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현지시간) 런던 웨스트민스트 사원에서 열린 찰스 3세의 대관식은 1953년 어머니 고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대관식 이후 70년 만에 열렸다. 사진에서 왼쪽은 이날 대관식에 참석한 찰스 3세, 오른쪽은 1953년 6월 2일 대관식에 참석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모습.
연합뉴스
찰스 3세 대관식에서 선보인 "오래된 술병"을 한눈에 알 수 있는 건 1953년 6월 2일 진행된 엘리자베스 2세 대관식과의 비교다.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영국 국교회의 캔터베리 대주교가 진행하고 성유를 바르는 등 종교성 짙은 의식은 동일했으며 신, 정의, 사랑, 자비 등 큼직큼직한 개념들이 사용되었다.
1300년대 전설이 담긴 의자부터 시작해 1821년 조지 4세를 위해 제작된 예복, 장갑, 보주(orb), 홀(scepter), 보석의 향연으로 1661년에 만들어진 왕관까지 시각적으로 수백 년 전의 모습을 재현했다.
새롭게 담아야 하는 술은 국왕마다 다르다. 1953년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은 텔레비전 생중계 수용이었다. 당시 막 보편화되기 시작해 영국은 약 270만 세대가 흑백 TV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국영방송 BBC는 생중계를 제안했다. 지금 기준으로는 별것 아니지만 당시 TV를 저급 매체로 간주했던 이들은 대관식의 신성함이 떨어진다고 반대했고 여왕도 실수에 대한 부담과 자신의 얼굴이 클로즈업되는 걸 꺼렸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여왕의 대관식은 성공적이었다. 처음으로 대중에 공개된 대관식을 보기 위해 최신 매체인 TV 앞에 모여든 사람이 약 2700만 명으로 당시 성인의 56%에 해당한다.
사회적 상황도 좋았다. 2차 대전 이후 영국은 패전국 독일만큼 모든 제도를 뒤집지는 못했지만 국가 의료보험, 임대주택, 각종 사회보장 제도, 철도 항공 및 기간 산업의 국영화 등 전후 복지 국가로 탈바꿈하고 있었다. 여왕은 전쟁의 피로감 속에 전후 질서에 대한 사회적 구심점으로 기능하면서 개혁이 가지고 오는 빠른 변화 속에 안정감을 주는 존재로 자리 잡았다고 평가받는다.
"나의 왕이 아니다"

▲6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중심부의 웨스트민스터 사원 부근에서 시위를 벌이던 반군주제 단체인 '리퍼블릭' 회원을 경찰이게 체포하고 있다.
연합뉴스
찰스 3세 대관식에 담은 새로움은 다양성에 대한 포용이었다. 짙은 종교성은 유지하되 대관식에 여성 목사가 등장했고 찬송가는 웨일스어와 스코틀랜드어로도 불렸다. 영국 국교회뿐 아니라 불교, 힌두교, 유대교, 이슬람교, 시크교 등 다른 종교 지도자들도 초대받았고 흑인 합창단이 공연했다. 비공개 성유 의식을 위해 사용한 가림막에는 영연방 국가 이름을 새겨 넣었고 21세기의 가치 "지속성"에 맞춰 장갑도 재활용했다.
대관식을 이틀 앞두고 윌리엄 왕세자 부부가 궁 밖에서 시민들과 함께 깜짝 대화 시간을 가졌고 기차역과 지하철역에는 찰스 3세 부부의 목소리로 "멋진 대관식 주말을 보내시길 바랍니다"라는 안내 방송이 나왔다. 대관식 기념우표가 발행되었고 대관식 때 먹는 치킨 샐러드와 생선 없는 대관식 생선 파이 등도 공개되었다. 비용에 관한 논란이 있었지만 동화속 세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모나지 않는 신중함이 보이는 기획이었다.
하지만 시민 사회를 거슬리게 만든 것은 대관식의 안전을 맡은 런던 경찰이었다. 대관식을 며칠 앞두고 대관식 질서 유지를 위해 수만 명의 얼굴을 스캔해 지명 수배된 범죄자나 테러리스트를 걸러내는 최신 안면 인식 기술을 사용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이 기술은 조지 오웰이 지적한 미래 사회의 디스토피아, 즉 "대중 감시" 기술로 해석되어 사회적 논란이 된 바 있다.
여론의 뭇매를 맞았지만 결국 대관식 날 반군주제 단체인 '리퍼블릭'의 회원들을 체포했다. 이들은 "찰스 3세를 선출했는가?"라며 공화제로의 전환을 호소하면서 대관식 행진을 방해하지는 않을 것이고 합법적인 선상에서 시위하겠다고 밝혔었다. 찰스 3세 국왕 부부를 태운 마차가 지나가는 트래펄가 광장에서 "나의 왕이 아니다"라는 팻말을 가지고 시위를 준비하다 찰스 3세가 지나가기 전에 사전 체포되었다.
누구의 결정이었을까. 왕실 측이라면 대관식에서 표방한 포용의 범위가 너무 빈약하다. 경찰 측이라면 그가 혹시 공화제 지지자는 아닐까. 모가 나서는 안 되는데 굳이 필요 없는 잡음을 만들었으니 말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