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사이트

  • 오마이뉴스
  • 오마이스타
  • 오마이TV
  • 오마이포토
  • 10만인클럽
  • 오마이뉴스APP

공유하기

지도와 인간사
  • 메일
  • URL복사 https://omn.kr/1pulo

오마이뉴스

시리즈
  • 검색 닫기
  • 연재발행
  • 이용안내
  • |
  • 로그인/회원가입

검색

시리즈

지도와 인간사

공유하기

지도와 인간사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인 조선의 강리도를 소개합니다.

더보기
  • 문화
  • 연재 종료
  • 기사35
  • 김선흥
  • 공유

참여기자 :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10만인클럽 회원 김선흥 (ecoindian08) 내방
  • OhmyNews
  • 검색 닫기
  • 로그인/회원가입
  • 시리즈
  • 연재
    • 전체연재
    • 프리미엄연재
    • 분야별 보기닫기
    • 사는이야기
    • 사회
    • 경제
    • 정치
    • 문화
    • 민족·국제
    • 교육
    • 책동네
    • 여행
    • 미디어
    • 여성
    • 스타
  • 연재기사
    • 전체 연재기사
    • 인기 연재기사
  • 추천 연재기자
  • 리스트형
  • 카드형
  • 최신순
  • 과거순
  • 35화커다란 조선... 선조들이 특이한 세계지도 남긴 이유

    [지도와 인간사] 강리도, 그 긴 여정을 마치며

    먼저 최근에 알게 된 사실 하나를 소개한다. 아래 지도를 보자. 왼쪽은 현대지도이고 오른쪽은 강리도 본광사(本光寺, 일본 나가사키현에 소재)본이다. 본광사본은 아프리카 남부의 해역에 많은 섬을 그림과 동시에 이름을 달...
    19.12.27 17:20 ㅣ 김선흥(ecoindian08)
  • 34화조선의 세계지도에 표기된 리스본, 그 의미

    [지도와 인간사] 강리도의 축

    포르투갈의 리스본(현지어로는 리스보아, Lisboa)이라는 지명이 1402년 조선에서 만들어진 지도인 '강리도'에 표기되어 있다면? 먼저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자리잡고 있는 이베리아 반도를 본다. 아래 지도는 유서 깊은 주요 도시들을 보여...
    19.11.18 09:16 ㅣ 김선흥(ecoindian08)
  • 33화그리스, 이슬람, 원나라... 조선 지도에 담긴 세계문화

    [지도와 인간사] 강리도의 원천을 찾아서

    이 지도는 1402년 우리 조상들이 그린 세계지도 '강리도'의 일부이다. 위쪽 중앙의 거대 호수는 카스피해, 하단 왼쪽 손가락 모양(푸른색)은 홍해이고 하단 중앙의 바다는 페르시아만이다. 좌단 중앙의 공백은 동지중해이다(바다...
    19.09.23 11:10 ㅣ 김선흥(ecoindian08)
  • 32화아프리카 그린 조선 지도, 현대 지도와 흡사한 까닭

    [지도와 인간사] 11세기 알 비루니를 찾아서

    아래 지도를 보자. 왼쪽 지도는 1402년 조선시대 선조들이 그린 아프리카와 주변 해역이다. 오른쪽은 오늘날의 현대 지도를 강리도의 좌우 폭에 맞추어 본 것이다. 이렇게 보면 아프리카의 윤곽이 놀라울 정도로 흡사할 ...
    19.07.24 16:35 ㅣ 김선흥(ecoindian08)
  • 31화조상들은 어떻게 지도에 아프리카를 그려넣었을까

    [지도와 인간사] 강리도의 최대 수수께기

    강리도(1402년에 제작된 조선의 세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 그려진 아프리카의 남부 해안은 너무 정확하고, 너무 이른 시기에 나왔고, 더구나 서양이나 이슬람이 아닌 한양에서 그려졌다는 점들 때문에 최대의 미스터리이자 탐구과제로 남...
    19.06.28 18:29 ㅣ 김선흥(ecoindian08)
  • 30화"가장 선진적인 것" 서양이 조선 지도에 감탄한 이유

    [지도와 인간사] 강리도의 아프리카, 그 비밀의 봉인을 두드리다

    이 지도는 1402년 우리 조상들이 그린 아프리카 남부와 주변 바다의 모습이다. 조선초의 강리도(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가 서양지도보다 거의 100년 앞서 아프리카의 제 모습을 그렸다는 사실로 인해 서양에서는 역사를 고쳐 쓰고 ...
    19.06.11 16:56 ㅣ 김선흥(ecoindian08)
  • 29화몽골 연구자들이 조선의 세계지도에 주목하는 이유

    [지도와 인간사] 강리도를 바라보는 국내와 국외의 시선 차이

    2015년 국토지리정보원에서 <한국 지도학 발달사>(이하 <지도학>으로 약칭)를 펴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국토교통부 산하의 공공기관인 만큼 여기에서 강리도(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 1402년 조선 시대에 제작된 세계지도)...
    19.05.06 17:47 ㅣ 김선흥(ecoindian08)
  • 28화세계가 주목하는 조선의 지도, 정작 한국은...

