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2,600만원까지 성장세를 보이던 비트코인이 10일만에 1,200만원대로 폭락했다.

갑작스러운 급락에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손해를 보고있는 실정이다.


비트코인 차트

<비트코인 시세 차트. ⓒ UPbit>


가상화폐의 급등, 급락은 많은 투자자들에게 부를 안겨줬지만 갑작스러운 폭락에 미처 대응하지 못한 투자자들에게는 큰 손실을 가져다 주었다.

최고점 대비 50%가격으로 반토막이 나버린 암호화폐시장.

왜 이런 사태가 벌어졌을까 생각해보자.



화폐의 가치 보증 기관 부재


화폐 (貨幣) [화ː폐]  

[명사] <경제> 상품 교환 가치의 척도가 되며 그것의 교환을 매개하는 일반화된 수단. 주화, 지폐, 은행권 따위가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가상화폐는 화폐로 사용되기 위해 개발되었다. 상품 교환가치의 척도가 되기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우선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지폐, 동전 등의 화폐는 가치가 보증되어있다.

한국은행에서 발행되어 정부가 그 가격을 보증한다. 그리고 기업체들은 물건을 판매하거나 노동의 삯을 지불할 때 정부가 보증하는 값어치를 따라 화폐로 교환한다. 따라서 크게 급등하거나 급락하지 않는다. 해당 가치를 국가가 보증하기 때문에 화폐개혁이나 국가부도 사태가 없다면 어느정도 일정한 가치를 유지한다.

그러나 암호화폐는 아직 가격을 보증하는 기관이 부재하다. P2P(개인과 개인)거래기 때문에 구매자와 판매자가 암호화폐의 값어치를 교환하는 순간에 결정한다.

따라서 파는 사람이 급증하고 구매를 원하는 사람이 적어지면 순식간에 급락할 수 있는 것이다.




비트코인의 지분 40%를 점유하고 있는 큰손의 존재


비트코인은 현재 채굴된 양 중 40%를 고작 1000명의 큰손이 소유하고 있다. (뉴스 링크) 비트코인 파이의 상당수를 소수가 점용하고 있다면, 시세가 이들의 반응에 따라 급등, 급락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만약 그들이 '작전'을 통해 서로가 서로에게 트레이딩을 한다면 작은 수수료를 사용하며 시세를 급등시키고 급락시킬 수 있다. 예컨데 한 집단이 원하는 가격에 판매하고 그 집단이 그 가격에 구매를 하는 것을 반복한다면 원하는 가격대로 시세를 조절하되 시세조절 비용은 수수료 정도만 소모될 것이다. 트레이딩은 이루어졌으나 같은 집단이 같은 집단을 통해 트레이딩 한 것이므로 가지고 있는 비트코인의 수는 동일하다. 가격만 바뀌어버리는 것이다.


위의 사례처럼 부정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40%의 지분을 가진 큰손이 원하는 목표가에 비트코인 시세가 도달했다고 생각하여 수익실현을 위해 대량의 매물을 시장에 쏟아낸다면, 시세가 요동치는 것은 막을 수가 없다.


또한 암호화폐시장은 주식시장과 다르게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서 급등과 급락을 통제하는 상, 하한가가 부재하다. 따라서 시장상황에 바로 대응할 수 없는 개미 투자자들은 손실을 그대로 받아낼 수 밖에 없다.


암호화폐시장은 어떤 이유에서든 10일간 50%의 급락이 있었고, 투자자들의 대량 원화환전 요구가 일어났다. 이로인해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바로 거래소의 환전능력 리스크다.



거래소의 환전 능력


국내 가상화폐 거래는 빗썸, 업비트 등의 거래소를 통해 이뤄진다. 이들은 가상화폐 구매자로부터 원화를 입금받아 가상화폐로 환전해준다. 반대로 가상화폐를 원화로 환전해주는 기능도 하고 있다.

거래소는 가상화폐 트레이드를 중개하며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그리고 그 수수료를 가상화폐로 받는다. 여기서 또한 리스크가 생긴다.

만약 가상화폐가 급락하여 투자자들의 매도가 많아지고 원화 환급요구가 급증한다면 거래소가 원화를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이 과연 있을 것인가가 문제가 된다.

평시에는 매수, 매도 체결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가상화폐를 필요한 만큼 원화로 교환하고 비축해두면 된다. 그러나 대규모 환급요구가 있다면 거래소가 가지고 있는 현금 한도를 넘어서게 된다. 또한 거래소의 수익도 암호화폐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급락하게되는 경우에 거래소의 수익창출, 비축코인의 가치도 급락해버리게 된다.

지급 능력이 없는 거래소를 통해 트레이딩을 하던 고객이라면 거래소의 순간 지급능력 상실로 인한 부도 리스크를 그대로 끌어안게 된다.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 회원들, 원화 출금 지연 주장 - 연합뉴스 (기사 링크)




여러가지 급락에 따른 리스크가 있지만, 이 부분을 정부에서 구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정부에서는 몇 주간 암호화폐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해왔다.


이낙연 총리 "암호화폐 이상과열, 그 뒤 뭐가 올지 두려워" (뉴스 링크)

이낙연 총리는 지난해 11월 국무회의에서 암호화폐 거래량이 급증하는 것에 대해 “이대로 놔두면 심각한 왜곡현상이나 병리현상이 벌어질 것 같은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어 “(암호화폐로 인한 문제가 생긴다면) 그땐 정부를 탓할 것”이라며 “정확한 분석없이 마구 덤벼들어 낭패 보는 사태가 없도록 고심하고 있다”고 밝혔다.


탈 중앙화를 목표로 만들어진 가상화폐다보니 중앙에서 컨트롤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국내에만 통용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투자현상이다보니 정부에서는 가상화폐 자체를 통제하는 것을 불가능하다 느끼고 국내 가상화폐 규제를 통해 투자자를 보호하려 시도했던 것이다.


앞으로 다시 암호화폐가 다시 급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상용될 여지도 있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이번 10일간의 폭락 사태를 눈여겨보고 리스크에대해 생각한 뒤 투자를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전 포스팅 - 가상화폐. 꼭 지금 투자해야 할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