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사이트

  • 오마이뉴스
  • 오마이스타
  • 오마이TV
  • 오마이포토
  • 10만인클럽
  • 오마이뉴스APP

공유하기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 메일
  • URL복사 https://omn.kr/1puvs

오마이뉴스

시리즈
  • 검색 닫기
  • 연재발행
  • 이용안내
  • |
  • 로그인/회원가입

검색

시리즈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공유하기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도서관 이용자와 사서가 함께 쓰는 '도서관 역사 여행기'입니다. 대한제국부터 대한민국까지 이 땅에 명멸했던 도서관의 숨은 이야기를 나눕니다. 우리 역사와 교차하는 지점의 중심 또는 변방에 서있던 도서관을 누비며 ‘역사 속 도서관’과 ‘도서관 속 역사’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더보기
  • 문화
  • 연재 종료
  • 기사58
  • 구독2
  • 백창민외 1명
  • 공유

참여기자 :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기자 백창민 (bookhunter) 내방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기자 _ (sugi95) 내방
  • OhmyNews
  • 검색 닫기
  • 로그인/회원가입
  • 시리즈
  • 연재
    • 전체연재
    • 프리미엄연재
    • 분야별 보기닫기
    • 사는이야기
    • 사회
    • 경제
    • 정치
    • 문화
    • 민족·국제
    • 교육
    • 책동네
    • 여행
    • 미디어
    • 여성
    • 스타
  • 연재기사
    • 전체 연재기사
    • 인기 연재기사
  • 추천 연재기자
  • 리스트형
  • 카드형
  • 최신순
  • 과거순
  • 58화518번은 알겠는데... 광주에 228번, 419번 버스는 왜 있을까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빛고을 광주의 도서관 ①

    1926년 4월 25일 순종이 숨을 거뒀다. 조선의 마지막 왕 순종이 죽자, 그의 장례식 날에 맞춰 만세 시위가 계획되었다. 6월 10일 순종의 장례 행렬이 종로 3가 단성사 앞을 지날 때, 중앙고등보통학교(중앙고보) 학생 이선호가 거리로 뛰어들며 "조...
    20.06.11 10:05 ㅣ 백창민(bookhunter)
  • 57화'스파르타 300'은 알고 '광주 300'은 모르는 당신에게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빛고을 광주의 도서관 ②

    (* '빛고을 광주의 도서관' ①편에서 이어집니다.)계엄군이 집단 발포를 하자, 시민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집단 발포에 분노한 시민은 5월 21일 아시아자동차 공장에서 장갑차를 확보해서 금남로로 몰고 나왔다. 화순과 강진, 나주, 담양...
    20.06.11 10:03 ㅣ 백창민(bookhunter)
  • 56화"누가 더 하나님을 사랑하는가? 헌금을 비교해봐라"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명성교회 도서관 ①

    우리 사회에 개신교('천주교'와 구분하기 위해 '기독교'라는 말 대신 '개신교'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가 전래된 것은 언제일까? 19세기부터 여러 접점이 있었지만 대다수 개신교회는 1884년 9월 북장로회 미국인 선교사 호러스 알렌(Horace Newton...
    20.05.14 09:05 ㅣ 백창민(bookhunter)
  • 55화공공도서관을 '세습'합니다? 초대형교회의 두 얼굴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명성교회 도서관 ②

    (* '명성교회 도서관' ①편에서 이어집니다.)개신교 '집사'였던 박인근은 1975년부터 국고 지원을 받아 1987년까지 12년 동안 부랑아를 위한 시설을 운영했다. 시설에 노숙인, 행려병자, 고아뿐 아니라 멀쩡한 사람까지 잡아들여 강제노역...
    20.05.14 09:04 ㅣ 백창민(bookhunter)
  • 54화부산대에 새겨진 신영복 글씨의 의미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부산대와 동아대, 경남대 도서관 ②

    (* 부산대와 동아대, 경남대 도서관 ①편에서 이어집니다.)박정희 정권의 지역대학 강화 방침은 지방대학의 입학 정원 증가로 이어졌다. 부산대, 경북대 같은 지방 국립대학은 한 해 900명씩 입학 정원을 늘렸다. 1966년 760명이었던 부산...
    20.04.16 13:55 ㅣ 백창민(bookhunter)
  • 53화박정희 체제의 종말 열흘 전, 이 사건이 있었다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부산대와 동아대, 경남대 도서관 ①

    한국은 1970년대 들어 중산층 형성 같은 경제적 풍요를 경험했다. 1978년 한 해 동안 TV 180만 대, 냉장고 85만 대, 세탁기 26만 대가 팔리며 '소비사회'로 본격 진입했음을 알렸다. 동시에 1970년대 한국은 유신체제를 통해 ...
    20.04.16 13:53 ㅣ 백창민(bookhunter)
  • 52화아시나요? 여의도 서쪽 건물 높이가 일정한 이유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국회도서관 ②

    (* 국회도서관 ①편에서 이어집니다.)군사 정부 시절 '공공건축'에 대해 문화평론가 이영미가 지적한 내용이다."흥미로운 것은 이 시기에 지어진 공공건축들에 이러한 계단과 열주가 아주 흔했다는 점이다. 위를 우러러보며 한참을 올...
    20.03.19 12:06 ㅣ 백창민(bookhunter)
  • 51화박정희 한 마디에... '기형'이 된 국회의사당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국회도서관 ①

