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조국이 아니다
pxhere
배달을 마치고 다른 집으로 향하는데, 이번에는 폐지 줍는 할아버지가 차량 흐름을 방해하고 있었다. 사람들은 동정과 짜증의 표정을 함께 짓고 있었지만 아랑곳하지 않고 리어카를 묵묵히 끌었다. 길가에 쌓여있는 박스라도 발견하면 과감히 멈췄는데, 아슬아슬하게 매달려 있는 종이만이 위태롭게 흔들렸다. 그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었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새벽이든 야밤이든, 도시에서 만나는 폐지 줍는 노인들의 튀어나온 핏줄에는 근면함과 성실함이 흐르고 있다.
문득 몇 년 전 화제가 된 국민연금공단의 광고문구가 떠올랐다. 65세 때, 어느 손잡이를 잡으시렵니까? 문구 위에는 폐지가 담긴 리어카, 밑에는 여행 갈 때 사용하는 캐리어가 있었다. 폐지 줍는 노인을 실패한 인생으로 박아버린 그 포스터에서 나는 다른 걸 뽑아내고 싶었다. 노력과 고통의 불평등.
대한민국의 산업화를 이끈 노동자들은 달을 보고 출근했다 달을 보고 퇴근했으며, 월 2회 정도 쉬었다. 단속반과 철거 깡패에 맞서 악착 같이 삶을 이어갔던 장사꾼들도 마찬가지다. 흔히들 젊을 때 놀면 늙어서 고생한다 생각하는데, 현실은 젊어서 고생한 사람은 늙어서도 고생한다. 물론 많은 시련을 극복하고 노력을 통해 성공한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감당해야 할 현실의 고통과 할 수 있는 노력에도 차이가 있다.
고시원에서 공부를 하는 고통과 해외 유학을 가서 겪는 고생은 개인에게 비슷하게 괴롭지만, 그 결과는 다른 법이다. 물론 적지 않은 사람들이 해외유학의 고통을 바라겠지만. 누가 누가 더 힘들게 살았느냐를 경쟁하자는 게 아니다. 각자가 감수한 고통과 수행한 노력은 절대적이기에 비교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를 감수하고 쟁취할 수 있는 과실은 천지 차이다. 누군가는 몸이 부서져라 노력해서 비정규직을 쟁취하지만 누군가는 정규직을, 누군가는 공무원을, 누군가는 부와 명예를 얻을 수 있다. 문제는 과정이 아니라 결과다.
지금까지 우리는 출발선이 다른 것에 주목해왔고 기회의 평등을 이야기했다. 같은 출발선에서 경쟁하면 공정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함께 뛸 수 있는 기회마저 박탈당한 사람들이 대다수다. 심지어 서로 치고박고 싸우는 줄만 알았던 선수들이, 사실은 경기가 끝난 후 서로의 땀을 닦아주며 끈끈한 우정을 나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들이 흘린 학력, 문화, 인맥, 자녀교육의 땀방울들은 그렇게 서로를 이어준다. 최근 조국사태에 분노해 촛불을 든 고려대학교 학생들은 세종캠퍼스 학생들과 시위를 같이 하는 것에 반발했다고 한다.
이런 예는 많다. 최근 정부는 정년을 65세까지 연장하려 하고, 노동계도 이를 환영한다. 평균수명이 높아지고 노후가 불안정한 상황에서, 성실하게 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공정하고 합리적인 대우를 해주는 것 같다. 하지만 정년이라는 결승선을 끊을 수 없는 사람들, 정규직이라는 트랙 위에서 달릴 수조차 없는 사람들이 있다. 비정규직은 길어야 2년이고, 최근에는 근로자의 지위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특수고용노동자, 플랫폼노동자, 프리랜서 등 비정규불안정 노동자들에게 정년은 아무리 열심히 뛰어도 닿을 수 없는 목표다.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매주 열리는 촛불집회를 알리는 포스터
인터넷 커뮤니티
더욱 씁쓸한 것은, 고통과 공감에도 차별이 있다는 것이다. 검찰의 압수수색에 대한 법무부 장관의 전화 통화는 외압이 되어 공분을 사거나, 인륜이 돼서 공감을 살 수 있지만, 점거 농성 중인 톨게이트 여성 노동자들이 경찰에게 행하는 항의는 비웃음을 사거나, 촛불을 들 정도의 공감을 살 수는 없다. 5평의 청년 주택에 대한 불만은 배부른 소리지만 법무부 장관의 10억짜리 낡은 아파트는 청렴의 상징이다. 고공농성과 천막농성으로 자식 생일날 케이크 하나 함께 먹지 못하는 것은 뉴스에 나오지 않지만, 법무부 장관의 고통은 공분과 연대를 일으켜 거대한 촛불을 만들어낸다.
'나도 조국이다'라는 항간의 포스터에 위화감이 드는 이유다. 기울어진 운동장을 평평하게 만들어도 정작 운동장에 서 있을 수 있는 사람들은 소수라는 잔인한 현실을 인식하는 것이야말로 작금의 조국 사태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일 것이다. 운동장의 주변에서 폐지를 줍고 전단지를 뿌리는 노인들을 무대 위에 올리는 것, 삼성을 상대로 하늘에 올라 있는 김용희를 땅으로 내리는 것, 하루에 6명씩 일하다 죽는 운동장바깥의 사람들을 구하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해야 할 개혁의 과제다.
조국의 케이크가 아니라 김용균과 김군과 톨게이트 노동자들의 컵라면으로, 100만명이 촛불을 드는 날을 꿈꾼다. 나는 조국이 아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