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일제시대 말기에는 유행가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예술 분야가 전시체제 구축을 위해 총동원되고 있었다. 현재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아 덜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영화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1940년대에 들어서면 전쟁의 격화로 경제상황이 어려워진 이유 등으로 영화 제작편수가 크게 감소하게 되는데, 당시에 나온 영화 대부분은 식민통치와 침략전쟁에 대해 협조적인 내용을 어느 정도씩 담고 있었다. 1941년 11월에 일본에서 먼저 개봉된 영화 <그대와 나(원제 君と僕)>는 그러한 어용영화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조선군보도부(朝鮮軍報道部)에서 제작을 맡아 ‘내선일체(內鮮一體) 영화’로 선전된 <그대와 나>는 선전문구 그대로 한국인과 일본인이 함께 참여해 만들었다.

감독 히나쓰 에이타로(日夏英太郞)는 본명이 허영(許泳)인 한국인으로 3, 40년대에 일본에서 감독, 각본 등으로 영화계에 종사하던 사람이었다. 출연진 가운데 나가타 겐지로(永田紘次郞)도 일본에서 손꼽히는 테너가수로 활동하다가 1960년에 북송선을 타고 북한으로 간 한국인 김영길(金永吉)(1909-1973)이다. 그밖에 광복 이전에 조선 최고의 여배우로 인기를 누리다가 1948년에 북한으로 간 문예봉(文藝峰)(1917-1999) 역시 <그대와 나>에 주요 배역으로 출연했다.

조선인 청년과 일본인 처녀의 사랑, 조선인 청년의 지원병 출전 등이 주된 내용인 <그대와 나>는 정책적으로 만들어진 영화인 만큼 언론을 통해 대대적으로 홍보되기도 했는데, 선전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였음인지 주제가까지 만들어져 음반으로 발매되었다.

1942년 1월 신보(음반번호 31084)로 오케레코드에서 나온 <그대와 나>(조명암(趙鳴岩) 작사, 김해송(金海松) 작편곡, 남인수(南仁樹)·장세정(張世貞) 노래)와 <낙화삼천(落花三千)>(조명암 작사, 김해송 작편곡, 김정구(金貞九) 노래)이 바로 영화 <그대와 나>의 주제가로 만들어진 작품이었다.

두 노래는 같은 영화주제가로 만들어졌고 작사자와 작곡자도 같지만, 곡조 분위기나 가사 내용은 뜻밖에도 전혀 딴판이다. 잔잔한 세박자에 서정적인 가락으로 백제 멸망에 대한 회고를 노래하는 <낙화삼천>에서는 영화의 주제라고 할 수 있는 ‘내선일체’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없지만, <그대와 나>는 영화주제가인 동시에 상당히 노골적인 군국가요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꽃 피는 고개 너머 하늘에는 새날이 밝는다/ 영원한 길을 닦는 지평선에서/ 노래를 부르잔다 기미토보쿠(君と僕) 노래를 부르잔다 기미토보쿠

그대는 반도 남아 이내 몸은 야마토사쿠라(大和櫻)/ 건설의 해가 솟는 지평선에서/ 노래를 부릅시다 아이노우타(愛の唄) 노래를 부릅시다 아이노우타

여기는 아세아(亞細亞)다 우리들의 희망은 빛난다/ 깎듯이 손을 잡고 깃발 아래서/ 충성을 맹세 짓는 기미토보쿠 충성을 맹세 짓는 기미토보쿠

(유성기 음반에 실린 내용을 남인수 팬클럽에서 채록한 것이다)


남인수가 맡은 제1절은 영화의 남자주인공 입장에서 불렀고, 장세정이 부른 제2절은 여자주인공을 표현했다. 때문에 ‘이내 몸은 야마토사쿠라’, 즉 일본의 벚꽃이라는 표현이 제2절에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두 사람이 합창으로 부른 제3절에는 ‘아세아’, ‘충성’ 같은 단어들이 보이는데, 이는 앞서 이미 보았듯이 당시 군국가요에서 상투적으로 사용했던 전형적인 단어들이다.

1937년에 <연락선은 떠난다>를 불러 데뷔한 이후 오케레코드의 간판급 가수로 활약했던 장세정(1921-2003)은 1941년에 발표한 <역마차>가 크게 인기를 끌면서 전성기를 누리고 있었는데, 그러한 인기 덕에(?) 군국가요 역시 적지 않게 부를 수밖에 없었다.

이미 보았던 <지원병의 어머니> <그대와 나> 외에, 작품 내용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제목만으로도 군국가요임이 거의 틀림없어 보이는 <반도의 아내>(조명암 작사, 김해송 작곡, 1942년, 음반번호 31092), <국민개로가>(남인수와 함께 노래, 1942년, 음반번호 31101), <아가씨 위문>(조명암 작사, 이봉룡(李鳳龍) 작편곡, 1943년, 음반번호 31158), <지원병의 집>(조명암 작사, 박시춘(朴是春) 작편곡, 1943년, 음반번호 31211) 등이 모두 오케레코드를 통해 장세정이 발표한 노래이다.

한편으로는 이렇게 전시체제에 협조적인 군국가요를 불러야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또 전시체제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취입한 음반이 금지 처분을 받기도 했다.

장세정의 인기곡 <역마차>의 인기에 힘입어 만들어진 가요비극 <역마차>(1941년, 음반번호 20107-20109)는 역시 장세정이 주제가를 불러 발매되었는데, 시국에 맞지 않는 것으로 판정을 받아 금지가 되고 말았다. 필요에 따라 동원해 쓰면서도 조금만 입맛에 맞지 않으면 가차없이 탄압을 가한 일제 식민통치의 일면을 단적으로 볼 수 있는 예라 하겠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노래를 찾는 사람, 노래로 역사를 쓰는 사람, 노래로 세상을 보는 사람.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