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해질 무렵 하늘에 펼쳐지는 황홀한 가창오리의 군무입니다. 가창오리가 AI의 주범이라면 이미 떼죽음하고 사라졌어야 합니다. 그러나 가창오리는 여전히 저녁 하늘에 황홀한 군무를 펼치고 있습니다.
 해질 무렵 하늘에 펼쳐지는 황홀한 가창오리의 군무입니다. 가창오리가 AI의 주범이라면 이미 떼죽음하고 사라졌어야 합니다. 그러나 가창오리는 여전히 저녁 하늘에 황홀한 군무를 펼치고 있습니다.
ⓒ 김신환

관련사진보기


철새들이 조류인플루엔자(AI)의 주범이라고요? 과연 그럴까요. 철새들은 AI를 퍼트리는 주범이 아니라, 공장식 축산이라는 인간의 탐욕이 빚은 AI 재앙의 피해자입니다. 정부는 오늘도 AI를 퍼트리는 주범으로 철새들을 지목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철새들이 AI 발병의 주범이 아닌 이유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연일 방송이 조류인플루엔자(H5N8형 AI)로 난리입니다. 지난 1월 16일 전북 고창에서 시작된 AI가 전남 해남, 부안, 나주를 비롯해 충남 천안과 경기 안산의 시화호 등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27일 보도자료에 따르면 지금까지 43개 농장에 64만4천 마리(오리 39농장 54만4천 마리, 닭 4농장 10만마리)가 살처분되었으며, 앞으로 27개 농장의 81만 3천마리(오리 6농장 16만4천 마리, 닭 21농장 64만9천 마리)가 더 살처분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수많은 닭과 오리들이 AI의 확산을 막기 위한 예방적 차원이라는 이름 아래 산 채로 매장되는 끔찍한 재앙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살아있는 생명을 매장하는 이게 얼마나 효과가 있으며, 과연 정상적인 세상일까요?
 수많은 닭과 오리들이 AI의 확산을 막기 위한 예방적 차원이라는 이름 아래 산 채로 매장되는 끔찍한 재앙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살아있는 생명을 매장하는 이게 얼마나 효과가 있으며, 과연 정상적인 세상일까요?
ⓒ MBC뉴스

관련사진보기


가창오리 역시 AI의 피해자입니다

정부는 동시 다발적으로 전국에서 발생하는 AI 발병의 원인으로 철새들을 지목하고 있습니다. AI가 최초로 발생한 고창의 동림저수지변 가창오리들이 떼죽음했고, 죽은 가창오리에서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검출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가창오리와 철새들이 이번 AI의 주범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AI의 잠복기는 1주일에서 10일입니다. 그런데 동림저수지를 비롯하여 한국에 가창오리가 날아온 것은 지난해 11월입니다. 만약 가창오리가 AI의 주범이라면 이미 지난해 11~12월에 AI가 발생했어야 합니다.

AI가 발병하자 정부는 동림저수지에서 떼죽음 당한 가창오리가 1000마리라며 가창오리가 주 원인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마을 주민들은 동림저수지에서 사체로 발견된 가창오리와 철새의 수는 큰 기러기와 고니를 포함, 98마리에 불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최초 AI 발병지로 지목된 동림저수지를 찾아온 가창오리수는 무려 20만 마리입니다. 정부의 주장처럼 가창오리가 AI의 주범이라면 시베리아에서 날아온 지 왜 2~3개월이 지나서야 죽었을까요. 그리고 20만 마리의 가창오리 중에 왜 고작 81마리만 죽었으며, 그 후로 계속 떼죽음당한 가창오리는 왜 발견되지 않았을까요.

지난해 11월 날아온 철새들이 2~3개월 지난 시점에서 고병원성 바이러스에 감염됐다는 건 무엇을 의미할까요. 철새들이 AI를 옮긴 주범이 아니라 시베리아에서 한국에 날아온 이후 철새들이 AI에 감염됐다고 봐야 하는 게 아닐까요?

