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7년 8월 29일 자 매일신보에 '내지 가는 다사들'이라는 기사에 실린 사진. 가장 오른쪽이 이회광이다.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
일제가 조선왕조와 불교계의 틈을 비집고 들어오는 구한말에 일제에 넘어간 대표적 승려가 이회광이다. 법호가 회광(晦光)인 그는 철종 임금 때인 1862년 강원도 양양에서 태어나고 19세 때인 1881년에 양양 신흥사에서 출가했다.
그가 두각을 나타낸 것은 대한제국 후반기다. '동국대 총장'이 된 것도 이때다. 동국대 홈페이지의 '대학 안내' 코너에서 확인되듯이, 그가 이 학교의 전신인 명진학교 교장으로 취임한 것은 45세 때인 1907년이다. 그는 이듬해에는 불교 종단도 만들었다. <친일인명사전> 제3권 이회광 편은 "1908년 원종(圓宗)의 종정을 맡았다"고 말한다. 이 외에도 해인사 주지, 불교진흥회 회주, 중앙교무원 이사 등의 이력을 쌓았다.
일본의 영향력이 강해지던 시기에 교단에서 자리를 잡은 이회광은 일본의 힘을 빌려 영향력을 강화하는 노선을 걸었다. 이 과정에서 그는 '불교계 이완용'의 모습을 보여줬다. 한국 불교를 일본 불교에 병합시키기 위한 작업을 거듭거듭 시도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 제4-14권은 "1910년·1920년·1926년 세 차례에 걸쳐 조선불교와 일본불교의 합병을 시도하여 조선불교를 일본불교에 예속시키려" 했다고 설명한다.
이완용이 나라를 넘기는 한일병합조약에 서명(1910.8.22)한 직후, 이회광도 '모방범죄'에 나섰다. 그는 불교를 넘기는 조약을 추진했다. <친일인명사전>은 이렇게 설명한다.
"같은 해 10월 일본으로 건너가 조동종 관장인 이시카와 소도우와 회담하고 조선 원종과 일본 조동종의 연합조약을 맺었다. 귀국 후 각 도의 주요 대사찰을 방문해 조약에 찬성한다는 날인을 받고자 했으나, 원종 종무원에 의해 조약 전문(7개조)이 통도사 승려들과 전국 승단에 알려지면서 매종역조(賣宗易祖)의 망동이라고 강력한 비판을 받았다."
이회광은 이완용의 '매국'에 상응하는 '매종'을 시도했다. 이 때문에 '종단을 팔아먹고 근원을 바꿔치기'하는 망동을 범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는 10년 뒤인 1920년에는 도쿄의 일본 정부를 움직여 한일 불교를 통합하려 했다. 이때는 한국 불교계의 반발에 직면한 조선총독부가 이회광을 외면하는 바람에 일이 무산됐다. <친일인명사전>에 따르면, 총독부 종교과장 나카라이 기요시가 "조선 사찰은 사찰령에 의해 조선총독이 결정할 것이므로 아무리 본국 대신에게 진정서를 제출해도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결과다.
이회광은 1926년에는 일본과 조선의 일치를 꾀한다는 일선융화를 내세워 불교 통합을 추진했다. 이때는 통합 건의서를 일본 내각에 제출하기 위한 운동을 전개했다. 그해 5월 12일자 <동아일보> 2면 우상단은 "그 건백서의 내용은 현재 조선 불교의 모든 긔관을 파괴하는 동시에 새로히 경성 안에 조선불교총본산을 건설하고 그 본산 법당 안에는 석가여래와 명치텬황과 고종태황뎨를 한 자리에 안치하야 정교일치로 일선융화를 텰뎌히 실행하겟다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회광은 기존의 불교 기관을 모두 없애고, 석가와 고종황제와 무쓰히토(메이지)일왕을 함께 받드는 조선불교총본산을 만들고자 했다. 이 시도 역시 실패했다. 일제의 억압하에서 숨죽여 지내는 승려들도 이회광의 뜻에 동조하지는 않았던 것이다.
이회광은 위와 같은 친일 과정에서 한국 침략의 장본인들에 대한 애정을 표시했다. 한국강점 당시의 일왕인 무쓰히토에 대한 충성심도 대단했다. 나루히토 현 일왕의 4대조인 무쓰히토가 1912년 7월에 사망하자, 무쓰히토 49재 행사를 열어줬을 뿐 아니라 9월 국장 때는 승려 29명을 대동하고 서울 용산의 조선군사령군 연병장에 가서 애도를 표했다. 1916년에는 한국 침략의 또 다른 주역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무덤을 조선불교계 일본시찰단 일원으로 참배하기도 했다.
석가모니보다 일왕을 무서워하는 승려들

▲2009년 11월 8일 일제 시절 식민지배에 협력한 인사들의 행적을 담은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발간 국민보고대회'가 열린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 김구 선생 묘소에서 시민들이 '친일인명사전'을 살펴보고 있다.
유성호
극성스러운 느낌을 주는 이회광의 친일은 이권도 두둑이 떨어지는 일이었다. 한국불교를 통제하기 위한 1911년의 사찰령이 그에게는 행운이 됐다. <친일인명사전>은 "사찰령에 의해 30본산의 하나인 해인사 주지 취임 인가를 받았다"고 말한다. 1926년에 해인사 재산 횡령과 유용으로 인해 피소된 일은 그가 친일을 방패막이로 삼아 해인사 재산에 함부로 손을 댔음을 보여준다.
그의 종단 활동은 한일 불교 통합을 목표로 전개됐다. 이것이 단순히 양국 불교의 우호 증진이 아니라 한국 불교의 식민지적 예속을 위해 진행됐으니 그가 종단 활동을 통해 축적한 금전도 엄밀히 말하면 친일재산이다.
이회광보다 17년 뒤인 1879년에 출생한 만해 한용운 같은 승려는 일제의 침략과 한국불교 예속화에 맞서 싸웠지만, 일제강점기에는 아무래도 한용운 같은 승려보다는 이회광 같은 승려가 좀더 많았다. 석가모니보다 일왕을 무서워하는 이런 승려들이 '훨씬 많았다'고 해야 정확하다. '불교계 이완용'을 비롯한 친일적 승려들로 인해 일제강점기 한국 불교에서는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보고서> 제3-3권이 설명하는 이런 일들이 일어났다.
"일제 시기 단행된 모든 불교 관련 법식과 법회 방식은 조선 불교의 전통을 없애고 일본식화되었다. 또한 조선불교는 30본산연합회를 시작으로 중앙교무원·조선불교조계종으로 통합기구를 건설하였다. 이 과정은 조선 불교가 독자적으로 건설한 것이 아니라 일제의 불교정책에 의해 일제의 협력으로 건설되었다."
"무엇보다 조선불교계가 가지고 있던 금속류와 범종의 헌납은 조선불교계가 일제를 위해 할 수 있는 최고의 수준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중략) 이는 불교 본연의 생명평화사상을 도외시한 채 일제에 협력하여 불교의 교단을 발전시키려는 일제시대 불교 지도자의 몰역사성과 개인적인 탐욕이 빚어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