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사이트

  • 오마이뉴스
  • 오마이스타
  • 오마이TV
  • 오마이포토
  • 10만인클럽
  • 오마이뉴스APP

공유하기

세상을 깨우는 발견
  • 메일
  • URL복사 https://omn.kr/264as

오마이뉴스

시리즈
  • 검색 닫기
  • 연재발행
  • 이용안내
  • |
  • 로그인/회원가입

검색

시리즈

세상을 깨우는 발견

공유하기

세상을 깨우는 발견

과학기술, 농업기술, 질병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상을 깨우는 연구나 기술, 발견 등을 소개합니다.

더보기
  • 경제
  • 연재 중
  • 기사148
  • 구독7
  • 유창재
  • 공유

참여기자 :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기자 유창재 (karma50) 내방
  • OhmyNews
  • 검색 닫기
  • 로그인/회원가입
  • 시리즈
  • 연재
    • 전체연재
    • 프리미엄연재
    • 분야별 보기닫기
    • 사는이야기
    • 사회
    • 경제
    • 정치
    • 문화
    • 민족·국제
    • 교육
    • 책동네
    • 여행
    • 미디어
    • 여성
    • 스타
  • 연재기사
    • 전체 연재기사
    • 인기 연재기사
  • 추천 연재기자
  • 리스트형
  • 카드형
  • 최신순
  • 과거순
  • 148화암 표적 삼는 박테리아, 형광 신호로 실시간 암 위치 알려준다

    [세상을 깨우는 발견] KIST-충남대, 정밀 암 수술 돕는 차세대 수술 조영 기술 개발

    KIST와 충남대병원 공동연구팀이 암 조직에서만 형광을 내는 특수 박테리아를 설계해 수술 중 암의 위치와 경계를 실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박테리아는 암 조직이 공통으로 갖는 저산소 상태와 면역 회피 특성을 인식해 다양한 고형암에 적용 가능하며, 기존보다 약 5배 높은 형광 밝기로 수술 정확도를 높이고 재발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진단·수술·치료를 아우르는 통합 암 치료 플랫폼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25.06.18 12:00 ㅣ 유창재(karma50)
  • 147화버려지는 폐플라스틱, 폐수 속 '고가 금속'만 골라 회수한다

    [세상을 깨우는 발견] 한국연구재단, PVC 원형 살려 가공해 유가금속 회수 흡착제 개발

    버려지는 폐플라스틱으로 페수 속에 있는 비싼 금속만을 골라 회수하는 흡착제로 재탄생시킨 업사이클링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는 폴리염화비늘(PVC) 원형을 그대로 살려 가공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재사용과 회수 성능까지...
    25.06.09 12:00 ㅣ 유창재(karma50)
  • 146화'머리카락 굵기 100만분의 1' 미시세계... '양자거리' 재다

    [세상을 깨우는 발견] 연세·서울대 공동연구... 양자컴퓨팅·양자센싱 등 양자기술 적용 기대

    국내 연구진이 머리카락 굵기의 100만분의 1 수준인 미시세계의 거리를 수치화해 측정할 수 있는 '양자거리' 측정 방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연세대 김근수 교수팀과 서울대 양범정 교수팀은 고체 물질 속 전자의 양자거리를 직접적이고 완전하게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흑린' 물질에 주목해 각분해광전자분광 실험에서 편광된 빛을 이용, 전자 간 위상차에 따른 신호 세기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양자거리를 정밀하게 추출했다. 이 기술은 양자컴퓨팅과 양자 센싱 분야에 기초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5.06.06 05:07 ㅣ 유창재(karma50)
  • 145화반도체를 레고 블록처럼 원하는대로 분해·재조립한다고?