    [지도와 인간사] 강리도는 '중화주의'? 동의할 수 없다

    "강리도(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1402)를 외국에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우수한 지도라고 예찬하는데 정작 우리 국사편찬위원회와 국정도서편찬위원회가 만든 고등학교 국정 국사 교과서는 '현존하는 세계지도 중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지도'로...
    19.04.17 20:44 ㅣ 김선흥(ecoindian08)
  • 27화세종의 의미심장한 유언 "왜인을 조심하라"

    [지도와 인간사] 지리적 정보가 한국과 일본의 운명에 미친 영향

    세종 임금이 마지막 숨을 거두기 전에 남긴 메시지는 좀 뜻밖입니다. 종묘사직이 어떻고, 성군의 길은 어떻고 그런 엄숙한 말씀이 아니었습니다. 동부승지(지금의 비서실장) 정이한(鄭而漢)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세종실록은 기록하고 있습니다.&n...
    19.04.04 15:10 ㅣ 김선흥(ecoindian08)
  • 26화한반도 크게 그린 강리도에 담긴 뜻

    [지도와 인간사] 강리도 속 카스피해, 그리고 숨은 설계도

    아래 두 지도를 대조해 봅니다. 첫 번째 지도는 1402년 한양에서 제작된 강리도(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중에서 서쪽 부분이고 오른쪽 지도는 그에 해당하는 현대 지도입니다. 강리도에서 아프리카, 그 위의 지중해 일대(...
    19.01.04 19:36 ㅣ 김선흥(ecoindian08)
  • 25화조선을 찾은 무슬림, 그들 없었으면 어쩔 뻔

    [지도와 인간사] 강리도로 떠나는 지중해 시칠리아의 팔레르모

    아래 두 지도를 봅니다.첫 번째 지도는 오늘날로 치면 스페인의 발렌시아 출신 이슬람 지리학자이자 시인이며 여행가였던 이븐 주바이르(Ibn Jubayr, 1145~1217)가 1180년대 중반에 여행했던 경로입니다. 두 번째 지도는 조선 초의 세계지도 '...
    18.12.15 18:04 ㅣ 김선흥(ecoindian08)
  • 24화"조선의 지도, 놀랍고도 장엄하다"

    [지도와 인간사] 강리도의 진가를 알고 싶다면, 지중해를 봐라

    우리가 발을 딛고 살고 있는 한반도는 광활한 유라시아대륙에 속해 있고 그 유라시아대륙은 다시 거대한 아프리카로 이어져 있습니다. 유라시아 대륙과 아프리카, 이 거대한 땅덩어리를 아울러 '아프로 유라시아(Afro-Eurasia)'라 부르기도 합니다....
    18.11.29 10:33 ㅣ 김선흥(ecoindian08)
  • 23화'내셔널지오그래픽'이 한국의 지도를 극찬한 이유

    [지도와 인간사] 평창 올림픽과 함께 소개된 강리도

    우리 선조들이 맨 처음 지도에 유럽을 그린 것이 언제였을까요? 개항 후인 19세기? 아닙니다. 15세기 초 1402년(태종 2)에 유럽을 그렸습니다. 지중해 등대와 섬도 그렸습니다. 그렇다면 이 지도에 대해 서양인...
    18.11.19 09:38 ㅣ 김선흥(ecoindian08)
  • 22화"천하는 지극히 넓다" 조선인이 세계지도 그린 이유

    [지도와 인간사] 조상들은 어떻게 아프리카를 그렸을까

    15세기에 한양에서 제작된 강리도(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조선시대에 제작된 세계지도)의 아프리카는 거대 호수를 품고 있습니다. 과연 이 거대 호수의 형상을 어디에서 가져온 것일까요? 그 출처는 어떤 지도일까요? 이번호의 탐험 주제...
    18.11.02 18:13 ㅣ 김선흥(ecoindian08)
  • 21화영국의 디지털 지도와 조선의 강리도, 놀라운 공통점

    [지도와 인간사] 강리도, 아프리카의 희망을 담다

    지금으로부터 꼭 616년 전, 조선이 개국한지 10년 차 되던 해인 1402년에 우리 선조들이 그린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이하 강리도)라는 세계지도. 거기에는 많은 수수께끼가 담겨 있습니다. 아프리카 대륙을 가득 채우고 있는 거대 호수 혹은 내해...
    18.10.10 10:54 ㅣ 김선흥(ecoindian08)
  • 20화서양이 발견한 조선 지도의 가치, 정작 한국은 몰랐다

    [지도와 인간사] 강리도 칭찬이 '국뽕'? 세계 학자들이 극찬하는 세계지도

    아마 소말리아를 모르는 사람은 없겠지만 그 수도가 무엇인지 아는 사람은 드물 것입니다. 그런데 1402년 우리 선조들이 그 도시를 지도에 표기해 놓았다는 사실.모가디슈(Mogadishu)! 이번 호에서는 모가디슈와 나일강의 이름을 강리도(혼일강...
    18.09.19 16:06 ㅣ 김선흥(ecoindian08)
  • 19화조선시대 지도로 북아프리카 여행, 가능합니다

    [지도와 인간사] 강리도에 기록된 리비아 트리폴리

    1402년에 제작된 조선의 세계지도 '강리도(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서 아프리카 탐험을 이어갑니다. 지난 번에는 모로코의 유서 깊은 오아시스 도시 '씨질마싸(Sijilmasa)'를 강리도에서 찾아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모로코의 옛 수도 파스(Fas, 영...
    18.09.07 16:44 ㅣ 김선흥(ecoindian08)
  • 18화세계지도 제작→대마도 정벌... 과연 우연일까

    [지도와 인간사] 지리적 시야가 나라의 흥망을 결정한다

    1402년 한양에서 그린 세계지도에 모로코의 옛 오아시스 도시가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면? 현재 그 오아시스의 이름은 타필랄트(Tafilalt), 마을 이름은 리사니(Rissani). 옛날 옛적엔 그곳에 아주 유명한 중세 도시가 하나 있었습니다. ...
    18.08.17 18:16 ㅣ 김선흥(ecoindian08)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Copyright © Ohmy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