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포토] 반헌법적 계엄 선포, 윤석열 즉각 퇴진 촉구 교사 시국선언 ⓒ 이정민
전교조는 6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반헌법적 계엄 선포, 윤석열 즉각 퇴진 촉구 교사 시국선언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지난 12월 3일 밤, 윤석열 정부는 불법 계엄을 선포하고 총칼로 국회를 난자하면서 민주주의라는 교실을 무너뜨렸다"라며 "그러나 계엄군을 투입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유린했던 윤석열은 여전히 대통령이며 그 어떤 책임도 지지 않았다"고 분노했다.
전교조는 "우리 교사들은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의 편'이라는 격언을 가슴에 새기며, 윤석열 즉각 퇴진을 촉구하기 위한 시국선언에 나선다. 권력을 상실할 위기 앞에서 계엄이라는 비상식적이고 반헌법적인 조치를 취한 윤석열은 이제 더 이상 대통령이 아니다"라며 "윤석열을 퇴진시키고, 그가 저지른 범죄에 대한 죗값을 치를 때까지 투쟁할 것이다"라고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반헌법적 계엄 선포, 윤석열 즉각 퇴진 촉구 교사 시국선언 ⓒ 이정민
반헌법적 계엄 선포, 윤석열 즉각 퇴진 촉구 교사 시국선언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지난 12월 3일 밤, 윤석열 정부는 불법 계엄을 선포하고 총칼로 국회를 난자하면서 민주주의라는 교실을 무너뜨렸다"라며 "우리 교사들은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의 편'이라는 격언을 가슴에 새기며, 윤석열 즉각 퇴진을 촉구하기 위한 시국선언에 나선다. 권력을 상실할 위기 앞에서 계엄이라는 비상식적이고 반헌법적인 조치를 취한 윤석열은 이제 더 이상 대통령이 아니다"라며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 이정민
반헌법적 계엄 선포, 윤석열 즉각 퇴진 촉구 교사 시국선언 ⓒ 이정민
반헌법적 계엄 선포, 윤석열 즉각 퇴진 촉구 교사 시국선언 전교조가 6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반헌법적 계엄 선포, 윤석열 즉각 퇴진 촉구 교사 시국선언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이정민
[교사 시국선언문]
윤석열이 대통령인 나라에서 더 이상 정의를 가르칠 수 없다
민주주의라는 교실이 무너졌다
학생들에게 이 사회는 하나의 커다란 교실과 같다. 지난 12월 3일 밤, 윤석열 정부는 불법 계엄을 선포하고 총칼로 국회를 난자하면서 민주주의라는 교실을 무너뜨렸다. 분노한 국민들이 국회로 달려와 온몸으로 계엄군을 막아서고 국회가 계엄 해제를 결의해 최악의 사태는 막았으나, 계엄군을 투입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유린했던 윤석열은 여전히 대통령이며 그 어떤 책임도 지지 않았다.
반헌법적인 행위를 저지른 윤석열이 어째서 여전히 대통령인지 학생들이 묻는다면, 우리는 교사로서 어떻게 답해야 하는가? 그저 이루 말할 수 없이 참담하고 비통하며, 진작 대통령을 끌어내리지 못한 어른으로서 부끄러울 뿐이다. 민주주의를 무너뜨린 윤석열이 대통령으로 존재하는 나라에서, 교사들은 더 이상 정의를 가르칠 수 없다.
폭력은 정권의 종말을 불러올 뿐이다
계엄은 군사독재 정권이 권력의 연장을 위해 민주주의를 파괴했던 수단이다. 지난 44년 간 계엄이 선포되지 않았던 이유는, 우리 사회가 폭력이 아닌 평화에 기반한 권력 분립과 민주화 정신을 지켜왔기 때문이다.
정부는 그 어떤 폭력으로도 국민을 이길 수 없으며, 계엄 선포는 정권의 종말을 불러올 뿐이다. 대한민국의 주인은 윤석열이 아니라 국민이다. 대통령으로서 남발하는 그 권리 또한 국민이 부여한 것이며, 이제 국민이 직접 나서 대통령을 거부하고 권리를 박탈할 것이다.
교사들은 침묵하지 않고 저항할 것이다
우리 교사들은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의 편'이라는 격언을 가슴에 새기며, 윤석열 즉각 퇴진을 촉구하기 위한 시국선언에 나선다. 윤석열 정부가 아무리 탄압해도, 교사들은 침묵하지 않고 저항할 것이다. 우리가 두려워하는 것은 저들의 협박과 탄압이 아니라, 우리를 따르는 학생들의 해맑은 웃음과 초롱초롱한 눈빛 바로 그것이기 때문이다.
권력을 상실할 위기 앞에서 계엄이라는 비상식적이고 반헌법적인 조치를 취한 윤석열은 이제 더 이상 대통령이 아니다. 국민들을 상대로 '계엄법에 의해 처단한다'고 겁박하고, 종북 세력을 척결하겠다는 망상에 빠져 나라를 전쟁 위기로 몰아넣은 윤석열 정부야말로 반국가 세력이다. 우리는 윤석열을 퇴진시키고, 그가 저지른 범죄에 대한 죗값을 치를 때까지 투쟁할 것이다.
2024년 12월 6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시국선언 동참 교사 15,225명 일동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