    [세상을 깨우는 발견] NRF, 자가치유성 전자회로 기술로 임플랜터블/웨어러블 시스템 혁신

    별도의 납땜이나 접합 과정 없이 단면을 붙이기만 하면, 레고 블록처럼 조립되는 '신축성 자가치유(self-healing) 반도체'를 활용한 맞춤형 바이오 전자회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는 원하는 대로 기능을 바꾸고 회로를 재배치...
    25.05.21 11:59 ㅣ 유창재(karma50)
  • 144화인공지능·줄기세포로 '소아 뇌전증 치료제' 발굴 돌파구 열다

    [세상을 깨우는 발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 모델링과 AI 기반 약물 탐색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약물 탐색기술과 희귀 난치성 '소아 뇌전증(Pediatric Epilepsy)' 환자에게서 얻은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를 활용하여 환자 맞춤형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효...
    25.05.19 09:17 ㅣ 유창재(karma50)
  • 143화한국 서식하는 '박쥐 유사장기체'로 미래 팬데믹 선제적 대응

    [세상을 깨우는 발견] IBS 바이러스기초연·유전체교정연구단, 세계 최대 감염병 생체모델 구축

    국내 연구진이 한국에 서식하는 박쥐에서 유래한 장기 오가노이드(organoid : 성체 및 배아 줄기세포를 실험실 환경에서 분화해 장기의 세포 구성 및 기능을 모방한 3차원의 '장기유사체')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여 바이러스 감염 특성과 면역...
    25.05.16 10:35 ㅣ 유창재(karma50)
  • 142화'빛'으로 움직이는 수중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

    [세상을 깨우는 발견] 한국화학연구원, 결정성 액정 탄성체 기반... 수축·이완 동작 방향 조절 가능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진이 물속에서도 자유롭게 작동하는 광화학 기반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을 개발했다. '아조벤젠 기능화된 결정성 액정 탄성체' 소재를 활용한 이 인공 근육은 기존 대비 3배 높은 작동 거리와 2배 높은 구동 성능을 확보했으며, 별도의 전원이나 기계장치 없이 빛만으로 작동한다. 수축·이완 동작 방향 조절로 복잡한 구동이 가능해 의료,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5.05.04 12:19 ㅣ 유창재(karma50)
  • 141화지방세포 분화 '숨겨진 연결고리' 규명... 비만·당뇨 치료 새 길 제시

    [세상을 깨우는 발견] GIST-순천향대, 지방세포 대사 조절 메커니즘 세계 첫 실험적 입증

    우리 몸의 지방세포가 분화하는 과정에서 유전자 번역과 세포 대사가 서로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새로운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이로써 지방세포의 '대사 기능 조절 메커니즘'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는 데 ...
    25.04.24 09:35 ㅣ 유창재(karma50)
  • 140화'전기차 화재', 불 끄는 소화기 성분 접목한 배터리로 원천차단

    [세상을 깨우는 발견] NRF, 난연성 전해액 기술 개발... 리튬이온배터리 계면 안정성 확보·열폭주 억제

    전기차가 상용화된 이래 매년 배터리 화재가 발생하면서 '이차전지 열폭주 현상'에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불 끄는 소화기 성분을 배터리에 접목, 리튬이온배터리 열폭주로 인한 전기차 화재를 원천 차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25.04.21 12:00 ㅣ 유창재(karma50)
  • 139화과기정통부 "'mRNA 백신' 작동 원리, IBS RNA연구단이 규명"

    [세상을 깨우는 발견] mRNA 백신 전달·분해 제어 '단백질군' 발견... "세계 최초"

    국내 연구진이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치료 플랫폼으로 각광 받는 mRNA(messenger RiboNucleic Acid : 전령 리보핵산) 백신의 세포 내 전달과 분해를 제어하는 단백질 군을 찾아내고, 그 작동 원리를 최초로 규명했다.mRNA는 단백질을 합성...
    25.04.04 06:15 ㅣ 유창재(karma50)
  • 138화과기정통부 "'척추이분증' 원인, 연세대 연구팀이 세계 최초 규명"

