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27일 위의 사진과 동일한 장소임에도 단 5개여월 사이에 재선충 감염목이 급격히 증가했음이 보인다.
최병성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를 잘라 비닐로 덮어 놓으면 마치 재선충을 방제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시간이 조금 흐르면 또다시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이 나타난다. 훈증은 재선충 방제가 아니라 감염목을 잘라 비닐로 덮어 일시적으로 재선충 감염목을 우리 눈에 안 보이게 '눈 가리고 아웅'한 것에 불과하다. 이렇게 훈증으로 반복해 소나무를 벌목해내면 결국 소나무는 전멸하고 숲에 아무것도 남지 않게 된다. 훈증 방법은 죽은 나무 감추기일 뿐, 올바른 방제가 아니다.
훈증 방법이 왜 소나무재선충병을 더 확산시키는 것일까?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나무를 잘라내 빈 공간이 커지면 숲에 바람이 잘 통하게 된다. 재선충을 옮기는 솔수염하늘소가 바람을 타고 더 멀리 이동하며 재선충을 확산시키기 좋은 숲이 되는 것이다.
둘째는 나무를 잘라내 빈 공간들이 많아지면 숲에 온도가 올라간다. 갑자기 생육 환경이 달라진 소나무들의 수세가 약해지며 재선충에 더 취약해지는 것이다.
산림청이 숲가꾸기라며 활엽수를 베어내고 소나무만 남겨두는 작업을 전국적으로 벌여왔다. 울창했던 숲에 재선충 감염목 또는 활엽수들을 제거하니 휑해진 산림 토양에 햇볕이 강하게 들어온다.
벌목으로 텅 빈 공간으로 햇볕이 쏟아져 들어오는 산림 토양의 온도를 열화상카메라로 측정해 보았다.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최고 온도가 80도까지 측정되었다. 다른 온도계로 확인해봤다. 역시 70도가 넘는다. 동일한 날, 같은 시간대에 산에서 내려와 뜨거운 햇살이 비치는 아스팔트 온도를 측정하니 56도에 불과했다.

▲훈증과 숲가꾸기 등으로 나무를 잘라 빈 공간이 생기면 토양 온도가 급상승한다.
최병성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을 잘라내는 훈증과 숲가꾸기로 숲에 빈 공간이 생기면 뜨거운 햇살이 산림 토양에 쏟아져 들어오며 온도가 올라간다. 소나무가 병들 수밖에 없는 현실을 만드는 것이다.
소나무재선충병이 확산되는 이유는 고온과 가뭄 때문이다. 기후이상으로 대한민국 전체 온도가 상승되고 있다. 여기에 훈증과 숲가꾸기로 나무들을 베어낸 숲의 온도는 더 급격히 상승된다. 산림 토양은 메말라지며 소나무의 생육 환경이 급격히 악화된 것이다.
소나무 농약 주입은 효과 있을까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을 잘라 훈증 해놓은 곳에 살아있는 소나무마다 명찰을 달고 있다. 소나무에 구멍을 뚫고 재선충 농약을 주입했다는 표시다.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을 잘라 2017년과 2023년 훈증해 비닐로 덮고, 주변에 남은 소나무들에 2024년 농약을 주입하고 명찰을 달았다. 그러나 재선충 예방 주사를 맞았지만 죽어가는 소나무들을 볼 수 있다.
최병성
명찰을 두 개 달고 있는 소나무가 눈에 들어왔다. 2017년과 2024년에 농약을 주입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이곳은 오래전부터 소나무에 농약을 주입하고 감염된 소나무들을 베어내 훈증하며 열심히 관리해 온 곳이다. 그러나 재선충은 더 확산되며 소나무가 전멸 중이다.

▲재선충 농약을 주입했다는 명찰을 두 개 달고 있다. 2017년 부터 재선충 농약을 주입하며 관리해 온 곳임을 의미한다.
최병성
포항의 도로 옆에 재선충으로 죽어가는 거대한 소나무들을 발견했다. 소나무 아래 서 보았다. 2024년 재선충 예방 주사를 놓았다는 명찰이 달려있다. 그러나 현재 재선충에 감염되어 죽어가고 있었다. 우측에 잎을 다 떨군 소나무는 이미 죽은 지 오래되었음을 의미한다. 소나무 기둥 아랫부분을 살펴보았다. 놀랍게도 수십 개의 구멍들이 숭숭 뚫려 있다. 재선충을 예방한다며 이미 오래전부터 구멍을 뚫고 농약을 주입했음에도 재선충에 감염되어 죽은 것이다.

▲거대한 소나무들이 재선충 예방 주사를 오랜 기간 맞아왔지만, 재선충에 감염되어 죽어가고 있다.
최병성

▲소나무 기둥엔 그동안 재선충 예방 주사를 맞은 구멍들이 숭숭 뚫려 있다.
최병성
재선충 치료 백신이 있다
여기는 제주도 월령리에 있는 소나무 숲이다. 2016년 사진에 따르면, 분명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였다. 그러나 8년이 지난 현재까지 잘 살아 있다. 재선충 백신을 맞았기 때문이다. 재선충에 감염되면 100% 고사한다던 산림청 주장이 틀린 것이다.

