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찬 광복회장이 15일 오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 기념관에서 광복회, 56개 독립유공단체 주최로 열린 제79주년 광복절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유성호
결국 정부와 광복회 등 독립운동단체의 광복절 기념식이 따로 열렸고 이종찬 광복회장은 기념식에서 "최근 진실에 대한 왜곡과 친일사관에 물든 저열한 역사인식이 판치며 우리 사회를 혼란에 빠트리고 있다. 독립운동가들의 후손이 모여 독립정신을 선양하고자 하는 광복회는 결코 이 역사적 퇴행과 훼손을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라고 통탄의 마음을 표현하게 된다.
광복회를 비롯 독립운동단체 56곳이 따로 마련한 기념식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터져 나왔다. 굳이 역사에 정치를 끌어들이고 독립기념관장 인사마저 이념전쟁의 자리로 만든 정부가 자초한 탓이다.
일본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과정에 한일 양국이 '강제동원' 표현 삭제에 합의한 사실이 알려졌다. 우리 정부 부처인 국가유산청이 일본 정부의 사도광산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와 관련해 '강제동원' 표현을 명확히 요구해야 한다는 의견을 윤석열 정부의 외교부에 공식적으로 전달했음에도 묵살당했다고 한다. 윤석열 정부가 외교와 역사를 포기한 것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헌법에 담긴,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미
기미년 3‧1운동은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명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건국의 초석이 되는 독립운동이다. 3‧1운동은 천도교, 불교, 기독교 등 종교계와 학생, 시민 등의 참여를 통해 꽃피워진 민족사적 항일 독립운동이다. 3‧1운동의 성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건립되었고, 마침내 광복으로 이어지게 된다. 3·1운동은 종교와 전 민족이 모두 함께 혼연일체가 되어 일으킨 민족사적 일대 혁명이었다.
3·1운동은 1919년 3월 1일 서울의 파고다 공원과 태화관을 비롯하여 전국 동시다발로 이뤄진 민족 최대의 독립운동으로, 그 뒤 1년여 동안 계속된 국내외의 항일 민족독립 운동을 일컫는 말이다. 3·1운동은 종교와 이념, 계층, 지역, 남녀노소를 초월하여 이뤄진 항일 독립운동으로, 초기 운동 주체가 종교인들이기 때문에 종교사적 의의가 크고 '대한민국'이라는 민주국가를 출발시킨 '3·1혁명'으로도 여겨지기 때문에 정치사적 의미 또한 매우 크다.
3·1독립선언서에서 천명한 민주공화정 이념은 임시정부를 통해 국호를 '대한민국'을 결정하고, 헌법에 해당하는 '대한민국 임시헌장'(10개조)을 제정하여 '민주공화제'를 채택하였다.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하는 나라가 수립 된 것이다.정부조직은 입법부로 '임시의정원'을 두고, 행정부로서는 '국무원'을 둔다. 다만 사법부는 복국을 완성할 때까지 생략하여 미루어두기로 하였다.
황제국가인 '대한제국'이 '백성이 주인인 나라' '대한민국'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항일독립운동, 3·1혁명과 임시정부 그리고 대한민국 수립은 되돌릴 수도 되돌리기도 어려운 역사적 사실이다. 이런 사실을 되짚어야 하는 작금의 현실이 한탄스럽기만 하다.
역사왜곡, 단호한 대응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