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사진남산초등학교 2회 졸업사진. 좌측에 큰 사진이 강영모. 공주에서 교사교육을 받느라 졸업식에 참여하지 못했다.
박만순
북한군이 후퇴할 당시에 3.8선 못 미쳐 장암면의 세 청년은 '북이냐, 남이냐'의 기로에 섰다. 강영모가 입을 열었다. "북에 가봐야 별 볼일 없고, 남에 가 봐야 죽을 게 뻔하다. 여기서 모두 죽자"며 총을 들었다. 서로 총을 쏴 함께 죽자는 것이었다. 강은모는 아버지가 예비검속으로 학살을 당했고, 자기도 의용군으로 참전한 경력이 있으니 남한에서는 살 수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런데 같이 있던 강석우(장암면 장하리)가 반기를 들었다.
"왜 자살 혀! 난 그렇게 못하겄네"라고 했다. 결국 그들은 북한으로 올라가 강은모는 평양에서 살고, 강석우는 강원도에서 지냈다. 이는 '제3차 남북이산가족찾기' 때 북에 살던 강석우가 남한의 강내구를 상봉해 전해 준 이야기다.
죽지 못해 산 삶
가장 강태구가 학살되고 장남 강영모가 의용군으로 끌려가 행방불명되자, 강은모는 18세에 가장이 되었다. 할머니와 어머니, 본인을 포함한 7남매, 즉 아홉 식구를 먹여 살려야 하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집안에는 논도 밭도 없었다. 봄에는 쑥과 무궁화 이파리를 뜯어 끓여 먹었다. 겨울에는 감자가 주식이었다. 부여 금강 너머의 들에 버려진 음식쓰레기를 주워다 먹기도 했다. 걸인이 따로 없었다. 말 그대로 '죽지 못해 산 삶'이었다.
마을 뒷산은 민둥산이라 비만 오면 논밭이 산 흙으로 덮였다. 마을에서 가장 여유가 있던 강석기씨 논밭이 망가지면 강은모 식구들의 뱃구레가 기지개를 켠다. 그 논밭에 가서 여름 내내 흙을 져 나르는 일을 해, 하루 품삯으로 쌀 한 되박을 얻는다. 그 쌀로 며칠을 견뎌내는 것이다.
장암면의 구렁개펄에서도 식량 아닌 식량을 얻었다. 그곳에는 참외밭이 있었는데, 넝쿨 깎는 일을 해주면 하루 품삯으로 파란 참외를 준다. 파란 참외는 시장에 내다 팔 수 없는 것으로 주로 장아찌를 담아 먹는 것이다. 그런 참외를 얻어 와 아홉 식구가 허기를 달랬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칠남매 중 막내만 초등학교 졸업장을 받았다.
병사계에서 영장이 날라 왔다. 하지만 강은모가 군대에 가면, 남은 식구는 굶어 죽을 판이었다. 부여군 입대자들을 모아 충남 예산 여관에서 하룻밤을 자고 다음 날이면 기차 타고 훈련소를 가야 했다.
열차에 타기 전 어느 학교에서 최종 신체검사가 실시되었다. 강은모는 꾀를 냈다. 귀가 들리지 않는 척 하기로 했다. 군의관이 묻는 말에 일체 대답을 하지 않았다. 그런데 그는 원래 귀가 안 좋아, 당시 귀에서 짓물이 나왔었다. "야 임마 가." 군의관의 말에 '얼싸 좋다'며 되돌아서면 귀가 들린다는 것이 들통나고 만다. 그는 못 들은 척하고 가만히 있었다. 그러자 군의관이 화를 내며 "야 임마. 가라고"하며 그의 등을 밀쳤다. 그제서야 강은모는 신체검사장을 나왔다.
"죽기 전에 형님 한 번 보는 게 소원이오"
▲증언자 강은모
박만순
강은모는 일찌감치 운수 일을 하던 동생의 영향으로 대전 가서 운전을 배웠다. 당시 동생은 대전에서 택시회사를 운영하고 있었다. 동생에게 운전을 배운 지 한 달 만에 할머니가 세상을 하직했다. 삼년상을 못 마치고 대전으로 이사했다. 자식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데, 대전에서 가르치고 싶었기 때문이다.
택시 한 대에 강은모 가족의 생계가 달려 있다 보니 죽기 살기로 일했다. 어느 날은 새벽에 일하러 나가는데 아내가 불렀다. "여보 그 차림으로 출근하세요?" 강은모가 자신을 바라보니 잠옷 차림이었다. 그렇게 정신없이 젊은 시절을 보냈다. 74세까지 택시 일을 했다.
이제는 쉴 만한 나이인데 병마가 찾아왔다. 몇 년 전 허리수술도 하고, 지난 6월에는 뇌졸중으로 쓰러지기도 했다. 강은모(87세. 대전광역시 중구 선화동)는 "죽기 전에 형 얼굴 한번 볼 수 있을라나 모르겠네"라며 쓰디쓴 웃음을 지었다.
'분단과 한국전쟁으로 인한 가족공동체의 파괴'라는 말은 강은모에게 딱 맞는 말이다. 아버지 강태구의 진실규명도 이루지 못한 그에겐 형님 얼굴 한 번 보는 게 더 큰 바람인 듯하다. 살아 있다면 올해 89세인 강영모는 이런 동생의 마음을 알까?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