철새들이 AI로 죽은 원인은 두 가지로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동림저수지 주변의 오리 농장에서 발생한 AI균이 저수지로 흘러들어가 철새들을 감염시켰을 가능성과 먹을 것을 찾아 돌아다니던 가창오리가 AI에 오염된 오리축사 주변에서 AI에 감염되었을 수 있습니다.

겨울, 철새들은 배가 고픕니다

겨울 들녘에 하얀 눈사람이 줄지어 있습니다. 몇 해 전부터 추수가 끝난 들녘에 생긴 이상한 풍경입니다. 이 하얀 덩어리는 '곤포 사일리지'라고 부르는 것으로 탈곡이 끝난 볏짚을 소 사료용으로 쓰기 위해 비닐로 감아 놓은 것입니다.

소사료용으로 쓰기 위해 볏짚단을 비닐로 둘둘 만 곤포 사일리지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제 추수 끝난 들녘엔 철새들이 먹을 것이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습니다.
 소사료용으로 쓰기 위해 볏짚단을 비닐로 둘둘 만 곤포 사일리지를 만들고 있습니다. 이제 추수 끝난 들녘엔 철새들이 먹을 것이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습니다.
ⓒ 최병성

관련사진보기


사료 값 상승에 대한 해결책으로 고안해 낸 것이 바로 볏짚 곤포 사일리지입니다. 볏짚 곤포 사일리지는 추수가 끝난 논의 볏짚을 500Kg 단위로 뭉친 후, 발효제 등을 섞어 숙성시켜 만듭니다. 

추수 끝난 들녘에 길게 늘어선 볏짚은 또 하나의 아름다움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젠 논에서 볏짚을 구경할 수가 없습니다. 개당 5~6만 원에 이르는 볏짚 곤포 사일리지가 또 하나의 수입원이 되면서 논에서 볏짚이 사라지게 된 것입니다.

문제는 논에 떨어진 낙곡을 주워먹고 살아가는 철새들입니다. 예전엔 추수가 끝난 들녘에 떨어진 낙곡이 많아 철새들이 겨울나기에 걱정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성능 좋아진 콤바인 덕으로 추수 때에 논바닥에 떨어지는 낙곡이 거의 없습니다. 게다가 곤포 사일리지로 볏짚마저 싹쓸이해 가니 대한민국을 찾아 온 철새들은 추운 겨울 내내 쫄쫄 굶게 된 것입니다.

'곤포 사일리지'라고 부르는 소 사료용을 위한 볏짚단 싹쓸이로 인해 천연기념물 두루미가 먹을 것이 없어 굶주리고 있습니다. 자연과 더불어 나누지 않는 인간의 탐욕이 철새들을 굶주려 병들게 만들고 있습니다.
 '곤포 사일리지'라고 부르는 소 사료용을 위한 볏짚단 싹쓸이로 인해 천연기념물 두루미가 먹을 것이 없어 굶주리고 있습니다. 자연과 더불어 나누지 않는 인간의 탐욕이 철새들을 굶주려 병들게 만들고 있습니다.
ⓒ 최병성

관련사진보기


최근 서산 천수만에서 충격적인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국내 최대 철새 도래지 천수만에 철새가 없다는 사실입니다. 예전의 천수만은 호수에도, 추수 끝난 들녘에도, 하늘에도 큰기러기들로 가득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몇 시간 동안 돌아다녀도 그 흔한 큰기러기를 만나기 힘듭니다.

천수만을 가득 채우고 있던 큰기러기와 흑두루미와 철새들이 사라진 것입니다. 철새도래지에 가득했던 철새 무리가 왜 사라진 것일까요? 먹을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철새들이 먹을 것을 찾아 사방팔방으로 흩어진 것입니다.

