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소심한 것 같아요. A형이죠?"
"B형 아닌 줄 알았어요. B형은 고집 세잖아요."


살면서 이런 말을 한번쯤 들어본 적 있을 것이다. 소심한 A형, 두루두루 잘 지내는 O형, 고집 센 B형, 천재 아니면 바보 AB형. 누가 언제 만들었는지도 모를 혈액형별 성격 특징을 우리는 생활 속에서 어렵지 않게 접했다. 혈액형별 특징을 두고 어떤 이는 "역시"라고 말하고 어떤 이는 "미신"이라고 믿지 않는다.

시간이 흘러 MBTI가 우리의 일상 속으로 침투했다. 인간의 내적 과정을 에너지의 방향(외향E, 내향I), 사람이나 사물을 인식하는 방식(감각S, 직관N), 판단의 근거(사고T, 감정F), 선호하는 삶의 패턴(판단J, 인식P)과 같이 4가지 선호경향으로 분류하여 보통 총 16가지의 성격 유형을 나타낸다. 혈액형별 성격 특징에 비해 4배로 늘어났으니 한 사람을 판단하는데 MBTI는 정답이 될 수 있을까?

MBTI는 사이언스일까?

각종 SNS에선 MBTI의 결과에 감탄하며 "MBTI는 사이언스다"라는 극찬을 한다. 좋아하는 연예인이 나와 같은 MBTI를 가지고 있으면 왠지 모를 동질감이 들기도 하고, 사람의 겉모습이나 말투만으로 MBTI를 짐작하기도 한다.

하지만 모든 테스트의 결과가 그러하듯 오차와 편차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에너지의 방향에 있어 외향(E)이 51%, 내향(I)이 49%라는 결과가 나왔을 때 이 사람은 외향적인 사람 또는 내향적인 사람으로 단정 지을 수 있을까?
  
실제로 우리가 "이 사람은 어쩜 이리 사교성이 좋을까?", "말발이 진짜 좋다"라는 말을 듣는 사람들도 내향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MC 겸 개그맨인 강호동과 유재석이 그렇다. 수많은 관중 앞에서 마이크를 쥐고 사회를 보는 그 둘의 MBTI를 확인하고는 '의외'라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꽤 될 것이다. 나 역시 그랬다.

서로의 성향을 존중해주는 사회가 돼야

주로 E는 말하기를 좋아하고 활달한 사람, I는 혼자 있기를 좋아하고 말수가 적은 내성적인 사람이라 생각하곤 한다. 또 누군가는 내향적 사람에게 "역시 인프제(INFJ)같더라" "나랑 I는 잘 안맞는데", "요즘엔 E처럼 살아야 돼"라는 말을 서슴없이 한다. 

에너지의 방향에 의해 분류된 선호 경향일 뿐인 외향과 내향에 있어서, 무엇이 우위에 있다고 판단할 권리는 누구에게도 없다. 그저 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성향일 뿐. 세상에 똑같이 생긴 사람이 없듯이 성향도 16가지 종류만으로 설명하기엔 너무나 부족할 것이다.

3분만에 결과를 알 수 있는 MBTI 테스트가 있는가 하면 이제 내 MBTI가 뭔지 모르면 대화에 끼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재미있는 대화 주제가 될지언정 이를 맹신하거나 어느 한쪽을 깎아내리는 일은 경계해야 할 것이다. MBTI 말고도 서로를 알아가는 방법은 무궁무진하니까.

태그:#MBTI, #성격검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때때로 짧은 글을 쓰며 생각을 전하는 보통 사람.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