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사이트

  • 오마이뉴스
  • 오마이스타
  • 오마이TV
  • 오마이포토
  • 10만인클럽
  • 오마이뉴스APP

공유하기

정윤섭의 <녹색의 장원 녹우당>
  • 메일
  • URL복사 https://omn.kr/1q6sp

오마이뉴스

시리즈
  • 검색 닫기
  • 연재발행
  • 이용안내
  • |
  • 로그인/회원가입

검색

시리즈

정윤섭의 <녹색의 장원 녹우당>

공유하기

정윤섭의 <녹색의 장원 녹우당>

목포대학교 대학원 역사학과 박사과정 중에 있으며,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연구하고 알리는 일들을 하고 있다. 녹우당 해남윤씨가의 삶의 자취를 더듬다가 이들이 자연과 함께 자연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삶 속에서도 풍부한 학문과 예술정신을 꽃피우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 오랜 역사의 이어짐이 어떤 곳에서 나오게 되었는가 그 자취를 찾아보게 되었다.

더보기
  • 문화
  • 연재 종료
  • 기사38
  • 정윤섭
  • 공유

참여기자 :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기자 정윤섭 (cul70) 내방
  • OhmyNews
  • 검색 닫기
  • 로그인/회원가입
  • 시리즈
  • 연재
    • 전체연재
    • 프리미엄연재
    • 분야별 보기닫기
    • 사는이야기
    • 사회
    • 경제
    • 정치
    • 문화
    • 민족·국제
    • 교육
    • 책동네
    • 여행
    • 미디어
    • 여성
    • 스타
  • 연재기사
    • 전체 연재기사
    • 인기 연재기사
  • 추천 연재기자
  • 리스트형
  • 카드형
  • 최신순
  • 과거순
  • 38화왕실에서 하사한 물품목록 '은사첩'

    [녹색의장원 38] 쌀·포·잡물 등 일상생활용품 많아

    ...
    07.10.15 09:44 ㅣ 정윤섭(cul70)
  • 37화'절식'으로 지조지킨 조선시대 여인

    [녹색의장원 37] 고산의 문학성 이어받은 윤이후의 어머니

    ...
    07.09.29 09:27 ㅣ 정윤섭(cul70)
  • 36화장수한 사람은 하늘의 운명을 타고날까

    [녹색의 장원 36] 장수한 종손과 단명한 종손

    ...
    07.09.18 08:55 ㅣ 정윤섭(cul70)
  • 35화조선왕조 마지막 종부 광주이씨의 유서

    [녹색의 장원 녹우당 35] 근현대 격변기의 고단한 삶 묻어나

    이 유서는 오늘날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부모가 자식들에게 남기는 그런 유서라고 할 수 있는데 자세히 보면 옛 고문서의 형식과도 많이 닮았음을 알 수 있다. 부모가 죽기 전에 자식들에게 ...
    07.06.12 08:52 ㅣ 정윤섭(cul70)
  • 34화장원의 숲 녹우당 지키는 '불천위 사당'

    <녹색의 장원 녹우당 34> 봉제사, 장자에게 재산 물려받게 한 계기

    사당은 죽은 자를 위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산 자와 죽은 자를 지속적으로 연결해주는 고리'같다는 느낌이 든다. 고산 윤선도 고택인 녹우당 안채 옆을 따라 올라 가다보면 덕음산을 뒤로 자리 잡은 고산 사당을 볼 수 있다. 또한 고산 사당 바로 뒤편에는 이곳에...
    07.05.20 19:36 ㅣ 정윤섭(cul70)
  • 33화보길도 고산유적지는 인조를 위한 행궁?

    [녹색의장원 녹우당 33] 임금을 위한 입보처에서 고산의 실락원으로

    보길도는 고산의 손자인 윤위가 1748년 지은 <보길도지>(甫吉島識)에서 그 모습을 생생히 되살리고 있는데, 현재 발굴과 복원을 통해 드러나는 거대한 유거지가 과연 고산 자신만의 호사스런...
    07.05.01 14:01 ㅣ 정윤섭(cul70)
  • 32화해남윤씨가는 과연 국부(國富)였나?

    [녹색의장원 녹우당 32] 재산상속 '남녀균분' 덕에 큰 부자로

    해남윤씨가의 재산경영 스타일은 어떤 것이었을까? 당시 성리학을 신봉하는 집안에서 오늘날처럼 이윤을 중요시 여기는 경제 논리를 적용하기 어려웠겠지만 집안에 내려오는 가훈과 문서들을 통해 보면 ...
    07.04.23 10:01 ㅣ 정윤섭(cul70)
  • 31화조선후기 대흥사, 유학자와 불승들의 교유처

