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김장하와 문형배 : <어른 김장하>가 보여주는 아름다운 인연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소설과 영화 <이처럼 사소한 것들>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영화 <시빌 워>와 <링컨>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100년 전의 히틀러가 우리에게 경고한다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시적 정의와 부활하는 파시즘의 망령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노벨 문학상과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영화 <전,란>과 <글래디에이터 2> 그리고 탄핵된 '내란 우두머리'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한국이 싫어서>와 <두 사람의 인터내셔널>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소설·영화 <딸에 대하여>가 이 시대에 던지는 질문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세계문학과 한국문학의 역학: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말해주는 것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영화 <에이리언: 로물루스>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프란츠 카프카와 영화 <퍼펙트 데이즈>
[오길영의 뾰족한시각] <디 애프터>와 에밀리 디킨슨의 시가 보여준 '애도의 과정'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소설 <붉은방>과 영화 <존 오브 인터레스트>: 인간은 언제 괴물이 되는가?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셰익스피어에게서 배우기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와 <혹성탈출: 새로운 시대>가 주는 교훈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교토에서 온 편지>와 <윤희에게>, 두 영화가 말해주는 것
[오길영의 뾰족한 시각] 전쟁의 이면... 상을 받은 작가가 밝힌 두려움
문학·영화 등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의 여러 문제를 비판적 시각에서 들여다봅니다.
충남대 영문과 교수. 문학평론가. 평론집 <아름다움의 지성>, <힘의 포획>, 산문집 <아름다운 단단함>, 연구서 <포스트미메시스 문학이론> 등이 있음.
프리미엄
사회ㅣ기사 169 N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