▲2016년 재선충에 감염되었던 소나무가 백신을 맞고 지금까지 건강하게 살아 있다.
최병성
2016년 제주도의 백신 실험 현장 사진을 보자. 사진 속 좌측 뒤편에 서 있는 사람이 현재 임상섭 산림청장으로, 2016년 실험 당시 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 과장이었다. 가운데 인물이 당시 병해충과 사무관으로 현재 정철호 서부지방산림청장이다. 그리고 주사기를 들고 재선충 주입을 준비하고 있는 인물이 현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변해충연구과 한혜림 과장이다.

▲2016년 제주도에 백신 실험 현장. 현재 임상섭 산림청장과 정철호 서부지방산림청장과 한혜림 국립산림과학원 과장이 직접 재선충을 주입하며 실험에 참여했고, 그 소나무들이 살아 있다.
성창근
백신 개발자인 성창근 교수가 소나무에 백신을 주입한 후, 산림청이 소나무 한 그루당 3만 마리의 재선충을 투입했다. 8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건강하게 살아 있다. 백신이 재선충을 치료해냈기 때문이다. 당시 실험 현장에 참여했던 임상섭 산림청장과 한혜림 과장이 누구보다 이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럼에도 산림청은 재선충에 감염되면 100% 고사한다고 주장한다.
지난 2022년 2월, 국립산림과학원 박현 원장, 한혜림 과장과 5명의 산림과학원 연구원들이 제주도 월령리 현장을 다시 찾아왔다. 2016년 한혜림 과장이 3만 마리의 재선충을 직접 주입했던 소나무들이 지금까지 살아있음을 국립산림과학원장과 한혜림과장과 연구원들이 직접 확인했다.

▲2022년2월 박현 국립산림과학원 원장과 한혜림과장과 연구원들이 제주도 실험 현장을 찾아와 2016년 재선충 3만마리를 주입하고도 살아 있는 소나무들을 확인하고 있다.
대덕바이오
박현 원장은 재선충을 주입하고도 6개월 이상 살아있다는 것이 큰 의미가 있다며 이 소나무들 중 10그루를 표본으로 골라 번호표를 붙이고, 각 나무에서 가지를 잘랐다. 소나무 가지에 백신이 아직 살아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동일한 시료를 각 10개씩을 국립산림과학원과 성창근 교수가 각각 가져가 분석을 했다. 성창근 교수는 10그루의 소나무 가지 중 7그루에서 백신이 아직 살아 있음을 확인했다. 그러나 국립산림과학원은 동일한 소나무 가지를 가져갔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묵묵부답이다.
지난 2023년 봄, 필자가 직접 제주도 월령리 현장을 찾아갔다. 3만 마리의 재선충 주사를 맞고도 살아 있는 소나무들을 내 눈으로 직접 확인했다. 산림청이 번호를 붙인 10그루의 소나무 가지를 채취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이 표본으로 붙여 놓은 10그루 소나무 가지를 잘라 2016년 주입한 백신의 존재 여부를 확인했다.
최병성

▲제주도 백신 실험 현장 10그루 소나무에서 10개 샘플을 채취하여 국립공원공단과 성창근 교수에게 백신 존재 여부를 분석 의뢰했다.
최병성
정확한 분석을 위해 성창근 교수와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 두 곳에 분석을 의뢰했다. 국립공원공단의 분석 결과 10그루 중 8그루에서 백신이 확인되었다.

▲2016년 소나무에 주입한 백신이 7년이 지난 지난 2023년에도 소나무 가지에 살아 있음이 확인되었다.
천적백신
이뿐 아니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 한태만 박사팀은 지난 2021년 경주 남산 국립공원 일대에 실험 구역을 정하고 성창근 교수가 개발한 천적 백신의 효과를 검증했다. 실험 결과, 백신이 재선충 '예방'뿐 아니라 재선충에 감염되었던 소나무가 '치료'됨도 확인했다. (관련 기사:
온 국민 농약 흡입 방치... 산림청이 은폐한 소나무 주사의 실체 https://omn.kr/239hu)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 한태만 박사는 백신 실험 결과 재선충 예방은 물론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도 치료됨을 확인했다.
한태만
문제는 산림청이다. 산림청은 백신이 효과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보공개를 통해 산림청의 백신 실험 과정을 확인해 보았다. 산림청이 조달청을 통한 백신 용역 입찰은 4월30일이고, 계약은 5월10일이다.
그런데 용역 수행자인 모대학 관계자가 백신을 구입한 날은 2월 22일이다. 백신은 나무 안에서는 수년을 살 수 있지만, 플라스틱 통 안에서 약효 유효 기간은 한 달에 불과하다. 의혹이 생기는 지점이다.
▲백신 실험을 위한 산림청의 계약서는 2022년5월10일인데. 용역 수행자인 모 대학의 백신 구입일은 2월22일이다.
산림청
지난 36여 년간 1조 5000억 원을 쓰고도 재선충이 전국으로 더 확산되고 있다면, 이는 지금껏 산림청이 썼던 방제 방법이 잘못됐음을 확인한 셈이다.
산림청이 진정 소나무를 살리기를 원한다면, 백신 개발자와 함께 더 효능 좋은 백신이 되도록 노력함이 정부 기관의 마땅한 역할이 아니었을까?
전국의 소나무들이 재선충으로 죽어가고 있다. 서울도 재선충의 심각한 위협에 놓여 있다. 지금처럼 재선충 방제를 산림청에 맡겨둔다면 대한민국 소나무의 전멸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