    '대통령제'를 시작하고 발전시킨 미국이지만, 미국 헌법의 제1조는 입법부, 즉 '의회'(議會)에 대한 조항으로 시작한다. 미국 사회에서 국민을 대표하는 의회가 어떤 위상을 갖는지 단적으로 알 수 있는 대목이다.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 미국 ...
    20.03.19 12:06 ㅣ 백창민(bookhunter)
  • 50화박원순, 이해찬, 김부겸, 우원식... 그들의 도서관 활용법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도서관 앞 광장 ②

    (* 도서관 앞 광장 ①편에서 이어집니다.)시위와 집회가 자주 이어지던 시절, 대학도서관은 도서관이 아니었을 것이다. 유시민이 '항소이유서'에 쓴 것처럼, 그 시대는 "가장 온순한 인간들 중에서 가장 열렬한 투사를 만들어내는 부정한 ...
    20.02.20 11:56 ㅣ 백창민(bookhunter)
  • 49화시청 앞 그 성당, 그런데 이건 알고 계십니까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도서관 앞 광장 ①

    한국 현대사에서 1987년은 큰 의미를 갖는다. 기나긴 군사 독재에 맞서 대통령 직선제를 포함한 새로운 헌법을 쟁취하면서 '87년 체제'를 출범시킨 해이기 때문이다. 1987년에 어떤 일이 있었길래, 우리는 '6월 항쟁'이라는 역사의 드라마를 쓸 수 ...
    20.02.20 11:56 ㅣ 백창민(bookhunter)
  • 48화보수언론의 '공수처' 비판으로 소환된 '사직동팀'의 추억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서울특별시교육청 어린이도서관 ②

    (* 서울특별시교육청 어린이도서관 ①편에서 이어집니다.)1997년 10월 7일 신한국당(지금의 자유한국당) 강삼재 사무총장은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장에서 그는 당시 야당의 유력한 대선 후보였던 김대중 총재의 '비자금' 문제를 '폭로'했...
    20.01.23 15:35 ㅣ 백창민(bookhunter)
  • 47화어린이도서관에 들어온 수상한 세입자의 정체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서울특별시교육청 어린이도서관 ①

    우리나라에 '어린이도서관'은 얼마나 있을까?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을 비롯하여 대한민국에는 102개 어린이도서관이 있다. 2018년 현재 전국 1096개 공공도서관의 9.2%가 어린이도서관인 셈이다.어린이도서관이 이렇게 늘어난 건 비교적 최근...
    20.01.23 15:35 ㅣ 백창민(bookhunter)
  • 46화서울에서 가장 큰 정독도서관, 이름에 담긴 씁쓸한 의미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정독도서관 ②

    (* 정독도서관 ①편에서 이어집니다.)김옥균과 서재필을 비롯한 급진 개화파가 '책'으로부터 받은 영향은 크다. 책이 아니었다면 그들은 서구 문물과 일본 근대화 상황을 접할 수 없었을 것이고, '개화파'로 성장하지 않았을 것이다....
    19.12.26 14:17 ㅣ 백창민(bookhunter)
  • 45화강남 띄우기 위해 박정희가 옮긴 이것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정독도서관 ①

    정독도서관은 '책을 정독하다'할 때의 '정독'(精讀)에서 명명된 이름이 아닐까 생각했다. '독서법'을 이름으로 삼은 드문 도서관이라 생각한 게다.근래 들어 '다독다독 도서관' 같이 독서법을 연상시키는 도서관이 생겨나고 있지만, 독서...
    19.12.26 14:16 ㅣ 백창민(bookhunter)
  • 44화국립중앙도서관 뒷마당에 자리한 독재자의 '하사품'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국립중앙도서관 ②

    (* ①편에서 이어집니다.)해방 후인 1945년 10월 15일 서울에 문을 연 '국립도서관'은 1963년 10월 28일 도서관법이 공포되면서 '국립중앙도서관'으로 이름을 바꿨다.당시 국가가 세운 도서관이 여럿 있지 않고, 국립'지방'도서관이 ...
    19.11.29 08:36 ㅣ 백창민(bookhunter)
  • 43화도서관 주변에 줄줄이 호텔... 왜 그런 일이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국립중앙도서관 ①

    '국립중앙도서관'은 '조선총독부도서관'이 문을 연 1925년에 설립된 걸까? 아니면 1945년 개관한 '국립도서관' 시절에 설립된 걸까?종로도서관, 남산도서관, 부산시립시민도서관은 모두 일제 강점기 문을 연 날로부터 도서관 역사를 헤아린다. ...
    19.11.29 08:35 ㅣ 백창민(bookhunter)
  • 42화한반도에서 가장 큰 도서관, 북한에 있습니다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인민대학습당 ②

    (* 인민대학습당 ①편에서 이어집니다.)북한 국립중앙도서관은 1973년 '중앙도서관'을 거쳐 1982년 '인민대학습당'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문을 열었다.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인민대학습당은 단일 규모로는 세계 최대의 도서관으로 꼽...
    19.11.08 11:14 ㅣ 백창민(bookhunter)
  • 41화도서관에 대한 김일성의 유별난 관심, 대체 왜

    [도서관, 그 사소한 역사] 인민대학습당 ①

    2018년 이후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이어지면서 한반도에 새로운 평화 분위기가 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의 도서관이 새삼 궁금해졌다. 북한은 어떤 도서관 환경과 책문화를 가지고 있을까? 해방 전 북한 지역은 남한...
    19.11.08 11:13 ㅣ 백창민(bookhunter)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Copyright © Ohmy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