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월 만에 전국 검찰청 순회 간담회를 재개한 윤석열 검찰총장이 2020년 10월 29일 오후 대전지방검찰청에서 지역 검사들과 간담회를 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왼쪽이 강남일 대전고검장, 오른쪽이 이두봉 대전지검장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검찰총장이던 시절, '검찰 특수활동비' 사용에는 너무 많은 문제가 있었다.
법령과 지침을 위반하여 거액의 특수활동비를 현금화했다. 그리고 이 현금을 검찰총장 비서실이 관리하며 사용했다. 그렇게 돈 관리를 하던 실무자들은 고스란히 용산 대통령실로 갔다.
그뿐이 아니다.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이뤄지는 무리한 수사에 검찰 특수활동비가 지원됐다는 의혹이 있다. 그리고 그렇게 진행된 수사로 인해 국민의 인권이 침해당했다.
구체적인 단서가 드러난 곳은 대전지검이다. 대전지검은 월성원전 수사를 담당했던 곳이다. 이런 정황이 드러난 이유는 대전지검이 평소에 특수활동비를 많이 쓰는 검찰청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흔히 '특수부 사건'으로 불리는 기획수사가 많은 곳이 아니었던 것이다.
그런데 월성 원전 수사가 진행되던 무렵 대전지검의 특수활동비 지출 액수가 급증했다. 그래서 '윤석열 특활비'의 단서를 대전지검에서 찾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월성 원전 사건은 문재인 정부 시절, 노후 원전인 '월성1호기'의 폐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경제성 조작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된 사건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자신이 정치를 시작하게 된 계기 중 하나로 '월성 원전' 사건을 언급하기도 했을 정도이다.
월성 원전 수사 당시 3~4배 증가한 대전지검 특활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