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성별 임금 격차 1위, 남성이 100만 원을 벌 때 여성이 70만 원을 버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이 아이를 낳으려면 본인의 생계를 걸어야 한다.
unsplash
임신과 출산의 주체는 여성이다. 아무리 인구 소멸이니 국가적 위기니 해도, 여성에게는 아직 태어나지 않은 아이보다 자신의 삶이 더 중요하다. 그것은 성별을 떠나 어떤 동물이든 마찬가지다. 본인의 생존이 위협받는 환경에서 번식에 몰두하는 동물은 없다.
OECD 성별 임금 격차 1위, 남성이 100만 원을 벌 때 여성이 70만 원을 버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이 아이를 낳으려면 본인의 생계를 걸어야 한다. 여성은 임신·출산·육아 사이클을 거치는 동안 임금 노동시장에서 생존 자체가 위태로워진다.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한다는 제도가 실제로는 '여성'만의 일·가정 양립을 유도하는 제도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첫 단추는 출산휴가부터 시작된다. 출산휴가는 여성에게만 90일이 의무적으로 부과된다. 남성에게는 10일이 주어진다. 여성의 9분의 1이다. 육아휴직은 근로자가 '선택'할 수 있다지만 실제로 이 제도를 사용하는 사람의 70퍼센트는 여성이다. 육아기 단축근무 제도 역시 사용자의 90퍼센트가 여성이다. 왜 이런 결과가 나오는 걸까? 돌봄의 핵심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다. 여성은 아이가 태어나자마자 돌봄의 책임자가 되어 함께한 시간에 비례해 육아 지식과 경험이 늘어난다.
반면 남성에게는 보조자로서의 시간이 허용된다. 출산휴가가 10일밖에 주어지지 않고, 육아휴직을 쓰려고 해도 돌봄을 남성의 몫으로 보지 않는 사회적 시선 때문에 여성보다 상대적으로 사용하기가 더 어렵다(육아휴직을 쓴 여성이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는 의미가 아니다). 초기 경험의 차이는 관계의 차이로 나타난다. 남성은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적으므로 여성만큼 강한 애착 관계를 형성하기 다소 어렵다. 일·가정 양립제도는 남성에게서 부성을 체계적으로 박탈하고 있다.
또한 일·가정 양립제도는 여성에게 모성을 보장한다는 미명하에 과로를 조장한다. 출산휴가부터 그렇다. 생후 100일까지 두 시간마다 깨어 울고 밥 달라고 보채는 아기를 여성 혼자 돌보는 것은, 교대 근무자 없이 24시간 근무를 홀로 서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산후우울은 실제로 수면박탈에 의한 결과라는 연구가 있다. 직장에서는 육아휴직, 육아기 단축근무 등을 쓸 수 있는 만큼 집에서 돌봄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을 쓸 것을 요구받는다.
매년 통계청 조사에서 맞벌이를 할지라도 여성이 남성보다 가사노동을 3배가량 많이 한다는 결과가 나오는 배경이다.
여성들은 직장에서도, 가정에서도 동등하게 일하기를 원한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우리는 모두 각자의 생계부양자다. 직장에서는 동일 임금을, 가정에서는 동일 노동을 바란다. 그런데 아이를 낳는 순간, 직장에서 임금이 낮아지거나 경력이 단절될 각오를 해야 하는 반면 집에서 무급으로 가사노동을 하는 시간은 늘어난다. <82년생 김지영>의 삶을 목격한 여성들은 생각한다. '아, 내 커리어를 지키려면 애를 낳지 말아야겠구나.' 낮은 출생률은, 엄마가 된 여성들의 삶이 얼마나 고단한지 보여주는 하나의 지표가 아닐까.
아기 엄마가 되면 돌봄 파업을 할 수가 없다. 엄마가 돌봄을 그만두면 그 뒤에는 아무도 없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여성들은 아기 엄마가 되지 않음으로써 돌봄 파업을 벌인다. 정부에서는 여가부를 없애 출생률을 높이겠다고 하지만, 나는 출산하지 않은 여성들이 내게 엄마가 될 기회를 주었다고 생각한다. 출생률을 떨어뜨린 여성들이 아니었더라면 정부가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육아의 사회화를 위한 인프라를 이나마도 제공하지 않았을 것이므로.
성평등의 시선으로 일·가정 양립을 지원해야
▲올해 초등학교 취학아동 숫자 30만명 대로 떨어졌다 저출생 현상이 이어지면서 불과 2년 뒤인 2026년 우리나라 초·중·고교생 수가 500만명을 밑돌 것으로 추산됐다.
올해 30만명대로 떨어진 초등학교 1학년 취학아동 숫자는 2년 만에 20만명대에 진입할 전망이다.
12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2024~2029년 학생 수 추계' 자료를 보면 전국 초·중·고교생 수는 올해 513만1천218명에서 2026년 483만3천26명으로 줄어 500만명 선이 무너질 전망이다.
사진은 13일 서울 시내의 한 초등학교.
연합뉴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보자. 일·가정 양립은 왜 아빠에게는 요구되지 않는가? 아니, 왜 아빠들은 이를 요구하지 않는가? <다시 페미니즘의 도전>에서 여성학자 정희진은 "육아가 여성 운동의 의제인 것 자체가 문제적이다. 육아는 남성의 성 역할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한 살 난 아기를 키우는 아기 엄마로서 격하게 동의하는 바다.
정부는 그간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80조를 투입(2006년~2021년)했으나 전혀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 것에 우려한다. 그 돈을 부부가 출산휴가, 육아휴직을 동등하게 사용하는 데 써보라. 성별에 관련 없이 출산휴가 3개월을 쓸 수 있도록, 육아휴직은 최소 6개월 이상씩 쓰도록 의무화해 보라. 남성이 여성과 똑같이 돌봄의 권리를 보장받고 그 책임을 발휘할 때, 직장과 가정 내의 성평등이 형식적으로나마 실현될 기미를 보일 때, 그리하면 한국사회에서 2세를 낳을지 고민해 볼 것이다.
놀랍게도 이것은 남녀 모두의 요구다. 2023년 직장갑질 119에서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저출생 대책으로 꼽은 1위는 '부부 모두 육아휴직 의무화'였다고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