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독수리 14마리가 합천보 개방으로 드러난 모래톱 위에서 망중한을 즐기고 있다. 새들에겐 이런 모래톱이 필요하다.
▲ 모래톱 위의 독수리 독수리 14마리가 합천보 개방으로 드러난 모래톱 위에서 망중한을 즐기고 있다. 새들에겐 이런 모래톱이 필요하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합천창녕보(이후 합천보)가 지난 12월 1일부터 개방되어 현재 완전 개방이 된 상태다. 합천보 관리수위가 해발 10.5미터인데 해발 4.8미터까지 떨어졌으니 전체로 낙동강 수위가 5.7미터 내려갔다. 이렇게 물이 빠지자 곳곳에 넓은 모래톱이 돌아오고 새들이 돌아왔다.

합천창녕보 개방 이후 낙동강 조류 10종으로 늘어나

합천보 개방 전 민물가마우지 1종만 주로 목격이 됐는데, 개방 이후 29일 달성보에서 합천보 사이 조류조사에서 흰꼬리수리, 독수리,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민물가마우지, 흰죽지, 백로, 왜가리, 비오리, 물닭 이렇게 10종이 목격됐다. 놀라운 변화다. 수위가 낮아지고 모래톱이 돌아오니 새들이 다시 찾아든 것이다.
 
멸종위기종 1급종인 흰꼬리수리 한쌍이 낙동강에서 물고기를 사냥한 후 모래톱에서 맛있는 식사를 하고 있는 모습이 목격됐다.
▲ 모래톱 위의 흰꼬리수리 멸종위기종 1급종인 흰꼬리수리 한쌍이 낙동강에서 물고기를 사냥한 후 모래톱에서 맛있는 식사를 하고 있는 모습이 목격됐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특히 멸종위기종 1급종인 흰꼬리수리는 물고기를 사냥한 모습이 포착되었다. 흰꼬리수리 한 쌍이 물고기를 사냥한 채 모래톱에 앉아 물고기를 먹고 있는 모습이 포착된 것이다. 천연기념물 독수리 14마리는 모래톱에서 망중한을 즐기고 있는 모습이 포착된다. 한 마리는 창공을 날면서 필자 쪽으로 가까이 다가와 그 우아한 모습을 사진에 담을 수 있게 해주었다.

멸종위기종 1급종, 천연기념물 등... 모래톱에 앉아 쉬는 새들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독수리 한 마리가 창공을 멋지게 비행하고 있다.
▲ 천연기념물 독수리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독수리 한 마리가 창공을 멋지게 비행하고 있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새들은 주로 모래톱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깊은 물을 선호하는 민물가마우지조차 모래톱에서 쉬면서 젖은 날개를 말리고 있는 모습들이 목격된다. 이처럼 모래톱은 새들에게는 중요한 공간이다. 사냥한 것들을 먹는 먹이터이자 휴식을 취하는 휴식처인 것이다.

이런 귀한 공간이 4대강 사업으로 모두 사라져버린 것이다. 그 결과 낙동강에서 새들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없었다. 그런 와중에 다행히 합천보의 완전 개방으로 모래톱이 돌아오고 다시 새들이 찾기 시작한 것이다.
 
회천의 넓은 모래톱 위에 왜가리 10여 마리가 휴식을 취하고 있다. 모래톱은 이들의 안전한 휴식처다.
▲ 모래톱 위 왜가리 회천의 넓은 모래톱 위에 왜가리 10여 마리가 휴식을 취하고 있다. 모래톱은 이들의 안전한 휴식처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2월 초 수문 닫겠다는 환경부, 4월말까지는 수문개방 연장하라는 환경단체

그런데 이런 모습도 2월 초부터는 사라지게 생겼다. 환경부가 2월 3일부터 합천보의 수문을 닫으려 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월 20일 합천보 상류 합천보 개방으로 다시 돌아온 모래톱 현장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합천보 수문개방을 연장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대구환경운동연합은 22일 회원들과 낙동강 모래톱 걷기 행사를 열어 합천보 수문개방을 연장할 것을 요구하는 '기도 행동'을 벌였다.
 
