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사이트

  • 오마이뉴스
  • 오마이스타
  • 오마이TV
  • 오마이포토
  • 10만인클럽
  • 오마이뉴스APP

공유하기

박장식의 환승센터
  • 메일
  • URL복사 https://omn.kr/1puc2

오마이뉴스

시리즈
  • 검색 닫기
  • 연재발행
  • 이용안내
  • |
  • 로그인/회원가입

검색

시리즈

박장식의 환승센터

공유하기

박장식의 환승센터

  • 경제
  • 연재 중
  • 기사209
  • 구독3
  • 박장식
  • 공유

참여기자 :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기자 박장식 (trainholic) 내방
  • OhmyNews
  • 검색 닫기
  • 로그인/회원가입
  • 시리즈
  • 연재
    • 전체연재
    • 프리미엄연재
    • 분야별 보기닫기
    • 사는이야기
    • 사회
    • 경제
    • 정치
    • 문화
    • 민족·국제
    • 교육
    • 책동네
    • 여행
    • 미디어
    • 여성
    • 스타
  • 연재기사
    • 전체 연재기사
    • 인기 연재기사
  • 추천 연재기자
  • 리스트형
  • 카드형
  • 최신순
  • 과거순
  • 209화평일엔 '한산', 주말엔 '북적'... 수도권 마지막 낭만철도의 고민

    [박장식의 환승센터] '기차여행 감성'으로 사랑받는 교외선, 해결해야 할 부족함도 눈에 띄어

    2004년 운행 중단됐던 교외선이 21년 만에 재개통한 지 6개월이 됐다. 고양 대곡역에서 의정부역까지 하루 열 번씩 운행하는 교외선은 수도권 북부 지역의 중요한 교통수단이자 관광 철도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평일 탑승률 18.9%, 주말 37.7%에 그치는 현실은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환승 불가능, 복잡한 승차 절차, 부족한 역 위치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낭만 철도로서의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일상 교통수단으로 정착하기 위한 보완이 시급하다....
    25.07.12 19:00 ㅣ 박장식(trainholic)
  • 208화철도 위 공간을 '3차원'으로... 서울의 첫 '철도 넘는 다리'

    [6월 28일 철도의 날] 건널목 대신 '과선교'로, 철거 앞둔 서울의 '첫 입체교차' 서소문고가

    1966년 개통된 서소문고가차도는 대한민국 최초로 철도와 도로가 3차원으로 교차하는 시설물로, 서울의 교통 역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당시 서울은 늘어나는 교통량과 철도 건널목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고가도로 건설을 추진했다. 총 길이 493.2m, 교량 길이 330m의 서소문고가차도는 개통 당시 '서울이 3차원 도시가 되었음'을 자축하는 상징물이었다. 현재 안전등급 D등급을 받아 7월 철거가 예정되어 있으나, 한국 철도와 도로 발전의 역사적 가치를 기념할 방안이 필요하다....
    25.06.28 16:14 ㅣ 박장식(trainholic)
  • 207화'14년 동안 동결' 철도 요금... 이재명 정부는 어떤 선택 할까?

    중요한 교통 과제 중 하나이자 민생 과제... 철도 적자 해소·안전 지킬 수 있도록 적정선 찾아야

    우리가 매일 이용하는 교통, 그리고 대중교통에 대한 소식을 전합니다. 가려운 부분은 시원하게 긁어주고, 속터지는 부분은 가차없이 분노하는 칼럼도 써내려갑니다. 교통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전하는 곳, 여기는 <박장식의 환승센터>입니다...
    25.06.17 16:15 ㅣ 박장식(trainholic)
  • 206화명절 기차표, '대국민 수강신청'이 점점 힘들어지는 이유

    이번 설 이동, 철도 분담률 4.5%에 불과... 명절 넘어 평일에도 '만성 부족', 해결 방안 없을까

    설 연휴가 다 끝나가고 있습니다. 그런 연휴 기간, 어떤 교통 수단을 타고 고향에 다녀오셨나요? 아마 많은 분이 자동차를 이용해 다녀왔다고 말씀하실 겁니다. 그도 그럴만한 것이 국토교통부도 설 연휴를 맞이해 특별교통대책을 발표하면...
    25.01.30 18:47 ㅣ 박장식(trainholic)
  • 205화기차 타고 땅끝마을로... 다시 만난 낭만열차도 반갑다

    [총정리] 2025년, 우리 곁을 찾아올 철도와 고속도로는?

