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공주형무소 전경 (1960년 대)
 공주형무소 전경 (1960년 대)
ⓒ 공주시청

관련사진보기


1950년 당시 암매장지로 끌려가고 있는 학살직전 사진. 오른쪽 뒷쪽 헌병과 공주형무소 특경대원(오른쪽 앞쪽), 경찰로 보이는(왼쪽 앞쪽) 사람들이 총을 들고 사람들을 감시하고 있다. 이 사진은 당시 영국 사진기자가 촬영한 것이다.
 1950년 당시 암매장지로 끌려가고 있는 학살직전 사진. 오른쪽 뒷쪽 헌병과 공주형무소 특경대원(오른쪽 앞쪽), 경찰로 보이는(왼쪽 앞쪽) 사람들이 총을 들고 사람들을 감시하고 있다. 이 사진은 당시 영국 사진기자가 촬영한 것이다.
ⓒ 오마이뉴스 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빨리빨리 나와! 얼른 나오란 말야!"

1950년 7월 어느 날, 오전 9시경이었다. 갑자기 공주형무소 감방문이 열렸다. 형무관(지금의 교도관)들이 수번을 부르며 밖으로 나올 것을 채근했다. 여기저기서 재소자들이 영문도 모른 채 무더기로 밖으로 불려 나왔다. 대부분 형량을 채워 출소를 앞두고 있는 정치범이었다.

"왜 그런대유?"
"대전형무소로 이감이다. 얼른 얼른 도라꾸(트럭)에 타라! 입 다물고… 더 이상은 아무것도 묻지 마라."

형무소 앞마당에는 '忠南 官用'(충남 관용)이라고 새겨진 트럭 한 대와 형무소 트럭 한 대가 대기하고 있었다. 순간 재소자들이 술렁였다. 심상치 않은 분위기가 감지됐기 때문이다. 우선 대전형무소로 이감 간다면서 소지품을 챙길 시간을 주지 않았다. 가족들에게 받은 편지며 사진, 옷가지들을 그대로 두고 맨몸으로 다른 형무소로 이감을 가는 건 처음 있는 일이었다.

게다가 앞마당에는 형무소 특경대원 외에도 군 헌병과 경찰들이 무장을 하고 서 있었다. 이들은 총구 끝으로 재소자들을 마구 찌르고 머뭇거리는 재소자의 얼굴을 향해 개머리판을 휘둘렸다. 지체 장애인도 예외는 아니었다. 왼쪽 다리를 잃어 의족을 착용한 재소자에게도 동작이 굼뜨다며 군홧발을 날렸다.     

이들이 구겨지듯 트럭에 실리자 이번에는 쪼그려 앉은 자세에서 고개를 바닥에 숙이게 했다. 대기하고 있던 군 헌병과 경찰이 미처 고개를 숙이지 않은 재소자를 향해 총구를 내리찍었다.

"으악! 어이쿠!"

외마디 비명이 곳곳에서 터져 나왔다. 한 특경대원이 이번에는 비명을 지른 재소자들에게 개머리판을 휘둘렀다. 시끄럽다는 게 그 이유였다. 재소자들은 하나같이 심상치 않은 살기를 느끼기 시작했다.  

대전형무소로 이감 간다더니 구덩이 속으로 끌고 가

드러난 유해
 드러난 유해
ⓒ 진실화해위원회

관련사진보기


돌덩이에 짓눌려 있는 희생자 유해. 가운데 둥근 형태는 희생자의 두개골이다.
 돌덩이에 짓눌려 있는 희생자 유해. 가운데 둥근 형태는 희생자의 두개골이다.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짐칸이 꽉 차자 트럭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대략 한 대에 30~40명의 재소자가 실렸다. 대부분 20대 이상으로 보였다. 육중한 형무소 철문이 열렸다가 트럭이 정문을 통과하자마자 곧 닫혔다. 트럭이 움직이는 동안에도 소총을 든 형무소 특경대원과 군 헌병, 경찰 등이 "고개를 들지 말라"고 위협했다.   
   
트럭은 공주읍내를 지나 대전으로 가는 국도로 접어들었다. 하지만 고개를 숙인 재소자들은 트럭이 가는 방향을 가늠조차 할 수 없었다. 제발 약속대로 '대전형무소'로 가기만을 마음속으로 빌고 또 빌었다. 

10여 분쯤 지났을까? 트럭이 멈춰 섰다. 하지만 여전히 누구도 고개를 들 수 없었다. 왁자지껄하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도로변에 미리 늘어선 경찰들이었다. 재소자들은 철벅거리는 군홧발 소리와 간간이 들리는 구령소리로 이들이 군인 또는 경찰임을 직감했다.

"내려! 누가 고개 들으라고 했어!"

트럭에서 내린 재소자들은 앞사람의 허리춤을 잡고 일렬로 늘어선 채 산으로 향했다. 이들을 내려놓은 빈 트럭은 또 다른 재소자들을 실어 나르기 위해 공주형무소로 향했다.

