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새 시대는 바닷길로 왔다. 그 새 시대를 우리는 이제 근대라고 부른다. 한반도에서 근대의 첫 파도를 맨 몸으로 올라탄 도시 중의 하나가 인천이었다. 강화도조약 후 부산(1876), 원산(1880)에 이어 개항된 인천(1883)은 '근대화'라는 한 번도 겪어보지 않은 시간을 준비도 없이 맞아야 했다.

개항이 되자 조선을 호심탐탐 노리던 일본과 청나라가 재빠르게 들어왔고 영국과 프랑스, 미국 등의 서강도 예외가 아니었다. 조선의 대표 개항도시답게 인천역 일대에는 외세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었다. 

특히 일본인과 중국인들의 거주지는 영화 세트장에라도 들어와 있는 듯 근대가 재현되어 있었다. 옛 일본은행 거리는 상하이 와이탄을 일부 떼어놓은 듯 했다. 인천시에서는 조계지 일대를 개항거리라 명명하고 근대건축물들을 말끔히 단장해 놓았다.

인천 여행을 하려는 사람이 만약 내게 묻는다면 다음의 코스로 돌아보길 권하겠다.

(1) 동인천역에서 자유공원까지
동인천역-답동성당-내리교회-성공회 내동교회-홍예문-자유공원-제물포구락부
(2) 일본 조계지
인천부청사(현 중구청)-일본제58은행 인천지점(현 중구요식업조합)-일본제18은행 인천지점(현 개항장근대건축전시관)-일본제1은행 인천지점(현 인천개항박물관)-대불호텔전시관-일본우선주식회사 인천지점(현 아트플랫폼 사무동)-인천하역창고(현 아트플랫폼)-대화조사무소(현 카페 팟알)
(3) 청나라 조계지
청일조계지계단-한중문화관-짜장면박물관(구 공화춘) 
(4) 인천여행 심화편
신포역-인천신사터(현 인천여상)-묘각사터(구 일본사찰)-해광사(구 일본사찰)-율목도서관(구 일본인별장)


인천 원도심과 개항거리는 안내가 잘 되어 있으므로 표지판을 보고 따라다니면 된다. 그러나 인천신사와 묘각사 및 해광사, 적산가옥인 일본인 별장은 표지판은 커녕 인천관광지도에서도 알려주지 않는 곳들이다. 근대 거리를 섭렵한 후 자기주도적으로 찾아가야 하므로 '인천여행 심화편'으로 붙여봤다.

미리 밝혀 두지만 막상 어렵게 찾아가 봐도 별로 볼 것은 없다. 이 대목에서 유홍준교수의 '답사여행의 최고 경지는 절터 답사'라고 했던 말이 떠오른다.

인천신사의 흔적을 찾아

당연히 인천의 일본인 거주 구역에는 신사(神社)가 있었다. 현재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가 인천신사 터였다. 언덕 높은 곳에 학교 건물이 서 있었다. 인천 앞바다가 한눈에 들어오는 고(高) 지대다. 역시 시가지와 바다 전망이 동시에 확보되는 곳에 자리 잡는 해변 신사의 위치 공식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부산의 용두산신사, 목포의 송도신사, 포항의 구룡포신사처럼.

정문 계단을 올라 교정에 들어서니 석물 몇 개가 눈에 띄었다. 신사의 상징인 도리이로 보이는 돌기둥 두 개가 대칭적으로 서 있었고 석등도 하나 발견했다. 자세히 보니 일본식 석등이다. 옥개석의 끝이 고사리새순처럼 말려 올라간 '가스가(かすが)석등'이다. 일본 나라(奈良)의 가스가신사(春日神社)에서 시작되어 유행한 석등 양식이라고 한다.

전봉준 장군의 가묘인 단소(壇所)에 설치되어 있다가 일본식 석등임이 밝혀져 후에 철거(2013)되는 소동을 빚은 문제의 그 가스가석등이다. 그 외에도 신사 유구(遺構)로 보이는 돌들이 바닥에 흩어져 있었다. 신사는 헐렸지만 학교 뜰에 신사 흔적이 전혀 없는 건 아니었다.
    
교정 계단에 두 개의 석주가 대칭적으로 서있어 신사 진입로에 있던 도리이가 아닐까 의심해 본다.
 교정 계단에 두 개의 석주가 대칭적으로 서있어 신사 진입로에 있던 도리이가 아닐까 의심해 본다.
ⓒ 김상희

관련사진보기

     
돌기둥 근처에서 발견한 일본식 석등
 돌기둥 근처에서 발견한 일본식 석등
ⓒ 김상희

관련사진보기


인천신사는 언제 세워진 것일까? 인천보다 먼저 개항한 부산과 원산에 신사가 차례로 들어서자 인천의 거류 일본인들도 신사 건립을 도모하게 된다. 1890년 이세신궁(伊勢神宮)으로부터 천황의 조상신인 천조대신(天照大神, 아마테라스 오미카미)의 신령(神靈)을 분사받아 '인천대신궁'을 창건했다. 1916년 인천신사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후 명치신궁(明治神宮)으로부터 받은 신령을 합사(1922년)함으로써 인천신사는 천조대신과 명치천황의 두 신(神)을 받드는 신사가 되고 1936년 이후부터 경기도의 지원을 받아 운영된다. 인천신사 주변에 벚나무를 심고 공원으로 조성해 현재의 자유공원인 서(西) 공원과 구별해 '동(東) 공원'으로 불렀다. 인천신사는 해방될 때까지 같은 자리에서 50년도 훨씬 넘게 일본인들의 정신적 이념적 통합기구이자 식민통치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일본 절터 두 곳, 묘각사와 해광사