    '푸른 뱀의 해' 임진년이 밝았다. 2025년에도 기다란 뱀처럼 한국 국토를 이어줄, 이전의 어떤 교통망보다도 편리한 시설을 갖춘 철도와 고속도로가 새로이 개통한다는 소식이 끊이지 않을 전망이다.물론 열 개가 넘는 개통식이 열린 지...
    25.01.06 17:46 ㅣ 박장식(trainholic)
  • 204화2024 한국 교통, 새로웠지만 참사로 비통했다

    [결산] GTX 등 개통 소식... 자율주행·지방공항 활성화 되었지만 '제주항공 참사'로 빛 바래

    '갑진년'이라는 단어가 까마득하다. 이미 잊은 사람들도 많을 터다. 이제는 지나간 2024년의 이름이 바로 '갑진년'이었다. 이제 하루 밖에 남지 않은 '갑진년'의 한국 교통은 어떻게 정리할 수 있을까.2024년 한국 교통은 '다사다난'이었다. 기쁜...
    24.12.31 16:24 ㅣ 박장식(trainholic)
  • 203화추가 개통한 GTX 타보니... '교통 혁명' 맞지만 이건 좀 아쉽네요

    [현장] 모든 교통수단 뛰어넘는 속도 좋았지만... 깊은 데다 불편한 승강장 접근 흠

    12월 28일 파주 운정신도시에서 서울역까지의 구간이 새로이 개통한 수도권광역급행철도, GTX의 A 노선. 킨텍스역을 비롯해 대곡역, 연신내역이 새로이 생겨난 데다, 다른 어떠한 교통수단도 달성할 수 없는 빠른 속도가 장점인 만큼 기대 ...
    24.12.29 10:56 ㅣ 박장식(trainholic)
  • 202화대구·경북 광역전철 시대 개막, 구미-경산 대경선 개통

    14일부터 본격 운행 시작... 지하철과의 환승 불편·혼잡 대안 부족 딛고 성공할까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잇는 광역전철의 시대가 드디어 개막한다. 구미시와 칠곡군·대구광역시, 그리고 경산시 사이의 경부선 철도를 활용해 전철이 운행하는, 대구권 광역철도의 첫 노선, 대경선 전철이 14일부터 개통한다.경부선 철...
    24.12.13 13:30 ㅣ 박장식(trainholic)
  • 201화경기도 가는 서울 버스가 사라진다

    '수도권 주민도 서울시민'이라던 시정 철학 반하는 행정...올해 6개 노선 단축·폐선

    '수도권 주민도 서울 시민'이라며 동행버스를 확충한 서울특별시가 정작 수십 년 동안 주민들의 발이 되어 주었던 서울시 경계 유·출입 버스를 단축하려 시도하고 있다. 버스 노선 단축으로 피해를 보는 것은 다름 아닌 서울 시민이다....
    24.11.29 14:11 ㅣ 박장식(trainholic)
  • 200화또 다시 스멀스멀... '철도 지하화', 혈세 써서 지역 불균형 키우나

    기어이 본궤도 오른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사업... 세 가지 조건 선결돼야

    인프라 불균형만 키울 것이 뻔한 사업이 추진 본궤도에 올랐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25일까지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제안서를 5개 지자체로부터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철도 지하화 사업이 진행될 전망이다.지난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 그...
    24.11.17 11:20 ㅣ 박장식(trainholic)
  • 199화자동차보다 빠른 버스? 당산역에서는 가능합니다

    지난 1일 개통 당산역 환승센터 도시고속도로와 바로 연결... 다른 환승 거점에도 이어지길

    '버스전용차로 없이도 자동차보다 빠른 버스', 정말로 쉽지 않은 문제다. 버스는 기본적으로 승용차보다 가감속 성능이 좋지 못하고, 100km/h 이상 달리지도 못하기 때문이다. 정체 구간에서는 승용차처럼 꼼짝도 못하고 갇혀 있어야 한다....
    24.09.19 15:05 ㅣ 박장식(trainholic)
  • 198화고향 갈 표 아직 못 구했다? 일단 여기로 가시면 좋습니다

