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늘을 '시를 읽지 않는 시대'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불리는 까닭, 시를 읽지 않아서가 아니라 시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조금이나마 익숙함을 만들어 드리기 위하여 일주일에 한 편씩 시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오늘 소개하는 시와 산문은 네이버 블로그 '시를 읽는 아침'에 동시에 소개 됩니다.[기자말]
낙타
- 김륭

 
떠나는 것은 매번
당신이 아니라 나였음을
내가 나를 떠나고, 떠나는 나를
붙잡을 수 없어서 한세상이었던 것을

낙타처럼, 저를 혹으로
당신 또한 혹으로 그 사이에
짐짝 같은 한세상
올려놓고

어디쯤이면 끝났다고
한 사랑이, 한 사랑을 다했다고
울 수 있을까

아직도 떠나는 중이다
낙타들은 제각기 낙타가 있어
사막이 있는 거라고
묵묵히

- <나의 머랭 선생님>, 시인의일요일, 2021, 89쪽


황량한 사막을 걸어가는 낙타만큼이나 힘들고 고단한 동물이 있을까요. 언젠가 사막을 횡단하는 낙타 무리를 TV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무거운 짐을 지고 사막을 걸어가는 그들, 짐을 실어야 했던 낙타의 혹은 혈흔으로 얼룩진 상처투성이였습니다. 상처를 치유 받지 못한 채 거친 사막 속으로 걸어 들어가야만 했던 그들의 삶, 담담해 보이는 얼굴과는 대조적으로 외로움과 고독으로 점철된 삶이었습니다.
 
나의 머랭 선생님
 나의 머랭 선생님
ⓒ 시인의일요일

관련사진보기


화자가 어디론가 떠나려고 마음먹었을 때 '낙타'라는 동물을 떠올린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수 있습니다. 낙타라는 동물의 물성보다는 외로움과 고독이라는 삶의 무게를 화자는 응시하고 있었을 테니까요. 그런데요, 그렇게 힘든 길이라면, 힘든 길임이 예상된다면, 처음부터 떠나지 않는 것이 최선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하는데요, 이 질문의 답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살아가야만 하는 '삶의 환경' 때문일 것입니다. 삶의 환경은 그악스럽습니다. '사막'이라고 '황량한 대지'라고 말할 정도로 메말라가고 있습니다. 초록이 우거진 환경에 적응하던 동식물들은 모두 사라지고 극악한 환경에 적응한 동식물만 살아남을 정도이죠. 어쩌면 우리는 저 극악한 환경에 살아남은 소수의 생명체일 수도 있겠습니다.

살아남은 '소수의 생명체'로서 해야 할 일은 무엇입니까. 그냥 어쩔 수 없이 살아가며, 버티는 일이 전부이겠습니까. 피할 수 없는 일이기에, 숙명으로 마주하면서 포기해야만 하는 것입니까.

화자는 말합니다. '낙타처럼 저(자신)을 혹으로 당신 또한 혹으로, 그 사이에 짐짝 같은 한 세상 올려놓는다'라고요. 포기하기보다 감내하려고 하는 것이죠. 이겨내려는 것입니다. 또 이렇게도 얘기합니다. '어디쯤이면 끝났다고 / 한 사랑이, 한 사랑을 다했다고 / 울 수 있을까'라고요. 특히 뒤의 문장이 가슴을 울립니다. '한 사랑이, 한 사랑을 다했다는 말' 쉽게 할 수 있는 말이 아니니까요.

궁극적으로는 오아시스에서 멈추듯 편안한 삶을 선택해 살면 좋겠지만, 낙타는 다시 사막이라는 삶속으로 떠나야 합니다. 그렇다면 얼마나 먼 길을 걸어가야만 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낙타로서는 알 수가 없습니다.

그래도 희망이 있는 것은 저 길, 같이 걸어가는 낙타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사막을 묵묵히 함께 걸어갈 수 있는 낙타들이 있다면, 저 황량함 속을 걸어가도 그렇게 불행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시 쓰는 주영헌 드림.

김륭 시인은..

경남 진주에서 태어났습니다. 2007년에 <문화일보> 신춘문예에 시,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동시가 당선되었습니다. 시집 『살구나무에 살구비누 열리고』, 『원숭이의 원숭이』, 『애인에게 줬다가 뺏은 시』, 동시집 『첫사랑은 선생님도 일 학년』, 『앵무새 시집』 등이 있습니다. 지리산 문학상, 동주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덧붙이는 글 | 2022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요, <시를 읽는 아침> 많이 사랑해 주세요. 올 한해, 여러분이 시와 함께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태그:#인곤마핍, #낙타, #김륭시인, #시인의일요일, #나의머랭선생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시 쓰기'보다 '시 읽기'와, '시 소개'를 더 좋아하는 시인. 2000년 9월 8일 오마이뉴스에 첫 기사를 송고했습니다. 그 힘으로 2009년 시인시각(시)과 2019년 불교문예(문학평론)으로 등단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