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1월 '오마이뉴스'와 인터뷰 중인 노회찬 민주노동당 사무총장.
이종호
'노인복지'란 대체로 '모든 노인이 최저 수준 이상의 생활을 유지하고 사회적 욕구 충족과 생활상의 문제를 예방·해결하며, 노후생활에 대한 적응과 사회통합을 이루는데 필요한 급여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과 민간 부분의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제반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노인'이란 통상 평균 수명에 이르렀거나 그 이상을 사는 사람으로, 어르신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그 외에도 늙은이, 고령자, 시니어, 실버 등으로 교체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에는 60세 이상이면 노인이었으나, 지금은 65세 이상이면 노인으로 분류된다.
2004년 4월 3일 KBS 심야토론(<17대 총선 국민의 선택을 묻는다>)에 출연한 노회찬(민주노동당 중앙선대본부장, 사무총장)은 유시민(열린우리당 의원), 장광근(한나라당 의원), 정진석(자유민주연합 의원) 등과 함께 설전을 벌였다. 그 과정에서 탄핵사태를 야기한 한나라당은 노인복지를 거론할 자격이 없다고 질타했다.
"왜 한나라당이 갑자기 노인복지를 거론하는가. 사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야기시킨 탄핵으로 우리 국민 평균 수명이 단축됐어요. 그거 어떻게 책임질 겁니까?"
"지금 노인문제를 토론할 때가 아니라 이 말이예요. 3월 12일날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던 날, 주한중국대사관에서 4차례나 회의를 했다고 합니다. 국가신뢰도가 추락했어요. 그거 누가 책임질 겁니까? 그래서 그런 얘기를 할 때는 스스로를 돌아보면서 얘기해야 할 것 같구요."
2006년 12월 27일 노회찬(민주노동당 17대 국회의원)은 '소외계층 1만명 복지혜택, 한나라당이 빼앗아가'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말로는 민생, 복지를 떠드는 한나라당이 노인, 장애인, 아동, 빈곤층 등 소외계층을 위한 복지예산 1조7600억 원을 삭감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실제로 678억 원을 깎아버렸다"고 지적하면서, "한나라당 복지삭감 때문에 복지혜택을 빼앗긴 소외계층이 총 1만명에 이르고, 신축 예정이던 복지시설 88개소가 사라졌다"고 비판했다.
노회찬은 "특히 삭감된 복지예산 678억원 중 89%인 603억 원이 노인복지예산"이라고 지적하면서, "한나라당은 다시는 노인 공경한단 말 말아야 한다. 타당 유력인사의 '노인폄하 발언'을 비난할 자격도 없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실제로 '독거노인 도우미 파견사업' 예산이 176억 원이나 삭감되어 도우미 숫자가 2800명이나 줄었고 고용기간도 9개월에서 7개월로 줄어들어, 수천수만 명의 독거노인이 복지혜택을 누릴 수 없게 되었고, '노인 돌보미 바우처' 예산도 68억 원이나 삭감되어 7300여 명의 소외노인이 '돌봄 쿠폰'을 받을 수 없게 되었다.
노회찬 "노인복지예산, 평균 2% 불과.... 지역간 격차도 심각해"
그에 앞서 2006년 3월 30일 노회찬은 '전국 16개 광역시도의 2006년도 일반회계 노인복지예산 현황자료'를 통해 "16개 광역시·도 일반회계 세출예산에서 노인복지 예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평균 2.32%에 불과하다"면서 "특히 노인 1인당 광역시·도 자체 예산배정액의 경우 광역시·도간 격차가 최대 5.3배에 이르며, 노인인구 비중이 높은 전남, 경북, 충남 등 광역도의 경우 1인당 예산이 광역시에 비해 현격히 낮아 노인복지 수준의 지역간 격차가 심하다"고 발표했다.
또한, "광역시·도의 노인예산에서 '경로연금'과 '교통수당'이 차지하는 비중이 최대 65.7%로 큰 비중을 차지해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서비스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