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더조 매장에 붙어있는 특별 안내판. "김밥을 찾는다면 직접 직원에게 문의해~" 직원이 창고에서 재고를 확인하고 갖다준다. 최대 2개까지.
최현정
이런 고급 식당들 말고도 한식에 대한 호감이 높아진 걸 실감하는 곳은 일반 그로서리(식료품점)에서다. 환경을 생각하는 젊은 층이 주 고객인 트레이더조(미국 슈퍼마켓 체인)에서 냉동 김밥은 최대 히트 아이템이다. 운 좋게 재고가 있어도 단 2개만 살 수 있다. 그밖에도 Tteok Bok Ki(떡볶이), Bulgogi(불고기), Pa jeon(파전), Jumeokbap(주먹밥), Gochujang(고추장) 등등에 인쇄된 Korean란 단어는 안전, 청결, 맛, 품질을 보증하는 인증서와도 같다.
미국에만 584개 매장이 있고 회원 수가 1억 3200만 명의 코스트코도 마찬가지다. 냉동식품 코너에 비치된 다양한 한국 Mandu(만두) 종류는 금세 재고가 바닥나고 치킨이나 즉석밥, 라면의 인기도 꾸준하다.
내 '최애'는 오뚜기 전복죽인데 떨어지지 않게 늘 한 박스씩 챙겨 놓는다. 최근엔 Rapokki(라볶이)를 비롯해 Crispy corn dog(크리스피 콘 도그 - 한국식 핫도그) 등 새로운 제품들이 쉴 새 없이 등장 중이다. 몇 년 전만 해도 무조건 한국 제품이면 구입하곤 했는데 이젠 그럴 필요도 없이 다양한 제품들을 만나고 있다.
소비자로서 아쉬운 물건은 8.99달러(1만 2000 )에 팔리고 있는 1.2kg짜리 김치제품이다. 매번 살 때마다 너무 시고 물러서 처음 제품을 맛보는 미국 소비자들에게 잘못된 선입관을 심어줄까 걱정된다.
김치는 이젠 누구나 인정하는 대표적인 한국 음식으로, 건강식으로도 인기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한국의 대미 김치 수출량은 6600톤으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20% 증가했다. 수출액 역시 2410만달러(약 330억 원)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18.9% 늘었고, 이는 역대 최고치다. 실제로 동네 벼룩시장에서 조차 조그만 유리병에 담아 파는 김치를 소중히 사가는 이들을 보고 있노라면 그 인기가 실감된다.
지난 1월 25일, <NPR 뉴스>는 전 세계 입맛을 사로잡고 있는 한국 음식에 대해 리포팅했다. 직접 서울의 식당들을 취재한 기자는 BTS와 블랙핑크, <기생충>과 <오징어 게임> 같은 노래, 영화, 드라마에 이르는 한국 문화의 인기가 한국 음식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 소비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분석한다.
지난달 뉴저지주 뉴어크(Newark)서 열린 아이유 콘서트에서 느낀 경험도 다르지 않았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티켓팅에 성공해 공연장을 가득 메운 관객들은 한국어로 된 모든 노래를 따라 불렀다. 춤추고 환호하던 팬들은 떼창도 한국어로 했다.
neoye geu han madi maldo geu useumdo 너의 그 한 마디 말도 그 웃음도
naegen keodaran uimi 나에겐 커다란 의미
neoye geu jageun nunbitto 너의 그 작은 눈빛도
sseulsseulhan dwinmoseubdo 쓸쓸한 뒷모습도
naegen himgyeoun yaksok.... 나에겐 힘겨운 약속
연음과 높낮이를 정확히 맞춰 한국어로 노래를 부르는 이들에게 도대체 한국은 어떤 의미일까 싶었다. 그들에게 한국 음식은 신비롭고 세련된, 독특하고 친근한 그 문화의 맛이 아닐까? 할리우드 영화를 보고 팝송을 흥얼거리면서 햄버거와 피자에 열광하던 그 옛날 나처럼 말이다.
▲지난 7월 15일 뉴어크에서 열린 아이유 콘서트. 1만 6755석이 가득찼다.
최현정
30년 한식당이 문 닫은 이유
지난 2022년 뉴욕 플러싱에서 유명했던 30년 역사의 한식당이 뉴욕시로부터 강제 퇴거 조치를 당했다. 1992년 처음 문을 연 후 넓은 공간과 넉넉한 주차장 덕에 한인들의 단체 모임 장소로 애용되던 곳이다. MBC 무한도전팀이 뉴욕에 왔을 때 식사를 한 곳이기도 하다.
늘 문전성시였던 유명 한식당이 문을 닫은 원인은 노동법 위반. 보도에 따르면, 2015년 뉴욕 법원은 직원의 초과근무수당 미지급 등의 이유로 이 식당에 267만 달러(36억 6000여 만 원) 지불 판결을 내린다. 이에 불복한 업주는 강제 퇴거를 피하기 위해 파산보호 신청을 했고 이후 5번에 걸쳐 파산보호 신청 자진철회와 재영업, 파산을 반복했다. 결국 2021년 법원의 파산보호 신청금지 명령에 따라 다음 해 강제 퇴거당한 것이다.
뉴욕에 사는 많은 한인들에게 추억의 장소였던 크고 오래된 한식당의 폐업은 충격이었다. 하지만 식당 운영 과정에서 생기는 법률적인 문제, 특히 노동법에 대한 문제는 미국에서 비즈니스를 하는 이들에겐 간과해선 안될 사항이다. 어쩌면 지금 미국에서 각광받고 있는 분야의 오너들에겐 이 오래된 식당의 번영과 퇴거가 반면교사다. 한국의 뛰어난 맛과 높은 문화적 자부심으로 승부하되 준법정신과 선진 마인드, 지역 사회에 대한 기여 등은 또 다른 필수 조건이 된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