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와 경북대학교 교수들이 공동 저술한 논문엔 2021년 2월 27일에 백신을 주입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이 논문 공동 저자에 한혜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과장과 연구원들이 등재되어 있다. 이는 입찰 이전인 2월에 농약을 주입한 것을 산림청이 사전에 알고 있었던 것을 의미한다.
조달청에 "입찰 이전에 용역 수행자를 내정하고, 실험까지 진행한 후 입찰해도 문제없는지?" 물었다. 조달청 관계자는 "분명 법을 위반한 것이고, 입찰의 공정성을 저해한 것"이라고 대답했다.
산림청은 의혹이 가득한 이런 실험 결과를 근거로 백신 검증 결과 재선충 치료 효과가 없다고 국회와 국민을 속이고 있다. 그동안 산림청이 재선충 예방에 사용해 온 일본 농약 아바멕틴은 화학약품이다. 그러나 백신은 생약이다. 날이 추운 2월에 생약을 주입한 것이 문제다. 용역 수행자와 산림청이 이미 결론을 짜고 실험한 게 아니라 하더라도, 실험 결과가 제대로 나올 리 없다.
지난 2023년 3월, 산림청 대변인(현재 서부지방산림청장)에게 입찰 이전에 백신을 구입한 연유를 물었다. 대변인은 백신 개발자인 대덕바이오가 백신을 주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백신 개발자인 성창근 교수에게 산림청 대변인의 해명이 사실인지 물었다. 성 교수는 강원대와 산림청의 문의조차 없었다고 대답했다.
산림청 대변인에게 다시 물었더니, 대변인은 자신이 개인적으로 대답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며 정식 문서로 접수해달라고 말을 바꾸었다. 소나무재선충 백신 검증에 대해 도대체 산림청은 무엇을 감추고 있는 것일까?
특히 산림청 대변인에게 실험 현장을 방문하여 내 눈으로 직접 보겠다고 수차례 요청했다. 그래야 그 실험 결과에 대해 모두가 인정 할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산림청은 백신이 효과 없다고 결론을 내린 후 현장의 모든 소나무들을 파기해 버렸다.
소나무재선충 백신 상용화에 산림청이 나서야
소나무 재선충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EU Legislation on Forest Plant Health: An Overview with a Focus on Fusarium circinatum'(2018년)에 따르면 현재 재선충이 확산된 지역은 미국, 캐나다, 중국, 일본, 대만, 포르투갈 등에 이른다.
▲미국과 캐나다를 비롯해 유럽, 중국, 일본, 대만, 멕시코 등에 재선충이 심각하게 확산 중이다.
EU
국경을 맞대고 있는 유럽의 경우, 재선충 확산을 심각하게 받아들여 EU차원에서 대응한다. 특히 위의 논문에 따르면, 재선충이 계속 확산된다면 2030년까지 피해액이 220억 유로(한화 32조 5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국경을 맞대고 있는 유럽은 재선충이 확산되면 2030년까지 32조원이 넘는 피햬를 예상하고 있다. 재선충 치료제가 시급한 상황이다.
EU
소나무재선충 확산은 심각한데, 세계 어느 나라도 치료제가 없다. 그런데 재선충에 감염되었으나 백신으로 치료되어 건강하게 살아 있는 나무들이 존재한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 이미 다양한 실험 현장에서 입증했다. 백신 주입량과 횟수 조절 등의 방법만 조금 더 개선하면 소나무재선충 치료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고, 농약 송홧가루와 농약에 오염된 잣나무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켜낼 수 있다.
성창근 교수는 2005년 재선충 연구를 시작하여 그동안 재선충 관련 논문을 국외 SCI급 저널에 무려 34편이나 발표했다. 이를 토대로 국내 숲에 사는 곰팡이균에서 재선충 천적 백신을 배양해 친환경 백신을 세계 최초로 만들어 냈다. 만약 국가가 백신의 상용화를 위해 함께 한다면 전 세계 소나무를 살릴 수도 있다. 소나무가 전멸되기 전에 소나무를 살리기에 국가가 적극 나서야 할 때다.
▲성창근교수가 해외 학회에 발표한 재선충 백신 관련 논문
성창근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