    [세상을 깨우는 발견] 김상우 교수팀, 선천성 신경관 결손 원인 유전적 규명

    태아가 발생할 때 중추신경계의 전신인 신경관(neural tube)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발생하는 선천적 기형인 '척추이분증(Spina bifida)'의 원인을 국내 대학교 연구팀에서 유전적으로 규명했다.이를 통해 신경계 선천성 질환의 원인 규명...
    25.03.27 06:33 ㅣ 유창재(karma50)
  • 137화보산진 "산발성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 새 접근법 제시"

    [세상을 깨우는 발견] 성균관대 의대,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 제어' 기전 최초 규명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국내 치매 환자는 현시점 100만 명, 2060년 346만 명, 2070년에는 338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이런 가운데 치매의 대표 병변인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어할 수 있는 분자적 기전을...
    25.02.03 08:56 ㅣ 유창재(karma50)
  • 136화국내 연구진, 상온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 발견

    [세상을 깨우는 발견] KAIST·서강대 연구진, 기존 양자기술 한계극복할 실마리 찾아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spin pumping) 현상'을 국내 연구진이 발견했다. 이는 세계 최초의 발견이라고 한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아래 과기정통부)는 31일 "대부분의 양자역학적 현상은 극저온에서만 관측되는 것과 ...
    25.01.30 21:35 ㅣ 유창재(karma50)
  • 135화한국뇌연구원, 초파리 통해 밝힌 '커피 쓰지 않은 이유'

    [세상을 깨우는 발견] 강경진 박사팀, 미각 신경세포의 새로운 소통방식 발견

    초파리의 미각 신경세포를 대상으로 전기생리학, 광유전학 및 행동유전학적 연구를 진행한 결과, 미각 신경세포 간 소통에 '전기연접 억제(ephaptic inhibition)' 현상이 작용하고 있음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이를 통해 커피가 쓰지 않게 느...
    25.01.20 10:51 ㅣ 유창재(karma50)
  • 134화뇌 속 신경 구조서 '담배 금단증상' 극복 실마리 찾았다

    [세상을 깨우는 발견] KIST, 뇌 콜린성 중간뉴런이 금단증상에 미치는 영향 규명

    금연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흡연자들을 위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금연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금연의 본질인 담배에 포함된 니코틴(nicotine)으로 인한 금단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치료법이 필수적인 상...
    25.01.08 12:04 ㅣ 유창재(karma50)
  • 133화인공지능(AI) 기반, '섬망' 약물 투여량 최적화 모델 개발

    [세상을 깨우는 발견] KHIDI, 기존 투여량 절반으로도 중환자 섬망 예방 입증

    중환자실(ICU) 환자의 '섬망(Delirium)' 예방에 탁월한 인공지능(AI) 기반의 혁신적인 약물 투여량 최적화 모델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를 통해 기존 투요량 절반으로도 중환자의 섬망을 예방하고, 부작용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
    24.12.16 13:35 ㅣ 유창재(karma50)
  • 132화"암 전이 단백질, 콜라겐 분해·재배치로 암 악성화·전이 촉진"

    [세상을 깨우는 발견] GIST, 암 전이 단백질 '디스에드헤린'의 종양 악성화 기전 규명

    '콜라겐의 배신'.암 전이 단백질인 '디스에드헤린(Dysadherin)'이 콜라겐의 분해 및 재배치를 통해 암의 악성화와 전이를 촉진한다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디스에드헤린'이란 암에서만 발현하는 단백질로, 특히 침윤성과 전이성이 ...
    24.12.10 11:22 ㅣ 유창재(karma50)
  • 131화나무·풀로 '항공유'를 만들었다고? 항공산업 탄소 감축 견인

    [세상을 깨우는 발견] KIST, 식물 자원 활용한 '차세대 지속가능 항공유(SAF)' 개발

    나무와 풀, 목재 등 식물 원료를 사용해 석유 항공유와 가장 유사한 성분을 지니는 차세대 지속가능 항공유(SAF, Sustainable Aviation Fuel)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이를 통해 장시간 연속 운전 기술을 확보하는 등 항공산업의 친환경 ...
    24.11.13 12:07 ㅣ 유창재(karma50)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Copyright © Ohmy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