대구환경운동연합 회원들이 낙동강 모래톱에서 낙동강 생명평화 10대 서원 10배 절명상 '기도 행동'을 벌이고 있다.
▲ 낙동강 생명평화 10대 서원 10배 절명상  대구환경운동연합 회원들이 낙동강 모래톱에서 낙동강 생명평화 10대 서원 10배 절명상 "기도 행동"을 벌이고 있다.
ⓒ 박용훈

관련사진보기

 
이들은 본격적인 양수장 가동철인 5월 모내기철 전까지는 수문개방을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4월말까지는 수문개방을 연장해서 낙동강 모니터링을 이어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반면 환경부는 달성군 관내 두 곳 양수장을 2월 중순경부터 가동해야 하기 때문에 수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2월 중순부터 이곳 들판의 마늘 양파농사에 필요한 물을 대기 시작해야 한다는 농민들의 요구를 받아안은 결과 수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은 "단 두 곳의 양수장 때문에 낙동강 모니터링을 위해서 어렵게 연 합천보의 수문을 닫을 수는 없다. 두 곳의 양수장은 비상급수시스템을 마련해서 물을 공급해주라"는 입장이다 즉 "4대강사업 당시 이명박 정부가 했듯이 대형 양수기를 동원해서 농민들이 농사에 필요한 물만큼 공급을 해주라"는 것이다.
 
환경운동연합 국처장단이 낙동강 현장에서 합천보 수문개방 연장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국처장단이 낙동강 현장에서 합천보 수문개방 연장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환경운동연합

관련사진보기

   
이런 요구에 환경부는 수문개방을 일주일 연장한다는 안을 만지작거리고 있다. 즉 2월 3일이 아니라 2월 10일부터 수문을 닫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환경운동연합은 "일주일 연장으로는 안된다. 적어도 4월말까지는 수문개방을 연장해서 모니터링을이 이어가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 김춘이 사무총장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멸종위기 1급종인 흰꼬리수리가 나타나고, 천연기념물 독수리가 모래톱에 쉬고 있고, 새들이 점점 돌아오고 있는 이때 수문을 다시 닫는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애초에 환경부가 합천보의 수문을 연 목적에 맞게 낙동강의 생태환경 변화상을 더 면밀하게 모니터링을 하기 위해서는 수문개방 기간을 더 늘려야 한다. 두 곳 양수장은 비상급수시스템을 도입해서 해결하면 된다."

대구환경운동연합도 25일 "우리나라 찾아온 겨울진객 독수리 위해서 합천창녕보 수문개방을 연장하라" 제하의 성명서를 내고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인 겨울철새 독수리가 돌아가는 철인 3월말까지는 낙동강 모래톱을 유지해 독수리가 모래톱에서 편하게 쉬어갈 수 있도록 할 것을 촉구했다.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독수리가 낙동강 모래톱에서 날아올라 아름다운 비행을 선보이고 있다.
▲ 멸종위기종 독수리의 배행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독수리가 낙동강 모래톱에서 날아올라 아름다운 비행을 선보이고 있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관련사진보기

 
환경부는 멸종위기종들을 보호할 책임이 있는 부서다. 멸종위기종의 보호를 위해서 필요한 수단이 있으면 써야 한다. 따라서 환경운동연합이 주장하는 비상급수시스템을 도입하라는 요구가 전혀 엉뚱한 요구도 아니다. 이명박 정부도 4대강사업 당시 했던 방법이다. 그 방법을 동원해서 우선 농가에 물을 대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 환경부의 결단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한편, 설 연휴가 끝나는 2월 3일 환경단체들의 낙동강 유역 연대체인 낙동강네트워크는 낙동강유역환경청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합천보 수문개방을 연장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다.

"농민에게는 농업용수를! 독수리를 비롯한 새들에게는 모래톱을 허하라!"를 슬로건으로 기자회견 연후 이들은 신임 박재현 낙동강유역환경청장과 면담을 가지고 낙동강 하류 보 개방 협의체 위원장인 낙동강유역환경청장에게 합천보 수문개방을 더 연장할 것을 공식적으로 요구할 계획이다. 

덧붙이는 글 | 기자는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으로 활동하면서 지난 14년간 낙동강 현장을 기록해오고 있습니다.


태그:#낙동강 수문개방, #모래톱, #합천창녕보, #독수리, #흰꼬리수리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산은 깎이지 않아야 하고, 강은 흘러야 합니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의 공존의 모색합니다. 생태주의 인문교양 잡지 녹색평론을 거쳐 '앞산꼭지'와 '낙동강을 생각하는 대구 사람들'을 거쳐 현재는 대구환경운동연합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