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운은 일터에서 감정 노동을 하지 않는다.
(주)메인타이틀 픽쳐스
일을 하면 할수록 일 자체보다 어려운 건 사람들과의 관계였다. 업무 채팅창에서 '네'와 '넵'과 '넹' 사이에서 고민하는 것부터 일하면서 겪는 모든 것이 감정 노동이었다. 일터에서 좋은 평판을 얻기 위해서는 일하는 티를 적절히 내면서도 적당히 겸손해야 했고, 팀원들에게 '수고했어요', '감사해요' 코멘트도 놓쳐선 안 됐다. 밝고 긍정적으로 보이기 위해 자주 웃어야 했고, 내 의견을 언제, 어떻게, 어디까지 이야기해야 할지, 동료의 반응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끊임없이 눈치를 보며 살펴야 '일 머리 있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이러한 감정 노동은 여성들에게 더 많이 요구된다. 웃지 않는 여자 아이돌에게 따라다니는 인성 논란을 떠올려 보라. 감정 노동을 안(못) 하는 남자는 과묵하고 숫기 없다는 소리를 듣지만, 감정 노동을 안(못) 하는 여자는 무뚝뚝하고 싸가지 없다는 비난을 받는다. 여성 리더십에는 꼭 '부드러운 리더십', '포용의 리더십'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여성들이 더 감정 노동을 잘하도록 태어난 것도 아닌데 일터에서도 가정에서도 더 많은 감정 노동을 담당하는 것은 늘 여성이다.
일도 결국은 사람이 하는 일이니 관계에 신경을 써야겠지만 때때로 이 모든 노동이 지긋지긋했다. 그럴 때는 귀에 이어폰을 꽂고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 척하거나 눈 딱 감고 하고 싶은 말을 내지르기도 했다. 그래놓고는 또 '너무 나대는 것 아닐까', '너무 싸가지 없어 보이는 것 아닐까' 눈치를 봤다. 이건 눈치를 보는 것도 아니고 안 보는 것도 아니고 '애매한 나쁜 년'이 된 것 같았다.
'차스테인 언니의 충고 : 니가 애매한 나쁜 년이라 마음이 무거운 것이야. 더 나쁜 년이 되도록 하여라.'
<미스 슬로운>을 보게 된 건 OTT 서비스 '왓챠' 사용자 한 줄 평 때문이었다. 슬로운은 일터에서 불필요한 감정 노동을 하지 않는다. 그녀는 상대방의 기분을 고려해 에둘러 말하는 법이 없다. 웃지 않고 정확하게 메시지를 전달한다. 감정 노동에 드는 에너지를 아껴 진짜 일을 하는 데 쏟는다.
사실 일을 하다 보면 어디까지가 진짜 일이고, 어디까지가 감정 노동인지 헷갈릴 때가 많다. 그럴 때 나는 내가 쓸 수 있는 감정의 총량을 생각한다. 일터에서 나이스한 사람, 완벽한 사람이 되고 싶어 무리해서 감정을 쓴 날에는 집에 돌아와 남편과 아이에게 쓸 에너지, 나를 돌볼 에너지가 한 톨도 남아 있지 않았다.
피곤하고 지쳐서 가장 소중한 사람들을 감정의 쓰레기통으로 만들었다. 내가 쓸 수 있는 감정과 에너지는 정해져 있는데 너무 많이 당겨써버린 것이다. 나중에는 함께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나이스하지 못한 사람이 되었다. 또다시 애매한 나쁜 년이 됐다. 그런 경험 때문일까. '더 나쁜 년' 슬로운이 미치도록 부러웠다.
언니라고 불러도 되나요

▲슬로운은 자신의 욕망을 변명하지 않는다.
(주)메인타이틀 픽쳐스
물론 슬로운은 그녀 자신도 인정하듯 윤리적 결함을 가진 인물이다. 결과를 위해 과정의 올바름을 고려하지 않고 동료를 배신한 슬로운은 나쁜 년이 맞다. 하지만 슬로운은 적어도 자신의 나쁜 짓을 변명하지 않는다. 좋은 사람처럼 보이려 노력하지 않는다. 나는 슬로운의 솔직함이 결과적으로 나쁜 짓을 해놓고 '나도 어쩔 수 없었어', '나도 괴로워'라고 말하는 이들의 자기 연민보다 훨씬 인간적으로 느껴졌다. 슬로운은 적어도 자신의 그릇을 알고 있는 사람이다.
"유능함과 성취욕에 대해 변명하지 않는 여성 캐릭터"라는 김혜리 평론가의 평처럼 슬로운은 자신의 욕망을 변명하지 않는다. 통찰력 있게 판을 읽고 회유하고 협박하고 배신하고 선을 넘고… 슬로운의 모습을 보고 있자니 나까지 어깨가 쫙 펴지는 느낌이 들었다.
오로지 승리라는 욕망을 향해 두려움 없이 돌진하고 실력으로 모든 것을 제압해 버리는 여성 캐릭터가 반갑고 멋졌다. 나는 살아보지 못했던, 어쩌면 앞으로도 살기 어려울 삶을 영화 속 주인공을 통해 대신 살아보는 경험이랄까. 미스 슬로운이 미스터 슬로운이었어도 이토록 매력적이었을까. 글쎄. 일 잘하는 나쁜 남자는 지겹게 봐오지 않았나.
생방송 이후 에스미는 총기 규제 캠페인의 얼굴이 되고 총기 규제 여론도 점차 높아진다. 슬로운은 여성층을 집중 공략해 놀랄 만한 액수의 로비 자금을 얻어낸다. 마음이 급해진 총기 규제 반대 세력, 그러니까 슬로운의 전 직장은 슬로운의 과거 로비 활동을 문제 삼아 의회 청문회를 열기로 한다. 슬로운을 흠집 내 총기 규제법에 타격을 입히려는 전략이다. 모든 언론의 관심이 슬로운에게 쏠린다.
대형 로비 회사의 사주를 받아 청문회를 개최한 상원의원은 로비스트 한 사람이 지나치게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도 걱정되지만 그 로비스트가 개인적 문제가 있다면 더 큰 문제라면서 슬로운의 일이 아닌 사생활을 들춰내 집중 공격한다. 청문회장에 앉아 있는 슬로운의 모습을 보며 이다혜 작가가 쓴 책 <출근길의 주문>의 한 구절이 떠올랐다.
"여자들에게 유독 인성 논란을 비롯한 온갖 '일 바깥'의 논란이 생길까. 경험상으로는 일로 까내리기 어렵지만 까 내리고 싶을 때 쓰는 방법이다." -이다혜, <출근길의 주문>
청문회장에서도 슬로운은 에둘러가지 않고 자신의 메시지를 정확히 전달한다. 그리고 자기 자신을 재물 삼아 누구도 예상 못 했던 회심의 한 방을 날린다. 결론만 말하자면 슬로운은 의회도, 전 직장도 아주 제대로 박살 내 버린다. 슬로운을 '언니'라고 불러도 될까.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