다는 기존 주거부동산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데 사용되었고, 이에 따라 부동산을 보유한 자산계층의 이해관계가 사회 내에서 큰 목소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를 의식한 정치권이 이들 계층을 위해 행동하는 것도 빈번하게 발견할 수 있는 현상이 되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는 다른 나라에 비해 그 정도가 훨씬 심하다.
이전 정부에서도 부동산 보유 자산계층의 이해관계에 정면으로 맞서지 못한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시절의 경우 팬데믹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극단적인 초저금리를 도입하지 않을 수 없었던 피치 못할 사정이라도 있었다면, 윤석열 정부 시절의 부동산 가격 폭등은 정부 스스로 2022년 이후 당시 진행되던 부동산가격 하락을 노골적으로 막고, 정책수단을 총동원하여 부동산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는 점에서 문제라 할 수 있다.
과연 향후 추가적인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가계부채의 증가를 막고 이에 따라 금융권의 신규 신용이 주거용 부동산 담보대출로 사용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수도권 부동산의 가격 상승을 막을 수 있을까? 그래서 금융안정을 유지할 수 있을까? 이제까지 윤석열 정부의 행태로 보아 쉽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문 정부 하반기부터 하락했던 수도권 부동산 가격은 최근 과거 수준을 뛰어넘어 평당 1억 원이 넘는 아파트가 강남 3구 전역에 등장하는 사태로 발전했다. 33평 국평 아파트 가격이 50억 원을 넉넉히 뛰어넘은 상황이 발생하기까지 했다.
윤석열 정부 초기 원희룡 국토부 장관시절에 진행된 '다주택자 규제 패러다임의 전환'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자. 2003년 1/4분기에만 다주택자 취득세 중과제도 완화(행안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배제 연장(기재부), 규제지역 다주택자 주담대 금지규제 해제 및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한 30% 적용(금융위), 규제지역 추가 해제(국토부), 보유주택 주담대 규제를 완하 하여 주택구입 시와 동일 기준 적용(금융위), 국민주택규모 장기 아파트 등록임대 복원(국토부), 재건축 안전진단 합리화 방안 시행(국토부), 재건축 안전진단 합리화 방안 시행(국토부), HUG 부동산 PF 보증확대 및 미분양 PF 보증 신설(국토부, 금융위), 표준건축비 현실화(국토부), 신규 매입임대사업자 2호 이상 등록 신청 시 등록 허용(국토부) 등의 셀 수 없게 많은 주택경기 활성화 대책은 도대체 무엇을 위한 것이었나?
윤 정부, 다주택자 우대 부동산정책 포기해야
2023년 말에 이르게 되면 가계대출의 70%가 특례보금자리론과 신생아특례대출 등 정책금융을 통해 공급되기까지 한다.
윤석열 정부는 금융안정과 거시경제안정을 위해 부동산경기 연착륙 정책을 폈다고 주장할지 모른다. 하지만, 윤 정부 초기 주택가격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은행 등 금융권은 그간의 과도한 이윤 창출에 기반한 자본 확충과 문재인 정부 시절 도입된 LTV 규제 덕분에 자본 부실화 가능성은 거의 없었다. 결국 윤 정부의 부동산 떠받들기 정책은 다주택자를 정치적 지지세력화하려는 목적에서 실행되었을 것이라는 추측 이외에는 어떠한 이유도 찾아보기 어렵다.
윤 정부의 집값 떠받치기는 결국 올 6월 말 기준 부동산금융 총규모 2881조 9천억 원을 쌓기에 이르렀다. 무엇 때문에 이토록 윤 정부가 집값 떠받치기에 열 올렸는지 이번 정기국회는 그 이유를 정색하고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금융기관의 가계에 대한 부동산 관련 여신(부동산 담보대출, 보금자리론 등 정책대출, 전세자금 보증, 주택연금 등)은 1424조 7000억 원에 달해 2022년 9월 말 대비 127조 1천억 원이 증가했다. 부동산 관련 기업여신(PF대출이나 사업자 보증 등)은 1085조 6천억 원으로 22년 9월 말 대비 11조 2천억 원이 증가했다. 부동산 관련 금융투자상품도 471조 6천억 원으로 147조 원 증가했다. (아래 <그림 2>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