몇 해 전 추수 끝난 겨울 천수만 들녘 하늘(위 사진)을 날아가는 큰기러기들과 호수(가운데 붉은 동그라미)에 가득했던 큰기러기 무리입니다. 천수만에 큰기러기가 얼마나 많았는지, 가운데 붉은 동그라미 속의 큰기러기는 아래 사진의 점처럼 길게 늘어선 큰기러기 무리의 한 부분을 확대한 것에 불과합니다. 이렇게 엄청나게 많았는데, 지금은 전혀 없습니다. 이 많은 기러기가 굶주려 사방으로 사라졌으니 AI를 전파하는 매개체가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몇 해 전 추수 끝난 겨울 천수만 들녘 하늘(위 사진)을 날아가는 큰기러기들과 호수(가운데 붉은 동그라미)에 가득했던 큰기러기 무리입니다. 천수만에 큰기러기가 얼마나 많았는지, 가운데 붉은 동그라미 속의 큰기러기는 아래 사진의 점처럼 길게 늘어선 큰기러기 무리의 한 부분을 확대한 것에 불과합니다. 이렇게 엄청나게 많았는데, 지금은 전혀 없습니다. 이 많은 기러기가 굶주려 사방으로 사라졌으니 AI를 전파하는 매개체가 될 수도 있는 것입니다.
ⓒ 최병성

관련사진보기


철새도 잘 먹고 튼튼해야 질병에 걸리지 않습니다. 그런데 먹을 것이 없다보니 굶주린 철새들이 먹을 것을 찾기 위해 주변 오리농가를 기웃거리게 되고, 면역성이 약해진 철새들은 오리·닭 농장의 가금류로부터 AI 질병이 전염됐을 가능성이 큽니다. 

AI의 주범은 인간의 탐욕입니다

지난 2010년 가을, 경상북도 안동에서 발생하여 전국으로 퍼져나간 구제역으로 348만여 마리의 가축이 매몰됐습니다. 다시 3년여 만에 찾아온 AI로 백만 마리가 넘는 닭과 오리를 생매장하는 이 끔찍한 재앙의 근본 원인은 철새가 아니라 바로 인간의 탐욕입니다.

더 싼값에 고기를 먹기 원하는 소비자와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한 축산 농가의 공장식 축산이 빚은 합작품입니다. 좁은 공간에 너무 많은 닭과 오리를 키우다 보니 면역성 저하로 인한 전염병은 너무도 당연한 결과입니다. 한국의 축산업은 너무 좁은 공간에 너무 많은 사육 두수를 키우는 열악한 환경에 있습니다. 그로 인한 항생제 등의 약물 남용이 심각함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농림수산식품부의 자료에 따르면 나라별 1ha당 사육되는 소의 경우 한국 31마리, 일본11.67마리, 오스트레일리아 3.5마리, 미국 9.54마리이고, 돼지는 1ha당 한국 96마리, 일본 26.53마리, 오스트레일리아 0.29마리, 미국 6.65마리입니다. 한국의 축산업이 얼마나 밀집된 공장 축산이며 질병에 약할 수밖에 없는지 잘 보여주는 것입니다.

조류인플루엔자(AI)란 사람으로 치면 감기와 같은 것입니다. 현재 국내 축산업은 수익을 위해 좁은 공간에 너무 많은 닭과 오리를 키우기 때문에 AI와 구제역에 취약한 것입니다.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주변 환경을 깨끗하게 하면 감기에 걸리지 않습니다.

인간의 탐욕을 위한 공장식 축산이 개선되지 않는 한 AI와 구제역의 재앙은 앞으로도 계속 반복될 것입니다. 그리고 효과도 의문시되는 방역과 살아 있는 수많은 생명들의 살처분이라는 끔찍한 재앙 역시 끝없이 이어질 것입니다.

