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7월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신임 지도부 초청 만찬에서 국민의힘 한동훈 신임 대표와 함께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 연합뉴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과 갈등 국면마다 언론을 활용해 전세를 반전시킨다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자신에게 유리한 정보를 언론에 흘려 불리한 국면을 뒤집거나 정치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동원하고 있다는 해석입니다. 대통령실에선 한 대표의 언론 플레이에 불만이 많지만 마땅한 대응책이 없어 속앓이만 하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정치권에선 특수부 검사 시절 언론을 자주 이용해온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정치판에 들어와서도 경쟁하듯 답습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른바 '4차 윤한 갈등'을 촉발한 한 대표의 김경수 전 경남지사 복권 반대 입장은 한 보수언론의 보도로 알려졌습니다. 여권 인사들은 한 대표 측근의 전언 형식을 띤 이 보도가 윤 대통령과 차별화를 목적으로 기획된 언론 플레이라고 의심합니다. 한 대표가 복권에 반대한다는 견해를 대통령실에 그대로 전하면 될 것을 언론을 통해 대중에 알려 보수층 지지 등 정치적 효과를 노렸다는 해석입니다. 파문이 커지자 한 대표가 "제 뜻은 충분히 전달됐다"고만 한 것도 전형적인 치고빠지기 전략으로 파악합니다.
한 대표는 앞서 '1차 윤한 갈등' 때도 언론을 활용해 위기를 넘겼습니다. 지난 1월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당시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에 '국민 눈높이'를 거론해 대통령실로부터 사퇴를 종용받자 이런 내용을 종편 등 언론에 흘리며 역공에 나섰습니다. 이에 윤 대통령의 노골적인 당무 개입이라는 비판이 쏟아졌고, 결국 대통령실은 꼬리를 내렸습니다. 당시 여권에선 한 대표 측이 윤 대통령의 약점을 알고 치밀하게 계획한 도발이라는 평이 많았습니다.
한 대표의 언론 플레이는 지난달 정점식 전 국민의힘 정책위원장 교체 과정에서도 두드러졌습니다. 친윤과 친한 세력 간의 힘겨루기가 진행되는 도중 정진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한 대표에게 정 전 위원장 유임을 요청했다는 언론 보도가 무게중심을 친한쪽으로 기울게 했습니다. 대통령실의 당무 개입을 문제 삼은 한 대표 측의 일격에 용산이 당했다는 반응이 뒤따랐습니다.
'특수부 검사' 출신 윤석열·한동훈 언론 플레이, 정치 후퇴시켜
한 대표는 특수부 검사 때 언론을 수사에 적극 이용해 '언론 플레이의 달인'이라는 별명이 붙었습니다. 수사에 유리한 쪽으로 기사가 나오도록 수사 상황을 언론에 흘리고 심지어 기사 방향까지 제시했다는 게 당시 검찰 기자들의 전언입니다. 피의사실 공표에 휘말리지 않도록 선문답을 했던 이전의 검찰 선배들과는 달리 거리낌이 없었다고 합니다. 한 대표가 검사장 때 '채널A 검언유착' 의혹에 휘말린 것도 그런 연유입니다. 법조계에선 한 대표가 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근무하면서 언론 대응 기법을 습득했을 거라는 얘기가 돕니다.
윤 대통령도 검찰 시절 한 대표 못지 않게 언론 플레이에 능숙했습니다. 검찰총장 당시 추미애 법무장관과 충돌할 때마다 이런 사실을 언론에 알려 상황을 자신에 유리하게 이끌었습니다. 검찰총장 사퇴와 대선 출마 때도 언론을 이용해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해왔고, 이런 행태는 대통령이 된 후에도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여당 전당대회 과정에서 한 대표의 '김건희 문자 읽씹' 논란은 윤 대통령과 무관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런 윤 대통령이기에 한 대표의 언론 플레이 행태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전문가들은 특수부 검사 출신인 윤 대통령과 한 대표의 언론 플레이가 정치를 후퇴시키고 정쟁화를 키우는 요인이라고 지적합니다. 공적이고 투명한 소통과 토론을 통한 갈등 해결이 정치의 본령인데 언론을 통한 선택적 정보흘리기는 이를 어렵게 한다는 겁니다. 정치 경험이 없는 두 사람이 정치를 올바로 배우지 않고 검찰에서 익힌 안 좋은 행태를 그대로 따라한 결과라는 비판도 있습니다. 이와함께 특정 정치인의 정략적 의도에 동조하고 유착하는 일부 언론의 행태도 비판 받아 마땅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