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조선시대에 널리 행해진 공놀이 중 격구경기를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처럼 말을 타고 공놀이를 하는 격구와 땅에서 채를 이용하여 노는 격방 등 다양한 놀이들이 조선시대에도 있었습니다. (무예24기보존회 마상무예단 격구훈련 중)
ⓒ 최형국
세계인의 관심이 둥근 공 하나에 집중되어 이리저리 굴러가는 모습을 바라보며 울고 웃게 되는 현실입니다. 발로 차는 축구는 기본이고, 도구를 가지고 공을 치는 야구나 골프 그리고 테니스는 이미 세계인이 함께 하는 스포츠가 되었습니다.

특히 골프는 근래에 우리나라의 선수들이 세계 정상의 스타들을 물리치고 우승을 하는 등 두각을 나타내어 새로운 관심을 받는 종목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과연 조선시대에도 이런 공놀이를 했을까요?

세종, 밤을 새워 공치기해도 좋더라

@BRI@조선시대에 일정한 도구를 가지고 공놀이를 한 것으로는 격구(擊毬)와 격방(擊棒) 그리고 장구(杖毬)가 대표적입니다.

격구는 서양의 폴로경기와 유사한 공놀이로 무과시험에서도 정식 과목으로 인정받은 말을 타고 했던 기마경기였고, 격방은 타구(打毬), 봉희(棒戱)라는 이름으로 요즘의 골프와 비슷한 놀이였습니다. 그리고 장구는 일종의 필드하키와 유사한 놀이로 현재까지도 몇몇 지역에서는 이어지고 있는 전통 공놀이입니다.

이렇게 다양한 공놀이 중 봉희라는 이름으로도 함께 불리던 격방은 조선시대에 임금님도 즐겼던 놀이였습니다. 특히 세종은 경신일에는 종친들과 신하들을 불러 모아 밤새도록 격방을 즐기며 하룻밤을 꼴딱 새기도 하였습니다.

경신일이라는 것은 도교에서 말하는 것으로, 일 년에 6번씩 60일마다 돌아오는 날입니다. 이 날은 사람의 몸에 숨어 있던 삼시충이라는 녀석이 몰래 나와서 천제에게 그 사람의 나쁜 일을 밀고한다고 하였기에 잠을 자지 않고 뜬 눈으로 새야 장수한다는 날입니다. 특히 세종은 경신일에는 어김없이 격방을 즐겼는데, 얼마나 좋아했던지 이후 성종 때까지 그 일을 기억하기도 하였습니다.

"옛날에 세종조(世宗朝)에서는 해가 바뀌는 때에 경신(庚申)하여 종친(宗親)을 모아 혹은 격방(擊棒)을 하면서 밤을 지내게 했는데, 옛 시(詩)에도 경신일(庚申日)을 지키면서 지은 것이 있다." <성종실록, 성종 10년 12월 6일>

그런데 조선시대 임금의 경우 자기 마음대로 밤을 새워 놀이를 하거나 일을 할 경우 신하들에게 많은 눈치를 보았습니다. 비록 임금이라는 절대 권력의 소유자지만 그의 건강이 곧 나라의 건강이었기에 더욱 그러하였지요. 그런데 이날은 경신일임을 핑계 삼아 밤을 새워 공놀이를 해도 신하들에게 눈치 볼 필요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가끔은 신하들에게 술과 음식을 내려 약간의 입막음(?)도 하기도 하였습니다.

▲ 조선시대 무예서인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격구채인 장시의 그림입니다. 나무를 구부려서 만들고, 자루는 5가지 색을 나란히 칠한다라고 적혀 있습니다.
ⓒ 최형국
격방은 어떻게 했을까?

그렇다면 조선시대에 임금님도 날밤을 지새우며 즐겨 했던 격방은 어떻게 했을까요? 그리고 요즘의 골프채처럼 뭔가를 들고 했을 터인데, 어떤 모양이었을까요? 그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를 치는 방법은 편을 나누어 승부를 겨루는 것이다. 치는 몽둥이는, 모양을 숟가락과 같고, 크기는 손바닥만 한데, 물소 가죽으로 만들었으며, 두꺼운 대나무로써 합하여 자루를 만들었다. 구의 크기는 달걀만 한데, 마노(碼), 혹은 나무로써 만들었다. 땅을 주발과 같이 파서 이름을 와아(窩兒)라 하는데, 혹은 전각(殿閣)을 사이에 두고, 혹은 섬돌 위에, 혹은 평지에 구멍을 만든다.

