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암사 터에서 찍은 사진.
김종성
김 여사가 관심을 표시한 사리구의 주인공들은 석가모니와 더불어 지공선사와 나옹선사다. 이들은 새로운 왕조의 개창에 영향을 준 인물들이다. 조선 건국의 멘토인 무학대사가 스승으로 모신 스님들이다.
위 성명에 언급된 경기도 양주시 회암사는 인도 승려인 지공선사가 고려 공민왕의 아버지인 충숙왕 때인 1328년에 건립했다. 이 해는 무학대사가 태어난 이듬해였다. 이 당시 고려에 체류한 지공선사가 대궐 같은 이 사찰을 건립했다.
훗날 이곳에 세워진 무학대사비에 따르면, 노비 어머니의 아들로 태어나 17세 때 순천 송광사로 출가한 무학대사는 26세 때인 1353년에 몽골제국으로 유학가 3년간 공부했다. 이때 모신 지공선사와 나옹선사(고려인)는 영향력이 막강했다. 고려 불교계도 이 영향권하에 있었다. 지공의 제자인 나옹은 훗날 공민왕의 왕사(王師)가 됐다. 이런 승려들의 제자가 된 것이 무학대사의 앞날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무학대사비에는 지공대사가 몽골제국에서 무학을 처음 만났을 때 했다는 한마디가 적혀 있다. 이에 따르면, 지공은 처음 만난 무학에게 "고려인 모두가 죽겠구나"라고 말했다. 대단한 제자가 들어왔다는 말을 그렇게 했다.
그 뒤에 만난 나옹선사도 무학에게 감탄했다. 남의 도움을 빌려 깨닫는 방식인 학(學)을 거부하고 자기 내면을 주체적 방식으로 성찰하는 방식인 무학(無學)을 추구하는 이 제자가 식사 공양도 거른 채 선정에 빠진 모습을 보고 나옹선사는 "너 죽었냐?"라고 물어봤다고 한다.
29세 때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무학은 36세 때 모교인 송광사의 주지가 됐다. 공민왕의 아들인 우왕시대 초반에 나옹선사가 입적한 뒤로는 무학이 자연스럽게 고려 불교계 지도자로 떠올랐다.
우왕은 그에게 왕사 자리를 제안했지만 그는 고사했다. 고려의 운명이 다해 가는 상황에서 그는 이 왕조와 깊은 인연을 맺지 않았다. 서산대사가 지은 <설봉산 석왕사기>에 따르면, 무학은 고려 멸망 8년 전인 1384년 이 사찰에서 이성계가 장차 왕이 되리라는 해몽을 했다. 왕이 되리라는 해석을 했다는 이유로 이 절은 석왕사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그런 뒤 무학은 조선왕조 창업의 길로 나아가고 한양 천도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시간 걸리더라도 영구 반환 추진해야
▲5월 19일 미국 보스턴미술관에서 소장한 '은제도금 라마탑형 사리구'의 재현품이 경기도 양주시 회암사지에서 열린 '회암사 사리 이운 기념 문화축제 및 삼대화상 다례재'에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공선사와 나옹선사는 각각 그 자체로 조명돼야 할 역사적인 수행자들이지만, 한국 역사에서는 왕조 창업의 멘토인 무학대사의 스승이라는 이미지가 훨씬 강하다. 이들은 고려왕조가 문을 닫고 새로운 나라가 세워지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그림자를 남겼다.
무학은 노비 어머니의 아들로 태어났기 때문에, 몽골제국 유학을 갖다 온다 해도 불교계 지도자로 부각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런 그가 우왕으로부터 왕사직을 제안받은 것과 이성계의 멘토가 된 것은 그 자신의 수행과 노력에도 기인하지만, 거물급 승려들이 배경에 있었던 것에도 크게 기인한다.
지공과 나옹의 도움을 받은 승려가 고려왕조를 무너트리고 조선왕조를 세우는 과정에서 커다란 역할을 했다. 그러므로 조선왕조 창업의 정당성 여하를 떠나 지공과 나옹은 한국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할 수밖에 없다.
그런 두 선사의 사리가 봉안된 사리구를 제자리에 돌려놓는 것은 한국 역사를 바로잡는 일이 된다. 이 유물이 식민지 한국 불교의 의사와 무관하게 일본인들의 손에 넘어간 뒤 보스턴미술관에까지 가게 됐으니, 이것을 원래 자리에 돌려놓는 것은 식민지배 역사를 청산하는 일이 된다.
이를 일시 대여 형태로 국내에 들여오고 대한민국 정부가 미술관에 대한 반환을 보증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 미술관이 불법 약탈 사실을 파악하지 못한 선의의 취득자라면,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치르고라도 사리구를 돌려받는 게 이치에 맞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영구 반환을 추진해야 할 사안이 김건희 여사나 윤석열 정부의 이해관계에 따라 졸속으로 처리되는 일만큼은 피해야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