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교하는 아이를 바라보는 학부모 (자료사진)
연합뉴스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의 큰 차이점 중 하나가 교사와 학부모 간 소통입니다. '직접 소통'이 지양되고 있는 일반 교육과 달리, 특수교육은 학생의 장애 특성으로 인해 교사와 학부모의 긴밀한 소통이 필수 요소입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교사와 학부모 간 감정이 얽히는 일이라도 발생하면 모두의 1년이 힘들어집니다.
소통만 잘 돼도 서로를 오해하는 일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서로에 대한 불신은 불통에서부터 생겨나기 마련이라서요. 그래서 오늘은 특수교사와 학부모 간 소통에 대해 얘기해 보려 합니다.
소통, 소통, 소통이 부족해
아들이 다니는 특수학교에서는 한 달에 한 번씩 학부모 월례회의를 합니다. 갈 때마다 늘 빠지지 않고 듣는 얘기가 있습니다. "제발 선생님들이 더 많은 소통을 해주셨으면 좋겠어요~"하는 것입니다.
특수학교이기에 매주 교사들은 E알리미나 하이톡 등을 통해 한 주간의 주간학습계획서를 학부모에게 보냅니다. 그런데도 학부모들은 왜 그토록 소통에 목말라할까요. 주간학습계획서는 소통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이번 주 국어 계획안이 '친척을 부르는 호칭'이고, 수학 계획안이 '두 자릿수 빼기'이고, 과학 계획안이 '그램과 킬로그램'입니다. 선생님이 칠판 앞에서 어떤 주제를 교육하는지 여부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자녀가 발달장애인이거든요. 학생 별 장애 정도가 천차만별로 다른.
친척을 부르는 호칭에 대해 수업받을 때 무발화인 내 아이는 어떤 형식으로 그 수업에 참여했는지가 궁금하고, 두 자릿수 빼기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숫자를 5까지도 셀 줄 모르는 아이는 뭘 하고 있었는지가 궁금하고, 그램과 킬로그램을 공부할 때 '무게'의 의미조차도 모르는 아이가 어떻게 그 개념을 이해했는지도 궁금합니다.
즉, 주간학습계획서 등을 통해 학교생활에 대한 교육정보는 전달받지만, 받은 정보 안에서 내 아이가 어떤 학교생활을 하는지 전혀 알 수가 없을 때 학부모는 교사와 소통이 되지 않는다고 느낍니다.
문제 있을 때만 연락
자녀가 발달장애인이라는 건 아이를 통해선 학교생활을 알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해요. 교사가 말해주지 않으면 학부모는 자녀의 12년 학교생활에 대해 '깜깜한 블랙홀'처럼 그 어떤 것도 알지 못한 채 지나야 한다는 뜻이에요. 심지어 친구 이름 조차도요.
사실 비장애 일반 교육처럼 특수교육도 교사와의 소통이 없으면 편할 듯합니다. 자녀가 학교생활만 잘한다면 교사와 소통 없이 지내는 편이 더 좋아요. 사실 선생님과 학부모는 어려운 관계잖아요. 예도 갖춰야 하고요. 문제는 자녀가 발달장애인이기에, 소통 없이 지낼 수 없는 상황이 계속해서 발생한다는 겁니다.
자녀가 학교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있을 때마다 연락이 와요. 오늘 누구와 갈등 상황이 일어났다. 무슨 시간에 분노발작(텐트럼)이 일어나서 바지에 오줌을 싸버렸다는 등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일들은 끊임없이 발생하고 그때마다 학부모는 연락을 받습니다.
평소 소통이 없었다면 이럴 때라도 교사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원인을 함께 찾고, 해결 방안에 대해 같이 고민하며, 학교와 가정에서 같은 방식으로 문제에 접근해 나가면 좋을 듯합니다. 그래야 아이가 안정적으로 학교생활을 할 수 있을 테니까요.
물론 많은 교사가 학부모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학생의 안정적인 학교생활을 지원할 수 있도록 애씁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는 게 문제입니다.
정작 소통은 없는 상태로 '문제행동'에 대한 통보와 교과서 진도 여부만 전달받습니다. 그런데 자녀는 학교생활에서 자꾸만 힘든 상황에 놓이곤 합니다. 그러니 "제발 소통 좀 해주세요~"라며 교사들에게 호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엄마인 나랑 친하게 지내자고 소통을 원하는 게 아닙니다. 나는 내 친구랑 친하게 지내야지 왜 교사와 친하게 지낸답니까. 내 아이가 학교에서 어려움을 겪는 원인을 알고 싶어서 그럽니다. 해결 방안을 찾고 싶어서 그럽니다. 내 아이가 겪는 어려움이 학교 구성원 모두에게 폐를 끼치는 게 미안해서 그럽니다. 뭘 알아야 무엇이라도 하지 말입니다.
교사는 교육전문가지요. 학부모는 자기 자녀에 있어서만큼은 세계 최고의 발달장애 전문가입니다. 해당 학생에 대한 발달장애 전문가와 특수교육 전문가가 협력적 관계를 구성할 수만 있다면 당사자의 학교생활은 원만하게 이뤄질 수밖에 없지 않을까요.
불통의 원인, 과거 트라우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