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제주 사름이 사는 법] 양용진 제주전통음식연구가
[제주 사름이 사는 법] <4·3이 나에게 건넨 말> 펴낸 한상희 박사
[제주 사름이 사는 법] 강우현 탐나라공화국 대표
[특별인터뷰] 강우일 주교의 '윤석열 시대' 진단
[제주 사름이 사는 법] '길 안내자' 문영택 질토래비 이사장
[제주 사름이 사는 법] 황현진 핫핑크돌핀스 공동대표
[제주 사름이 사는 법] 김남흥 돌하르방미술관장
[제주 사름이 사는 법] 김계숙 제주해녀협회 회장
[제주 사름이 사는 법] 신강협 제주평화인권연구소 왓 연구소장 겸 상임활동가
[제주 사름이 사는 법] 최소연 화가
[제주 사름이 사는 법] 지구시민을 위한 동네책방, '어나더페이지'의 신의주 대표
[제주 사름이 사는 법] 한상봉 한라산 인문학 연구가
[제주 사름이 사는 법] 오임종 전 4.3유족회장
[제주 사름이 사는 법] 조환진 돌빛나예술학교 대표
[제주 사름이 사는 법] 권무일 작가
[제주 사름이 사는 법] 김완병 학예연구사
[제주 사름이 사는 법] 방승철 작곡가
[제주 사름이 사는 법] 강창욱 마을활동가
제주가 격변의 시기를 지나고 있다. 사람들이 몰려오면서 인구 구성이 다양해지고 문화예술의 향기가 풍성해졌는가 하면, 땅과 바다가 환경파괴로 신음한다는 경고음도 들린다. 4·3의 상처가 조금씩 아물어가고 있는 한편으로는 새 공항 건설을 두고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서도 천혜의 땅 제주도를 살기 좋은 평화의 섬으로 만들기 위해 각자의 분야에서 열심히 일하는 제주 사름(람)을 찾아가 그들의 목소리를 전한다.
2018년 봄 제주로 이주했다.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과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 그리고 제주현대사의 아픔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10만인클럽
프리미엄
민족·국제ㅣ기사 8
연재
사는이야기ㅣ기사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