생매장되는 오리들입니다. 이렇게 살아있는 생명들을 생매장하면 AI를 예방할 수 있을까요? 저렇게 생매장된 오리 중에 AI에 걸린 오리는 과연 몇마리나 될까요? 인간의 탐욕으로 인해 너무 많은 생명이 죽음을 당하고 있고, 그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이 사회가 정상이 아닙니다.
 생매장되는 오리들입니다. 이렇게 살아있는 생명들을 생매장하면 AI를 예방할 수 있을까요? 저렇게 생매장된 오리 중에 AI에 걸린 오리는 과연 몇마리나 될까요? 인간의 탐욕으로 인해 너무 많은 생명이 죽음을 당하고 있고, 그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이 사회가 정상이 아닙니다.
ⓒ 한국동물보호협회

관련사진보기


한국동물보호연합, 동물사랑실천협회 등 4개 단체는 지난 24일 공동 성명을 통해 "2003년 국내에서 AI가 처음 발생 이후 2003년, 2006년, 2008년, 2010년 10년 동안 2~3년 주기로 반복되며 총 약 2500만 마리의 가금류가 살처분되었다" 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그 기간 동안 고병원성 AI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닭과 오리의 숫자는 겨우 121마리에 불과하여, 건강하고 멀쩡한 닭과 오리 99.99%가 '예방적' 살처분이라는 이름으로 대량 학살된 것"이라며 끔직한 예방적 살처분을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철새들에게 먹을 것을 공급하라

정부의 조사 결과처럼 죽은 철새들의 사체에서 고병원성 병원균이 발견된 것은 사실일 것입니다. 그러나 철새들의 몸에서 고병원성 바이러스가 발견되었다고 철새들이 AI 발병의 주범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굶주린 철새들이 먹을 것을 찾아 돌아다니다 질병 덩어리인 공장식 축산 농가로부터 병을 옮게 되었고, 먹을 것을 찾아 또 다시 이동하던 철새들이 다른 지역으로 AI를 옮기는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된 것뿐입니다.

볏짚을 둘둘 말아버린 곤포 사일리지 주변에서 큰기러기들이 서성거려 보지만, 그 어디에도 먹을 것을 찾을 수 없습니다. 당연히 철새들은 먹을 것을 찾기 위해 사방으로 흩어지게 되고, 질병의 온상인 공장식 축산 하우스 주변에 기웃거리다 병을 옮게 되었을 것입니다.
 볏짚을 둘둘 말아버린 곤포 사일리지 주변에서 큰기러기들이 서성거려 보지만, 그 어디에도 먹을 것을 찾을 수 없습니다. 당연히 철새들은 먹을 것을 찾기 위해 사방으로 흩어지게 되고, 질병의 온상인 공장식 축산 하우스 주변에 기웃거리다 병을 옮게 되었을 것입니다.
ⓒ 최병성

관련사진보기


정부는 AI 발병의 원인을 철새에게 돌리려고만 하지 말고 올바른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연례행사처럼 벌어지는 AI와 구제역의 재앙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먼저 공장식 축산에 대한 근원적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AI와 구제역 발생에 대한 우리의 책임도 있습니다. 2002년과 2009년의 소·돼지·닭의 가축생산액 통계를 비교해보면, 우리의 육류 소비가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줍니다. 육류소비를 보면, 돼지는 2002년 2조9164억 원에서 2009년 5조4734억 원, 소는 2조1363억 원에서 4조948억 원으로, 닭은 7294억 원에서 2조229억 원으로 급격하게 증가했습니다.

이렇게 늘어나는 육류 소비에 맞추기 위해 좁은 공간에 양육하는 공장식 축산이 불가피한 것입니다. 더 이상의 재앙이 반복되지 않도록 육류소비를 조금씩 줄이는 일에 동참하는 노력이 우리 모두에게 필요합니다.

반복되는 AI를 해결하기 위한 마지막 방법으로는 철새들에게 먹을 것을 나눠주는 것입니다. 한국은 철새들의 주요 이동 통로이기 때문에 철새들의 오고감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철새들이 질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안정적인 먹이를 공급해줘야 합니다. 