공을 치는 사람은, 혹은 꿇어앉기도 하고, 혹은 서기도 하여 구를 치는데, 구가 혹은 날라 넘어가기도 하고, 혹은 비스듬히 일어나기도 하고, 혹은 구르기도 하여, 각기 구멍 있는 데의 적당한데 따라서 한다. 구기 구멍에 들어가면 점수(點數)를 얻게 되는데, 그 절목(節目)이 매우 많다." <세종실록, 세종 3년 11월 25일>


이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편을 나눠서 나무로 만든 공을 치는데, 그 채의 자루는 대나무로 만들고 끝은 물소 가죽으로 둥글게 만들어 경기를 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구슬치기처럼 땅에 구멍을 파거나 기둥을 골문 삼아서 앉아 치거나, 혹은 서서 쳐서 구멍 안에 공을 넣는 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거의 골프와 유사한 모습임이 눈앞에 그려지지 않나요?

심지어 이런 놀이가 백성들에게도 널리 퍼져 골목길에서 아이들도 즐겨 이 공치기를 하였는데, 어이없게도 정치적인 문제와 연결되어 한바탕 전국이 발칵 뒤집어 지는 일이 벌어지기도 하였습니다.

"혜정교 거리에 아동 곽금(郭金)·막금(莫金)·막승(莫升)·덕중(德中) 등이 있어 타구(打毬) 놀이를 하는데, 매 공마다의 칭호를 하나는 주상(主上)이라 하고, 하나는 효령군(孝寧君)이라 하고, 하나는 충녕군(忠寧君)이라 하고, 하나는 반인(伴人)이라 하였다. 서로 치다가 구(毬) 하나가 다리 밑의 물로 굴러 들어가자, 그 아이가 대답하기를, '효령군이 물에 빠졌다' 하였다. 효령군의 유모(乳母)가 마침 듣고 쫓아가 잡아서 효령군의 장인 대사헌 정역(鄭易)에게 고하였다. 정역이 형조에 고하여 옥에 가두었다." <태종실록, 태종 13년 2월 30일>

이 내용을 보면 일반 백성의 아이들도 골목길에서 공치는 놀이를 하였으며, 공을 한 개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게이트볼처럼 여러 개의 공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당시 태종의 왕권강화 과정 중 세자의 지위가 크게 흔들리며 발생했던 정치적인 문제가 일반 백성들에게도 알려져 아이들 놀이에서도 등장했던 것을 보면 당시 정치문제가 얼마나 보편적으로 알려졌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서양에는 폴로가, 조선에는 격구가 있었다

▲ 격구는 달리는 말 위에서 장시를 이용하여 공을 담아 휘두르면서 상대편 말을 피해 일종의 드리볼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격구에 무예적 속성 담겨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무예24기보존회 마상무예단 격구훈련 중)
ⓒ 최형국
이렇듯 땅 위에서 막대기로 공을 쳤던 격방과 함께 말을 타고 했던 공놀이 중 격구는 조선시대 무과시험의 최종시험에서도 사용될 만큼 널리 퍼진 놀이였습니다. 그런데 격구는 단순히 공을 가지고 노는 놀이의 성격으로서가 아니라, 무과시험의 실기과목이 될 만큼 무예적 속성이 많은 경기였습니다.

그래서 세종은 신하들이 격구경기의 사치성을 이유로 이를 금지하자는 의견에 '격구는 본시 무예를 연습하기 위함이요, 노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고, '무예를 연습하는 데는 이보다 나은 것이 없다(세종실록, 세종 12년 9월 21일)'며 격구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천명하기도 하였습니다.

간단히 격구 경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좌우로 편을 갈라 장시라는 채를 들고 빨갛게 색을 칠한 나무 공을 장시로 퍼 올려서 일종의 골문인 구문에 집어넣는 방식이었습니다.

그런데 격구 경기에서 사용하는 장시는 서양의 폴로에서 사용하는 망치 모양이 아니라, 속이 뻥 뚫린 숟가락 모양을 해서 거기에 공을 퍼 담아 다양하게 공을 움직였기에 마상무예의 다양한 기술들이 녹아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격구 경기를 해보면 상당한 기마술은 물론이고 월도를 비롯한 다양한 마상용 무기를 사용할 정도의 무예 실력이 없다면 해 내기 어려운 경기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조선시대에도 요즘 못지않게 다양한 공놀이가 임금님은 물론이고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도 널리 퍼져 있었기에 그 전통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박세리 선수를 필두로 하여 수많은 공놀이 선수들이 세계를 뒤흔드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덧붙이는 글 | 참고 : <조선시대 격방의 체육사적 고찰>, 교양교육연구소 논문집 제 3호, 심승구, 1998. 

최형국 기자는 중앙대학교 사학과 박사과정으로 전쟁사 및 무예사를 공부하며 홈페이지는 http://muye24ki.com 입니다.


태그:#격구, #조선시대, #말타고 공놀이, #격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무예의 역사와 몸철학을 연구하는 초보 인문학자입니다. 중앙대에서 역사학 전공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경기대 역사학과에서 Post-doctor 연구원 생활을 했습니다. 현재는 한국전통무예연구소(http://muye24ki.com)라는 작은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