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그 정보가 알고 싶다] 1365만 건 이관 완료 발표했지만, 정작 검증 가능한 정보는 철저히 차단
[그 정보가 알고 싶다] 파면 이후 윤석열이 관저에서 사용한 비용 정보공개청구했더니... 돌아온 답변
[그 정보가 알고 싶다] 비상행동 사회대개혁과제 VS. 대선후보 10대 공약 비교
[그 정보가 알고 싶다] 모두가 월급을 알 권리를 향해... 알 권리 관점에서 본 임금공시제
[그 정보가 알고 싶다] 기록 은폐 및 유출 논란 행정관, 대통령기록관장 자격 없어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직무유기 등의 혐의로 고소·고발
[그 정보가 알고 싶다] '대통령실 직원 명단 공개하라' 판결에 묵묵부답
[그 정보가 알고 싶다] 경호처 포함 대통령실 예산 사용 내역 정보공개 요구 거부...공공기관 기본 책무 외면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중대재해 정보공개 거부한 고용노동부... 사고는 계속된다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정보공개심의회 회의록, '숨기고 비우고 칠하고'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최상목 대행, 대통령실 정보들 '대통령지정기록물'로 지정해 봉인할 수도
[그 정보가 알고 싶다] 12.3 내란사태로 보는 공공기록물법과 정보공개법의 과제
[그 정보가 알고 싶다] 비상계엄 선포 당시 회의록, 발언 기록 없어... 조직적 은폐 의심
[그 정보가 알고 싶다] 계엄 관련 기록의 불법적 폐기 못하도록 조치 취해야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정보공개 소송 7전 7패... 대법원 상고로 공개 지연 논란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서울시 자치구 대표 축제와 깜깜이집계
[그 정보가 알고 싶다] 국무회의 통과한 정보공개법 개악안, '알권리 침해법' 우려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정부 최고 정책심의기구, 거의 모든 안건에 "이견 없음"
알 권리와 정보공개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사회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민주주의의 발전, 정부의 투명성, 공직자들의 윤리, 사회의 진보는 시민들의 알 권리가 얼마나 보장되는지, 정보공개가 얼마나 투명하게 이뤄지고 있는지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정보공개센터는 한국의 사회 문제들과 현안들을 시민들의 알 권리 그리고 정보공개와 연결 지어 투명하게 풀어드립니다.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는 2008년 알권리 운동을 위해 설립된 시민사회단체입니다. 공공기관 정보공개실태조사, 연구, 언론 캠페인 등을 통해 사회 전반의 투명성 및 책임성 신장을 목적으로 활동합니다. 또한 시민들이 정보공개청구를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공개청구 교육과 문화 확산 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