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몬펜이라 내부 상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플래티넘 센츄리 니스 로제 UEF촉
김덕래
지금은 '안녕'을 말할 수 없습니다
만년필은 여러 이유로 예상 못 한 문제가 생깁니다. 잉크가 충전된 상태로 방치해 내부에서 말썽을 일으키는 건 가장 가벼운 축에 속합니다. 어지간하면 미온수와 세척툴 정도만으로도 컨디션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꾹꾹 눌러쓰거나 떨어뜨려 펜촉이 살짝 휘어지면, 보다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가장 심각한 건 펜촉이 부러진 경우입니다. 만년필 펜촉은 사람의 심장에 비견됩니다. 꽤 손상되었더라도 어떻게든 다시 소생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으나, 아예 부러져버리면 손을 쓰기 어렵습니다.
물론 만년필 펜촉은 여간해선 부러지지 않습니다. 일부러 혹독하게 다룰만한 이유도 없거니와, 태생이 그리 약하지도 않으니, 평생 부러진 펜촉을 한 번도 못 볼 확률이 더 높습니다. 하지만 사람이 만들어 사람이 쓰는 도구인데, 완전무결할 수는 없지요. 펜촉이 부러졌다는 건, 그 펜의 생명이 다했다는 말과 같습니다. 아직 단종되지 않은 모델이라면 차라리 다행입니다. 비용만 지불하면 멀쩡한 새 펜촉을 구할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더 이상 생산하지 않을 땐 난처해집니다.
설령 단종되지 않았더라도 곤란할 때가 있습니다. 가까운 지인에게 선물 받았거나, 오래 써 담뿍 정이 들어버린 경우입니다. 그럴 때 시도해 볼 수 있는 마지막 수단은, 펜촉을 사포로 갈아내는 것입니다. 평상시엔 절대 피해야 할 무리수지만, 펜촉이 부러지는 순간 이미 단수에 몰린 셈입니다. 돌을 내려놓고 물러설지, 아니면 활로 찾기에 나설지, 승부수를 띄워야 할 시점입니다.
이렇게 펜촉의 한쪽 티핑만 떨어져 나갔을 땐, 남아있는 부분까지 제거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최대한 부러진 티핑면과 같은 선상까지 잘라냅니다. 그 후 사포의 표면이 거친 것에서 고운 것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바꿔가며 다듬어야 합니다. 사포의 거친 정도를 입도라 하는데, 숫자가 커질수록 더 부드럽습니다.
우둘투둘하고 날카로운 단면을 다듬기 위해 처음엔 400번 전후의 사포를 사용하더라도, 단계적으로 600번, 800번, 1000번... 이런 식으로 점점 고운 것을 써야 합니다. 거친 사포를 사용하면 작업 속도는 빠르겠지만, 대상을 갈아내는 데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위험합니다. 또 처음부터 2000번처럼 매끄러운 사포를 쓰면, 거친 면을 효과적으로 연마할 수 없습니다. 솥밥을 안칠 때 처음엔 센 불을 쓰더라도, 밥 냄새가 퍼질 즈음이 되면 약불로 줄여 뜸을 들여야 맛난 밥이 지어지는 것과 같습니다.

▲표기된 사포의 숫자가 커질수록 표면이 부드럽습니다
김덕래
추돌사고가 난 자동차의 외형이 멀쩡할 수가 없는 것처럼, 어떤 이유에서든 떨어져 나간 펜촉의 단면은 거친 게 당연합니다. 마음이야 급하겠지만, 서둘다 보면 일을 그르칩니다. 펜촉을 다듬는 사이사이 손끝으로 매만져가며 연마된 정도를 살핍니다. 덜 다듬어져도 거칠어 쓸 수가 없고, 과하게 갈아내면 수명이 줄어듭니다. 부족해서도 넘쳐서도 안됩니다. 이런 수고로움을 감수해야만 한다면, 차라리 새 펜촉을 사는 게 현명하겠다, 싶을 수도 있습니다. 효율성을 우선시하면 맞는 말입니다.
현대는 시간의 가치가 중히 여겨지는 사회입니다. 누구나 전력을 다해 사는 세상이라, 조금이라도 시간을 허투루 쓰면 죄책감마저 들곤 합니다. 하지만 그저 한 자루의 필기구에 불과할 뿐인 만년필도, 나와 관계가 맺어지면 특별한 사이가 됩니다. 각별하다는 건, 다른 무엇으로도 대체할 수 없다는 말입니다. 이름 모를 들풀 한 줌도 내 시선이 오래 머물다 보면 예사롭지 않은 존재가 됩니다. 어떤 화려한 꽃보다 귀해집니다.
넘어진 김에 쉬어간다고, 이참에 신발 끈 야무지게 동여매세요. 왜 이런 불운이 닥쳤는지 모르겠다며 비관해봐야 내 속만 끓습니다. 언뜻 보면 생명선이 끊어진 것만 같아도, 그저 가늘어졌을 뿐입니다. 다시 이어주면 오래 함께 할 수 있습니다.
▲상단 좌측부터 시계방향으로, 부러진 펜촉을 다듬어 되살려내는 과정
김덕래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진다,는 말이 있습니다. 시간이나 열정을 낭비해 곤궁한 처지에 이르거나, 무모한 투자로 금전적인 손실을 크게 본 경우, 혹은 이런저런 이유로 한 치 앞도 보이지 않을 때 주로 쓰입니다. 여기에서 나락(奈落)은 불교 용어로 지옥을 뜻하며, 현재 벗어나기 몹시 힘든 상황에 놓였음을 의미합니다.
한낱 펜 한 자루도 이야말로 최악이다, 싶은 순간을 깨치고 나아갈 비장의 한 수가 있습니다. 그러니 지금이 내 생애 마지막 순간이란 생각은 잠시 접어두세요. 견줄 바는 못되겠으나, 부러진 펜촉에게도 오늘이 끝이 아닙니다. 아직 내게도 남은 여지가 있습니다.
▲누군들 마지막이 없을까마는, 오늘이 그날은 아닙니다
김덕래
* 플래티넘(Platinum)
- 1919년 탄생한 일본의 만년필 제조사. 파이롯트가 캡리스와 커스텀 시리즈를 주력으로 하고, 세일러가 프로기어와 프로피트라는 양두마차를 갖고 있다면, 플래티넘은 걸출한 중견 센츄리를 핵심 라인으로 운용하고 있음.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