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을지 국무회의를 첫 주재하며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을지 국무회의를 첫 주재하며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 오마이뉴스

관련사진보기

 
한미 양국 군이 연합 군사훈련에 돌입한 가운데, 한반도 긴장 고조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실전처럼"을 언급하며 군사적 대비를 다그쳤다.

22일부터 연합 훈련, 야외기동훈련까지

지난 16일부터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의 사전훈련인 위기관리 연습을 진행한 한미는 22일부터 본격적인 합동 훈련에 들어갔다. UFS는 공격 상황을 가정한 방어 위주의 1부와 역공격 등 반격에 초점을 맞추는 2부로 이루어진다. 비군사적 위기 대응을 위주로 시행해오던 별도의 정부연습(을지)도 1부 연습과 통합돼 3박 4일간 시행한다.

눈여겨 봐야 할 점은 지휘소 연습 외에 실전성을 부각하는 야외기동훈련(FTX)이 복원됐단 점이다. 실전 능력을 높이기 위해 야외에서 13개 종목의 대규모 훈련이 가동된다. 국방부는 지난 16일 브리핑에서 이번 연습의 방어적 성격을 내세우면서도 "제대별·기능별로 전술적 수준의 실전적인 한미연합 야외기동훈련을 병행하고 시행한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민단체는 "한반도 위기를 조장한다"라며 크게 반발했다. UFS 첫날부터 윤석열 대통령의 용산 집무실 인근에서 규탄 행동이 이어졌다. 전쟁연습 중단'을 내건 기자회견을 연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은 "공세적인 훈련으로 군사적 대결을 부추기고 있다"라며 정책 변화를 촉구했다.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도 "악화일로를 걷던 남북관계가 더 위험한 상태에 놓이게 됐다"라며 정부를 성토했다. 6·15남측위는 윤석열 정부의 연합훈련 재개에 "적대의 악순환은 대결, 위기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걱정했다.
 
22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앞에서 ‘한미연합 전쟁연습 을지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쉴드) 중단 촉구 기자회견’이 평통사(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주최로 열리고 있다.
 22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앞에서 ‘한미연합 전쟁연습 을지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쉴드) 중단 촉구 기자회견’이 평통사(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주최로 열리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8.15대회 부산추진위 소속 단체들이 22일 부산시 남구 백운포 해군작전사령부 앞에서 한미연합연습 중단을 촉구하는 선전전을 진행하고 있다.
 8.15대회 부산추진위 소속 단체들이 22일 부산시 남구 백운포 해군작전사령부 앞에서 한미연합연습 중단을 촉구하는 선전전을 진행하고 있다.
ⓒ 8.15대회 부산추진위

관련사진보기


다른 단체는 군 관련 시설 앞으로 달려갔다. 50여 개 단체로 꾸려진 8.15대회 부산추진위는 부산시 남구 해군작전사령부에서 '한미합동군사연습 반대' 선전전을 펼쳤다. 추진위에 함께하는 부산민중연대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선제타격까지 언급한 바 있고, 이번 군사훈련으로 인한 긴장 격화가 어디로 불똥이 튈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이들의 말대로 UFS의 상대가 된 주변국은 강한 견제에 나서는 모양새다. 중국은 지난 19일까지 서해에서 추가 군사훈련을 벌였고, 지역도 기존 4곳에서 8곳으로 늘렸다. 중국 관영언론 글로벌타임스는 21일 기사에서 "중국을 포함한 지역 국가들이 고도의 경계심을 가질 것이라고 경고했다"라고 보도했다.

앞서 북한은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을 통해 한미연합훈련 재개에 대응했다. 윤 대통령의 실명까지 거론한 김 부부장은 "오늘은 담대한 구상을 운운하고, 내일은 북침전쟁연습을 강행하는 파렴치한 모습"이라고 발끈했다.

그러나 정부는 이에 아랑곳없이 실전 태세를 다진다는 태도다. 이날 을지 국무 회의를 처음 주재한 윤 대통령은 "실전과 똑같은 연습만이 국민의 생명과 국가의 안보를 굳건하게 지킬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태그:#한미연합연습, #군사훈련, #한반도 긴장, #야외기동훈련
댓글9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보성 기자입니다. kimbsv1@gmail.com/ kimbsv1@ohmynews.com 제보 환영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