먹을 것이 부족한 천수만의 철새들을 위해 볍씨를 뿌려주고 있습니다. 이런 사랑과 노력이 있어 그나마 남은 흑두루미와 기러기의 생명이 유지되는 것입니다. AI 예방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사랑이 꼭 필요합니다.
 먹을 것이 부족한 천수만의 철새들을 위해 볍씨를 뿌려주고 있습니다. 이런 사랑과 노력이 있어 그나마 남은 흑두루미와 기러기의 생명이 유지되는 것입니다. AI 예방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사랑이 꼭 필요합니다.
ⓒ 김신환

관련사진보기


오래전 우리 선조들은 까치밥이라 하여 산새들을 위해 먹을 것을 남겨주는 귀한 풍습이 있었습니다.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이지요.

지난해 12월 23일자 전북일보는 <볏짚 곤포 사일리지 과잉생산 조사료 영농법인 줄도산 위기>라는 기사를 통해 볏짚 공포 사일리지의 과잉생산과 공급으로 인해 관련 업체들이 줄도산할 위기에 처해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볏짚 싹쓸이로 철새들을 굶주려 병들게 하고, 관련업체들도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서 정부의 대책이 절실해 보입니다.

지난 20일 환경부는 야생동물의 분산 및 이동, 사람 및 차량과 야생동물의 접촉을 방지한다며 철새 먹이주기 행사 중단을 지시했습니다. 그런데 환경부의 이 대책은 오히려 AI를 전국으로 급속히 퍼트리는 재앙이 되는 셈입니다. 철새들에게 먹을 것을 공급해 주지 않는다면, 철새들이 먹을 것을 찾기 위해 서식지를 벗어나 전국 사방으로 흩어지기 때문입니다.

먹을 것이 부족해지자, 무리지어 생활하던 큰기러기들이 사방으로 흩어져 민가 주변을 기웃거립니다. 이런 과정에 축사 근처에 다가갔던 철새들이 질병에 옮게되고 그 철새가 먹이를 찾아 날아다님으로써 AI를 더 멀리 퍼트리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먹을 것이 부족해지자, 무리지어 생활하던 큰기러기들이 사방으로 흩어져 민가 주변을 기웃거립니다. 이런 과정에 축사 근처에 다가갔던 철새들이 질병에 옮게되고 그 철새가 먹이를 찾아 날아다님으로써 AI를 더 멀리 퍼트리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 최병성

관련사진보기


환경부의 먹이 공급 중단으로 인한 철새들의 이동이 벌써 확인되고 있습니다. 철새 전문가들에 의하면 20만 마리에 이르던 동림저수지의 가창오리떼가 지금은 5만 여 마리로 줄었으며, 예년보다 한 달여 빨리 금강호와 삽교호에서 가창오리 무리가 발견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순천만의 흑두루미 23마리가 서산 천수만까지 올라 온 것도 확인되었습니다. 순천시의 먹이주기가 중단되었기 때문입니다.

'철새 먹이주기 금지'라는 환경부의 잘못된 판단은 하루 속히 철회되어야 합니다. 철새들에게 안전한 먹이주기는 철새들의 이동을 줄일 뿐만 아니라, 철새들의 건강 회복을 도와줌으로써 질병을 이길 면역력을 키워줍니다.

정부는 매년 연례행사처럼 벌어지는 AI와 구제역의 재앙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공장식 축산의 폐해를 개선하고, 한국을 찾아오는 철새들에게 안전한 먹이주기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태그:#조류인풀루엔자, #AI, #가창오리, #철새, #두루미
댓글10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이 땅에 생명과 평화가 지켜지길 사모하는 한 사람입니다. 오마이뉴스를 통해서 밝고 아름다운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길 소망해봅니다. 제 기사를 읽는 모든 님들께 하늘의 평화가 가득하길 기도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