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사건으로 대전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산내에서 학살된 이들의 묘역
박만순
"태호야, 뛰어" 하면서 형 강태훈은 대나무 숲으로 달렸다. 형의 목소리를 들은 동생 강태호도 무작정 뛰었다. 1948년 4.3사건이 일어난 후 토벌대는 제주도 전 지역을 휩쓸고 다니며 청·장년 남성들을 사냥하기에 바빴다. 소위 '빨갱이 사냥'이었지만, 실은 제주도민을 희생양으로 삼아 극우반공 정권을 수립하려는 미군정과 이승만을 위한 정치적 사냥이었다.
특히 제주 중산간마을(해안으로부터 5km 이상 떨어진 마을)은 방화와 학살의 타깃이 되었다. 강태훈 형제도 정치적 사냥의 제물이 되었다. 강태훈이 집에서 밥을 먹고 있는데, 경찰들의 군홧발 소리가 들렸다. 그는 경찰들이 올 걸 짐작하고 무작정 도피했다.
그렇게 시작한 입산생활은 그리 오래 가지 않았다. 토벌대의 "자수하면 살려준다"는 말만 믿고 하산을 했다. 형제는 주정공장에 구금되었다. 강태훈의 아내와 어머니가 면회를 했다. "어머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한 달 후면 나갈 겁니다." 장남의 안심하라는 말에 어머니는 가벼운 마음으로 발길을 돌렸다. 그런데 얼마 후에 동생은 대전형무소에, 형은 목포형무소에 수감되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강태훈-강태호의 어머니는 장남이 있는 목포형무소로 면회를 갔다. 대전은 너무 멀어 엄두를 내지 못했다. 목포에서 강태훈의 핼쑥한 얼굴을 보고 돌아온 어머니는 몸져누웠다. 아들들이 언제나 석방되나 하고 목을 빼며 기다리고 있는데 한국전쟁이 터졌다.
한국전쟁이 터지자마자 동생 강태호는 대전 산내에서 후퇴하는 대한민국 군경에 의해 불법 처형되었고, 형 강태훈도 목포지역에서 학살되었다.
귀한 자식 둘을 졸지에 잃어버린 시어머니는 화병이 생겼고, 비난의 화살은 아무런 죄도 없는 며느리에게 돌아갔다. 며느리 문남하는 죽을 맛이었지만 참을 수밖에 없었다. 어린 아이들 때문에라도 참아야 했다. 하지만 시어머니의 구박은 시간이 갈수록 극성을 부렸고, 며느리는 도저히 버틸 수가 없었다.
결국 며느리는 개가를 했고, 어린 아이들은 할머니의 손에 맡겨졌다. 처음에는 원래 있던 밭을 팔아 생계를 유지했다. 하지만 야금야금 빼먹는 곳간이 오래 갈 수는 없는 법이다. 팔 땅도 없어진 상황에서는 거지 같은 생활을 해야 했다. 하루 식사는 한 끼 죽이 전부였다.
혼자 남겨진 아이

▲증언자 강송춘
박만순
이런 상황에서 강태훈과 문남하의 딸 강송춘의 여동생은 5세 때 영양실조로 세상의 연을 끊었다. 엄마가 개가하자 할머니의 원망은 손녀 강송춘에게 돌려졌다. 그런데 그 할머니도 화병으로 오래 살지 못했다. 세상에 혼자 남겨진 강송춘은 무엇이라도 해야 했다. 그렇게 살기 위해 나선 것이 아기를 봐주는 '애기업개'였다.
그때가 그녀 나이 아홉 살 때였다. 지금으로 치자면 부모로부터 사랑을 듬뿍 받을 나이지만 1950년대 제주도는 그렇지 못했다. 제주비행장 앞 다호마을에서 2년을 애기업개로 보냈다. 그런데 어떤 사람이 "육지에 가면 공부도 할 수 있고 돈도 벌 수 있다"라고 하는 말을 듣고 부산으로 향했다. 애기업개로 시작한 부산 보수동 생활은 화장품 공장 종업원으로 이어졌다. 종업원이라고 해봐야 심부름 하는 것이 고작이었다.
그러다가 대구 삼호방직에 취직했다. 열여섯에 가서 5년간 공장생활을 했다. 그녀는 사회생활을 하면서 글을 깨우쳤다. 그녀가 학업의 세례를 받은 것은 겨우 초등학교 1학년, 2개월에 불과했다. 학교를 더 다닌다는 것은 언감생심이었다. 할머니가 자신보다 2살 위인 고모는 학교에 보내 주면서 자신은 보내 주지 않았다. "너 때문에 애비가 죽었다"는 황당한 원망이 그 이유였다.
고아처럼 살아온 강송춘(76세, 제주도 서귀포시 강정동)은 60년 만에 아버지와 작은아버지의 명예를 회복했다. 2010년 진실화해위원회에서 '진실규명 확인' 결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대전 산내에서 학살된 숙부의 재판은 완료가 되어 보상을 받았다. 하지만 아버지 강태훈의 재판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강송춘은 요즘 손주들 보는 재미로 노년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가슴 한켠에는 아버지와 작은아버지의 억울한 죽음이 늘 자리하고 있다. 비록 진실화해위원회의 결정으로 명예는 회복되었다지만, 그녀의 아버지와 작은아버지가 살아 돌아올 수는 없다. 더군다나 그녀의 청춘은 결코 돌아올 수 없는 일이지 않는가.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