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6~10일, 시진핑 주석은 코로나 이후 처음으로 유럽을 방문했다. 위 사진은 6일 파리에서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왼쪽)과 유럽 집행위원장 폰 데어 라이엔(오른쪽)과 대화하고 있는 모습.
AFP/연합뉴스
그렇다면, 외교정책과 국제정치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국제정치학이 20세기 초반 세계대전과 함께 본격적으로 발전했다면, 외교정책학은 2차 세계대전 이후 학문적으로 정립되기 시작했다. 국제정치학은 주로 전쟁과 같은 현상을 분석하면서 국가 위에는 어떠한 정부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국제사회의 무정부성'(international anarchy)을 전제로, 국가를 '단일하고, 합리적인 행위자'로 가정하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 외교정책학은 국가 내부적으로 특정 외교정책을 결정하는 개인의 역할과 그 국가의 정부 및 정치체제의 형태 등에 집중했다.
외교정책 이론은 국가 내부의 다양한 행위자들이 특정 사안들 두고 거래하는 과정 또는 국가를 구성하는 다양한 행정부처들의 내부적 관행과 절차 등을 중요한 변수로 간주했다. 국제정치학이 국가를 하나의 단일한 행위자로 인식하고 주로 '합리성'에 집중했다면, 외교정책 이론은 국가 내부의 다양한 행위자들을 상정하고 이들의 '비합리성'을 분석하는데 용이했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외교정책과 국제정치는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외교정책이 국가 행동의 미시적인 측면이라면, 국제정치는 국가의 외교정책과 그 밖의 미시적인 행동이 모여서 만들어 내는 거시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근욱, 2007). 즉, 외교정책과 국제정치는 분석 대상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특정 국가의 특정 외교정책에 대한 분석은 이 두 가지 맥락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미국 정치학자 로버트 퍼트넘(R. Putnam)의 '양면게임이론'(2017)은 향후 한국 외교를 분석하는데 흥미로운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 이론은 소위 세계화, 민주화, 정보화와 같은 외교정책 환경의 변화를 잘 반영한다. 과거 외교정책은 특정 국가 또는 정부가 상대 국가 또는 정부와 맺는 외교적 관계만을 고려했다. 그러나 양면게임이론은 선거라는 제도화된 민주화 등의 영향으로 인해 시민사회의 중요성이 증가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즉, 특정 외교정책은 정부 간 협상도 있지만, 그 협상 후 선거로 선출된 의회와 시민사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정부간 협상의 차원(1 Level)과 자국 및 상대 국가의 시민사회와의 관계 차원(2 Level)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지금까지 다소 재미없는 이론적인 이야기를 했다. 이제 이 같은 이론을 토대로 향후 22대 국회가 한국 외교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한국 내부 차원(2 Level)이다. 간략하게 표현하면, '외교의 실종'을 경험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대통령제 국가에서 외교는 사실상 대통령의 역할이 가장 크다. 대통령을 필두로 한 행정부가 외교의 방향을 정하면 이를 두고 야당과 시민사회는 자신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서로 협상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특검 정국을 앞두고 대통령실로 대변되는 행정부는 검찰이라는 방패로 수비에 전념할 태세다. 이외에는 어떠한 국정운영 방향도 보이지 않는다. 반면, 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입법부는 '채상병 특검'을 시작으로 192석이라는 민의를 등에 업고 공격에 나설 게 자명하다. 이 상황에서 레거시 미디어는 물론 유튜브 등을 포함한 모든 언론은 이 전쟁을 취재하는 데 열을 올릴 것이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대다수 시민들의 관심 또한 여기에 쏠릴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교 사안은 '중요하지 않은' 이슈로 치부될 위험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