    <녹색의 장원 녹우당 31> 해남윤씨 사대부들과도 오랜 인연

    조선조 500년의 사상사는 유학과 불교의 대립 속에서 유학이 지배했다고 할 수 있지만 평민대중에게는 불교가 신봉의 대상이었다. 특히 일반 계층에서의 불교와 유교는 공생했다고 할 수 있는데, 유학이 귀족계층인 사대부들의...
    07.04.11 10:43 ㅣ 정윤섭(cul70)
  • 30화과부였던 광주이씨 부인과 '규한록'

    [녹색의 장원 녹우당 30] 쇠락한 해남윤씨가를 일으켜 세운 당찬 여인

    해남윤씨가 다시 한번 일어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인물이 나타나는데 이가 곧 종부 광주이씨다. 광주이씨는 전남 보성(대곡)에 살고 있었으며 녹우당 해남윤씨가와 혼약이 맺어지자 광호와 결혼을 하게 되나 ...
    07.03.28 10:48 ㅣ 정윤섭(cul70)
  • 29화최초 천주교 순교자 윤지충과 정약용

    29. 소외된 남인계 학자들의 만남과 죽음

    우리나라 천주교회사에서 최초의 순교자로 일컫고 있는 사람은 윤지충(尹持忠, 1759~1791)이다. 윤지충은 진산(현 충남 금산) 출신이지만...
    07.03.19 08:47 ㅣ 정윤섭(cul70)
  • 28화공재 화풍 이어받은 낙서 윤덕희

    28. 집안의 가전고적들 정리 후손에 전해

    윤덕희의 생애에 대해서는 녹우당에 소장되어 있는 유고집인 <수발집>(溲勃集)에서 엿볼 수 있는데, 그의 나이 21세에서 82세까지의 시문이 연대기로 쓰여 있어 그의 생애와 교유관계, 회화관을 살필 수 있다....
    07.03.12 10:48 ㅣ 정윤섭(cul70)
  • 27화'채애도' 속에 나타난 공재의 풍속화

    27 .생활속에서 추구한 가풍 우러나

    사대부 출신이었던 윤두서가 이처럼 민중적인 것을 소재로 다룰 수 있었던 것은 공산기예(工産技藝)에 이르기까지 관심을 가졌던 그의 실학성과 박학(博學)을 추구하는 집안의 학문경향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07.03.05 10:22 ㅣ 정윤섭(cul70)
  • 26화공재가 녹우당에서 이룬 문예부흥

    학문과 예술의 교유 공간 '녹우당'... 추사, 다산, 소치 등에 영향

    공재가 이룩한 당시의 학문과 예술 문화적 성과들은 곧바로 그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는데 녹우당, 대흥사를 중심으로 머물고 간 추사 김정희, 다산 정약용, 원교 이광사, 소치 허유 등 당대의 석학들이 남긴 문화적 중흥은 문예 부흥기를 연상시킨다....
    07.02.15 09:46 ㅣ 정윤섭(cul70)
  • 25화공재가 살았던 백포마을의 장원

    녹우당 해남윤씨가의 5백년 역사여행

    해남윤씨가의 족보를 보면 공재는 10형제의 자식을 둔 것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녹우당 해남윤씨 종손 중에 아마 가장 많은 자식을 낳은 것으로 되어 있어 그의 짧은 생애에 비해 정렬적이고도 ...
    07.02.03 10:27 ㅣ 정윤섭(cul70)
  • 24화형형한 그 눈매와 박학을 추구했던 학문정신

    공재 윤두서와 남인 실학자들 24

    녹우당 해남윤씨가 인물 중에 고산은 정치적인 인물이기도 하지만 예술적으로는 뛰어난 문학인이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고산의 예술적 기질을 이어받아 고산의 증손자로 태어난 인물이 공재 윤두서...
    07.01.23 09:22 ㅣ 정윤섭(cul70)
  • 23화윤선도의 간척 유거지에 선 배중손

    시대 이데올로기에 모시는 인물도 바뀌어

    ...
    07.01.10 10:56 ㅣ 정윤섭(cul70)
  • 22화<보길도지>에서 찾은 고산의 흔적

    외로운 산이 경영한 천혜의 섬, 보길도

    남해의 진섬 보길도를 찾는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가장 먼저 '윤선도 유적지'를 떠올린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은 고산이 이곳 보길도에서 유배생활을 한 것으로 생각한다. 조선시대에 ...
    06.12.26 11:39 ㅣ 정윤섭(cul70)
  • 21화역사속의 라이벌 윤선도와 송시열

    예송논쟁 통해 성리학에 대한 담론대결

    고산과 우암은 각각 남인과 서인에 속하며 당시 가장 첨예하게 대립했던 정적관계였다. 또한 두 사람은 봉림대군(효종)의 스승이었으며 당 시대인으로는 드물게 80을 넘게 살면서(우암은 83세, 고산은 85세) 다섯 임금을 섬겼는데 ...
    06.12.18 09:28 ㅣ 정윤섭(cul70)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Copyright © Ohmy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