숲 속을 향하던 이들은 엄습해 오는 공포감에 온몸이 떨리고 오금이 저려왔다. 얼굴은 하얗게 질렸다. 죽음을 직감한 일부 재소자들이 울부짖기 시작했다. 그때마다 기다렸다는 듯 소총 개머리판이 날아들었다.

죽음의 구덩이... 자욱한 화약연기 

두개골 속에 들어 있는 금도금 치아
 두개골 속에 들어 있는 금도금 치아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두개골 속에 들어 있는 금도금 치아
 두개골 속에 들어 있는 금도금 치아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이들을 기다린 건 긴 구덩이였다. 1미터 깊이에 가로 약 14미터, 세로 2.5미터 크기의 구덩이였다. 구덩이에 70~80명이 두 줄로 늘어서 등을 맞댄 채 무릎을 꿇었다. 의족을 착용한 재소자는 맨 바깥 줄에 자리 잡았다. 이들을 향하고 있던 M1 소총이 일제히 불을 뿜었다. 칼빈 소총도 불을 뿜었다. 구덩이 안 사람들이 외마디 소리와 함께 그대로 고개를 땅에 떨어트렸다. 머리뼈를 관통한 총알도 많았다. 화약 냄새와 피비린내가 골짜기 전체에서 피어올랐다. 

곧이어 숨진 희생자들의 몸 위로 돌덩이가 채워지기 시작했다. 땅에 머리를 박고 숨이 채 끊어지지 않은 재소자들의 뒷머리 위로, 등 위로 쉴 새 없이 큼직한 돌덩이가 날아들었다. 시신을 쉽게 매장하기 위해 흙 대신 돌을 채워 넣은 탓이었다. 대충 시신이 가려지자 이들은 총을 들고 부근에 있는 비슷한 크기의 다음 구덩이로 향했다. 이날 총소리는 저녁이 돼서야 그쳤다.

며칠 뒤 소문을 듣고 시신을 찾으러 구덩이를 찾아간 유가족들은 끔찍한 광경에 눈을 감고 코를 틀어막아야 했다. 구덩이 위로 손가락과 다리 등 사체가 그대로 드러나 있었다. 골짜기 전체는 시신 썩는 냄새로 진동을 했다. 망연자실한 유가족들은 퍼질러 앉아 통곡하다 가슴에 한을 품은 채 되돌아와야 했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위원장 안병욱)는 9일 오전 11시 공주 왕촌 살구쟁이 유해발굴 현장에서 중간설명회를 열고 구덩이 3곳에 대한 유해발굴 현장을 공개했다. 굵은 빗방울과 비바람이 몰아쳤지만 김동춘 진실화해위원회 상임위원을 비롯해 공주시 관계자, 곽정근 공주지역 한국전쟁 피해자 유족회장 및 회원, 공주민주단체협의회 회원 등 약 100여 명이 참여했다.

공주~대전 옛길 오른쪽 비교적 완만한 경사면에 위치한 3개의 구덩이에서는 집단 매장된 228구 이상의 유해가 발굴됐다. 이들을 총살하는 데 사용한 M1 탄피 236개와 카빈 탄피 32개, 45구경 탄두 3개, M1 탄두 53개, 카빈 탄두 4개 등도 함께 발굴됐다. 45구경 탄두는 확인사살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유골들은 허벅지 뼈와 정강이뼈 등이 겹쳐진 채 엎드린 모습이었다.  

돌아올 수 없는 길로 맨발로 끌려간 사람들 "신발 신은 사람이 없다"

박선주 유해발굴단장
 박선주 유해발굴단장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희생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구덩이 속에서 발굴된 안경
 희생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구덩이 속에서 발굴된 안경
ⓒ 심규상

관련사진보기


박선주 유해 조사단장(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은 "유해 대부분이 구덩이 양쪽 벽을 향해 두 줄로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발굴됐다"며 "손은 뒤로 묶여 있거나 일부는 목 뒤로 깍지를 낀 자세였다"고 설명했다. 이는 희생자들이 살아있는 상태에서 구덩이 속으로 들어갔고 이후 총격이 가해진 것을 의미한다.

유골은 3m에 7~8명씩 발견됨에 따라 한 구덩이에 70~80여 명이 묻혀 있었다. 따라서 발굴을 기다리고 있는 또 다른 구덩이(5지점)를 합할 경우 최소 400명 이상이 희생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유품으로는 철재 구조물의 의족과 1~1.5㎝ 단추 171개, 안경, 금도금 치아 등이 나왔다. 금도금 치아와 안경의 경우 그 형태가 그대로 남아 있어 희생자 신원 및 유가족을 찾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      

박선주 교수는 "유품 중 신발이 발굴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맨발로 끌고 간 것 같다"며 "특히 2지점에서는 흰색 단추가 주로 나와 다수의 보도연맹 관계자들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발굴된 유해는 진실화해위원회가 지정한 감식소(충북대학교 유해감식센터)에서 정밀 감식이 진행될 예정이며, 최종 결과는 올해 12월경 발표될 예정이다.


태그:#공주형무소, #유해발굴, #상왕동, #진실화해위원회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1,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