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헌정회 사이트에서 제7대 국회의원으로 소개된 이원영.
대한민국헌정회
이 같은 변신과 성공은 그가 민주공화당 정책위원회 부의장을 거쳐 제7대 국회로 진출하는 원동력이 됐다. 친일 언론인에서 적산 기업 관리자로 변신한 인물이 국민 대표자의 지위에까지 오른 것이다.
그가 국회의원으로 변신하는 과정에서 그의 친일 경력은 문제가 되지 않았다. 제7대 총선 1개월 전에 발행된 1967년 5월 14일 자 <조선일보> 기사 '후보 명단 순위 및 약력'은 공천 순번 26번인 이원영의 경력을 "57(경기), 경성제대, 조선제지 사장, 공화당 정책위 부의장'으로 열거했다. 총선 후보자의 기자 경력이 생략되는 일이 드물지만, 이 경우에는 이원영의 핵심 경력인 매일신보사 논설위원 역임이 언급되지 않았다.
대한민국헌정회 사이트의 이원영 프로필에는 '매일신보사 정경부장'이 아닌 '해일신보사 정경부장'으로 적혀 있다. 그와 <매일신보>의 인연이 보통이 아닌데도, 오타로 인해 그 경력이 드러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헌정회는 국회 경내에 소재한 단체이므로, 이런 단체가 운영하는 사이트에서는 역대 국회의원들의 친일 이력을 명확히 표기해줄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원영은 정상적인 경우라면 8·15로 인해 움츠러 들어야 했다. 하지만 적산에 손을 대는 방법으로 오히려 강해졌고, 유력 기업인을 거쳐 국민 대표자 역할까지 수행하게 됐다. 그의 변신과 성공은 '물려받은 재산(적산)'이 친일파 부활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잘 보여준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