    명절 연휴 자동차, 대중교통 꿀팁부터 안 붐비는 휴게소 찾는 법까지... 모두 정리했습니다

    어떤 길을 가더라도, 명절에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걸 모두가 공감하실 것입니다. 그리고 꽤나 많은 분들이 자동차를 이용해 귀성길에 오릅니다. 한국도로공사는 이번 추석 연휴 기간 하루 평균 591만 대가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등, 연휴 기간 36...
    24.09.14 10:47 ㅣ 박장식(trainholic)
  • 197화한강 건너는 열 번째 지하철 생긴다... 별내선 10일 개통

    남양주·구리와 서울 강동·송파, 성남 연결... 지역 '기대만발'

    한강을 건너는 열 번째 지하철이 생긴다. 10일부터 서울 지하철 8호선의 구리·남양주 방향 연장선인 별내선이 개통한다. 별내역을 출발해 다산·동구릉·구리·장자호수공원·암사역사공원 등 6개 역 12.5km가 새로 생겨나며, 암사역에...
    24.08.09 18:00 ㅣ 박장식(trainholic)
  • 196화출입구 늘린다고 '끝' 아니다... 성수역의 더 큰 문제

    [현장] 다른 역보다 좁은 승강장, 부족한 출입구... 장기적인 대책 필요해

    많은 이들이 찾는 명소가 된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이 최근 과밀 논란에 휩싸여 있다. 출퇴근 시간 등 유동 인구가 많은 시간대 3번 출구는 10분 이상 줄을 서야 에스컬레이터를 겨우 타고 대합실까지 올라갈 수 있다. 늘어선 줄로 인한 안...
    24.07.21 17:48 ㅣ 박장식(trainholic)
  • 195화한때 가장 빨랐던 이 열차 때문에 '성심당'도 생겼다

    [6월 28일 철도의 날] 전쟁의 상흔 딛고 서울과 부산 오간 '통일호'

    1956년의 어느 날, 부산에서 서울로 가던 '초특급 열차'가 있었다. 쌈짓돈을 모아, 가산을 모두 싸맨 승객들의 꿈을 싣고 달리던 이 열차는 운행한 지 겨우 2년 밖에 되지 않은 최신 열차였다.당시 철도 상황이 열악했다고는 하지만,...
    24.06.28 20:42 ㅣ 박장식(trainholic)
  • 194화'교통혁명'이라던 GTX의 처참한 성적표, 그 이유는

    하루 평균 이용객 1만 명도 안돼... 보완 없으면 12월 개통 구간도 '적신호'

    '수도권 교통 혁명'이라는 찬사를 받으며 개통한 GTX-A의 성적표가 예상보다 너무 저조하다. 지난 3월 동탄역과 수서역을 잇는 노선으로 첫 번째 개통 소식을 알렸지만, 승차객이 하루 평균 1만 명도 채 되지 않아 적자를 우려해야 할 판...
    24.05.16 07:06 ㅣ 박장식(trainholic)
  • 193화경기도에서 서울로 출퇴근... 이 '교통패스'가 딱입니다

    [완벽 정리] 기후동행카드부터 K-패스, 경기·인천패스, 지하철 정액권까지

    최근 '교통패스' 소식이 부쩍 많이 들립니다. 서울시가 무제한 교통 패스인 '기후동행카드'를 올해 초 출시하면서 '교통비 절감 정책대전'이 시작되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어 일찍이 추진되고 있던 국토교통부 '알뜰교통카드'가...
    24.04.28 10:47 ㅣ 박장식(trainholic)
  • 192화5월 1일부터, '청룡열차'가 전국을 달립니다

    [시승기] 서울 - 부산·광주 오갈 KTX-청룡, 미리 타봤더니...

    5월부터는 청룡열차를 타고 부산에서 서울을 갈 수 있고, 평일에는 서울에서 광주도 다녀올 수 있다. 롤러코스터가 그렇게 먼 거리를 갈 수 있냐고? 진짜 이름이 '청룡'인 열차가 개통하기 때문이다.5월 1일부터 한국고속철도, KTX의...
    24.04.27 14:52 ㅣ 박장식(trainholic)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Copyright © Ohmy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