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충격 衝擊 명사
1 <물리> 물체에 급격히 가하여지는 힘.
2 <감정> 슬픈 일이나 뜻밖의 사건 따위로 마음에 받은 심한 자극이나 영향.
3 <언론> 부디 꼭 클릭해달라고 독자에게 간곡하게 부탁하거나 독자를 낚아보기 위해 언론사가 기사제목에 덧붙이는 일종의 '주문'

최근 가장 충격 받은 언론사는 중앙일보 입니다
2위 한국경제 3위 스포츠조선 4위 매일경제 5위 동아일보

'충격', '경악', '결국','헉!' 가장 많이 쓴 언론사는 어디?

'낚시기사' 감시사이트 '충격고로케' 메인화면.
 '낚시기사' 감시사이트 '충격고로케' 메인화면.
ⓒ 충격고로케

관련사진보기


'낚시 기사' 감시 사이트 '충격고로케' 메인화면이다. 인터넷판 기사 제목에 '충격'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기사들을 모아서 보여준다. 1월 14일 오후 1시 25분 현재, 제목에 '충격'을 가장 많이 쓴 언론사는 <중앙일보>로 나타났다.

'충격고로케(이하 '고로케')'에서는 이외에도 '경악', '결국', '속보', '무슨 일', '헉!', '알고 보니', '숨막히는', '이럴 수가' 등 인터넷 기사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낚시성' 제목이 들어간 기사 분류가 따로 있다. 사이트에 따르면, '요즘 가장 경악한 언론사는 <매일경제>', '요즘의 '결국왕' 언론사는 <아시아경제>', '요즘 가장 속보이는 언론사는 <경향신문>'이다. '고로케'에서 정의하는 '속보'의 뜻은 다음과 같다. 

속보 速報 명사
1 <사전> 빠른 알림, 또는 그런 보도.
2 <레알> 언론사가 자기 기사를 포털 검색어 순위에 올리기 위해, 또는 독자로 하여금 클릭하지 않으면 소식에서 뒤처질 것만 같은 두려움을 주어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기사제목에 덧붙이는 일종의 '마법주문'

언론사들이 이처럼 무분별하게 인터넷판 기사 제목에 자극적인 문구를 넣는 것은 '네이버 뉴스캐스트'의 영향이 크다. 지난해 7월 <미디어오늘>이 코리안클릭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41개 주요 언론사 홈페이지의 네이버 뉴스캐스트를 통한 사이트 유입률은 평균 75.19%에 달했다.

'고로케'는 기사 내용에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따르면'이라는 문구가 들어가는 기사도 수집한다. 언론사가 이 문구를 쓰는 이유는 "출처를 밝히지 않고 인터넷 이슈글을 기사화하거나, 실시간 검색어에 얼른 올라타기 위해, 언론사가 출처 대신 둘러대는 일종의 '핑계'"라는 것이 '고로케'의 설명이다. 소위 '검색어 장사'다. 

"충격고로케는 언론사들에게 보내는 마지막 경고"

'낚시 기사' 감시 사이트 '충격고로케'. 제목에 '헉!'이 들어가는 기사들을 수집해서 보여주고 있다.
 '낚시 기사' 감시 사이트 '충격고로케'. 제목에 '헉!'이 들어가는 기사들을 수집해서 보여주고 있다.
ⓒ 충격고로케

관련사진보기


'고로케'를 만든 사람은 프로그래머 이준행(30)씨. 대학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한 그는 '낚시 기사'가 얼마나 많은지 궁금했다고 한다. 지난 3일, 한 시간 만에 사이트를 개설했다. '고로케'라는 이름은 "고로케를 좋아해서 예전에 도메인을 사뒀는데 안 쓰고 있다가 이번에 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후 '고로케'는 입소문을 타고, 사이트를 연지 10여일 만에 4만 명 가까운 방문자수를 기록하고 있다. '고로케' 사이트에는 "신선하다", "평상시에 심각한 문제점이라고 생각했는데 애써주셔서 감사하다", "언론들 정신 좀 차려라"는 반응이 올라오고 있다 "삼성 관련 기사는 어느 언론사에서 제일 많이 내는지 알고싶다", "~했더니로 끝맺는 제목들도 만만찮게 많아보인다, '더니' 카테고리도 만들어주심은 어떨지"라는 제안도 있다.

<미디어다음>은 지난 12일 공식 트위터에 "미디어다음 편집자들은 '충격 고로케'에서 언급한 제목의 기사는 편집하지 않기로 결의(?)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음> 메인화면 뉴스에 이같은 기사를 띄우지 않겠다는 것.

이준행씨는 14일 <오마이뉴스>와 한 통화에서 "(독자들이) '신문사들이 다 이런 식으로 낚으려고 하고 있네' 즐거워하고 열광한다"면서 "얼마나 독자들이 언론사들을 희화화하고 광대로 여겼으면 이렇게 즐거워하겠나"라고 꼬집었다. 

이씨는 언론사들이 이처럼 낚시 제목을 쓰는 이유와 관련해 "조회수가 올라가면 광고가 되니까 옛날 타블로이드 신문들처럼 하는 거다, 그렇게 장사하는 것 가지고 뭐라고 할 수는 없다"면서도 "언론이 그러면 안 되는 거잖아요"라고 말했다.

"그런 식으로 의존했다가 (언론이) 본질적으로 해야 할 역할을 잃어버리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고 바뀌어야 한다. '르몽드' 같은 외국 언론들을 보면 매체가 자본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하기 위해 애쓴다. 그건 중요한 문제다. 그러한 고민을 하지 않고 안주하니까 똑같은 기사, 제목을 쓰면서 도태되고 있는 거다."

이준행씨는 사이트를 만든 이후 언론사에 들어간 기자 친구들에게도 연락을 받았다고 한다. 이씨는 "슬퍼하기도 하고, 까발려졌다는 느낌 때문에 부끄러워하기도 하고, 자기들은 말단기자들이니까 무기력해하기도 하고"라며 반응을 전했다.

이씨는 '고로케'를 계기로 이러한 문제에 관한 담론이 더욱 확대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 그는 "제가 한 일은 '모아 봤더니 이렇더라, 이런 식으로 하지 마세요' 정도이고, 이제 결과가 나왔으니 언론이 고민해야 한다"면서 "어떻게 보면 이건 (독자들이) 언론사들에게 보내는 마지막 경고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사이트를 계속 유지할 거냐'고 묻자, "개편 계획은 없고, 어차피 서버는 알아서 돌아가는 거니까 그대로 놔둘 것"이라고 덧붙였다. 


태그:#충격고로케, #고로케, #낚시기사, #뉴스캐스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