송도중학교는 일본 불교 종파인 일련종(日蓮宗)의 사찰 묘각사 터라고 한다. 묘각사로 들어가는 계단과 난간이 송도중학교 뒤편 골목길에 남아있었다. 계단의 양쪽 석주에는 '묘각사'라는 절 이름과 더불어 부산에 이어 조선에 설치한 두 번째 사찰이란 뜻의 '서점제이도장(西漸第二道場)'이란 글씨가 선명하게 새겨져 있었다. 인천시에서 세워둔 '묘각사 터' 안내판도 보여 반가웠다.
  
묘각사 계단과 난간의 왼쪽 기둥에는 절 이름 '일련종묘각사', 오른쪽에는 '서점제이도장'이 선명하다.
 묘각사 계단과 난간의 왼쪽 기둥에는 절 이름 '일련종묘각사', 오른쪽에는 '서점제이도장'이 선명하다.
ⓒ 김상희

관련사진보기

     
해광사는 현재도 절로 사용되고 있다. 경내에 들어서니 단청을 곱게 올린 전혀 일본스럽지 않은 대웅전이 위엄을 드러냈다. 순간 당황했다. 당황할 땐 검색이다! 해광사는 일본 사찰 화엄사였다가 해방 후 해광사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 지금의 대웅전은 1990년대에 일본식 대웅전을 허물고 다시 지었다고 한다. 

탐사를 위해 경내로 한 걸음 더 들어가 보자. 뜰에서 일본 석탑 한 점과 일본 석등 두 점을 발견했다. 대웅전 뒤편의 부속시설 명부전은 일본식 건물 그대로였다. 또한 사찰 대문의 돌기둥에서 '대정 9년(1920년)'이란 연도도 읽었다. 해광사가 일제강점기 일본 사찰에서 출발한 절이었다는 사실에 대해 내가 수집한 귀납적 증거는 이 정도이다. 
 
해광사 경내에서 발견한 일본식 석탑
 해광사 경내에서 발견한 일본식 석탑
ⓒ 김상희

관련사진보기

 
대웅전 뒤편의 명부전이 일본식 건물이다.
 대웅전 뒤편의 명부전이 일본식 건물이다.
ⓒ 김상희

관련사진보기

         
해광사 입구 기둥의 대정9년(1920년)이란 글씨가 또렷하다.
 해광사 입구 기둥의 대정9년(1920년)이란 글씨가 또렷하다.
ⓒ 김상희

관련사진보기


어린이도서관이 된 일본인 별장

해광사를 지나 율목도서관이 있는 언덕으로 올랐다. 이곳은 더할 나위 없는 도시 전망대이기도 하다. 일본식 가옥이 밀집한 신흥동 아래 동네가 한눈에 들어온다. 율목도서관 내의 어린이도서관은 원래 중국인 통역관이자 거상이었던 우리탕(吳禮堂)의 과수원 부지를 일본인 사업가 리키다키(力武)가 인수해 지은 주택 겸 별장이었다. 현대적으로 리모델링했지만 기본 건물은 일본식 가옥임을 알 수 있었다.
 
2011년 리모델링으로 새로 태어난 율목도서관의 어린이도서관
 2011년 리모델링으로 새로 태어난 율목도서관의 어린이도서관
ⓒ 김상희

관련사진보기

 
석조(石造) 판매장을 방불케 할 만큼 석조 장식물을 과하게 가져다 화려하게 꾸민 일본식 정원도 볼 만하다. 혹, 이곳에 간다면 하나의 미션을 드리겠다. 정원에서 인천여상의 석등과 닮은꼴 석등, 지붕돌의 끝이 말려 올라간 일본풍 석등을 찾아보라.
 
신흥동의 일본식 가옥들이 내려다 보인다.
 신흥동의 일본식 가옥들이 내려다 보인다.
ⓒ 김상희

관련사진보기

   
받침대가 떨어져나간 일본식 석등
 받침대가 떨어져나간 일본식 석등
ⓒ 김상희

관련사진보기


인천 여행은 '근대로의 시간 여행'이다. 드라마 <미스터 선샤인>의 시간을 걸어보기에 인천만한 도시도 없다. 걷다가 배가 고프면 차이나타운 어디라도 들어가서 짜장면을 한 그릇 시키자. 짜장면 먹는 팁까지 드리자면, 첫째, 짜장면은 반드시 짜장면 박물관 관람 후에 먹도록. 음식에 스토리가 얹히면 더 맛있어진다. 둘째, 일행이 있다면 인천의 명물 백짜장면을 같이 시켜 흑짜장면과 백짜장면을 대결시켜 보라. 

근대거리가 만만해질 때쯤이면 신사와 일본사찰의 흔적을 찾아봐도 좋겠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브런치에도 실립니다.


태그:#인천여행, #일제강점기, #일제잔재, #인천근대거리, #인천신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생활여행자입니다. 여행이 일상이고 생활이 여행인 날들을 살고 있습니다. 흘러가는 시간과 기억을 '쌓기 위해' 기록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