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공개홀에서 열린 2021 국민과의 대화 '일상으로'에서 국민 패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공개홀에서 열린 2021 국민과의 대화 "일상으로"에서 국민 패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임기를 6개월여 남겨둔 문재인 대통령은 재임 중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이 경제뿐만 아니라 많은 분야에서 크게 상승했다고 평가하며 이를 자신의 가장 큰 성과로 꼽았다. 문 대통령은 "이 자부심이 미래 발전에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KBS가 주관하고 주요 방송사를 통해 생방송된 '국민과의 대화'에서 '임기 중 제일 큰 성과와 아쉬웠던 것은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았다.

"성과라고 하면"이라며 자신 있게 답변을 시작한 문 대통령은 "K-방역을 비롯해서 대한민국의 위상이 아주 높아졌다"며 "경제뿐 아니라 민주주의, 문화, 방역, 보건의료 또는 국방력 심지어 외교, 국제협력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톱10으로 인정받을 만큼 국가위상이 높아졌다는 게 성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가장 아쉬운 것은 역시, 부동산의 문제에서…"라며 잠시 주춤한 문 대통령은 "서민들에게 많은 박탈감을 드리고, 부동산 가격을 안정시키지 못함으로서 무주택자들 ,서민들, 청년들, 신혼부부들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충분히 드리지 못한 것 가장 아쉽다"고 말했다.

"역대 모든 정부와 국민 노력으로 이룬 성취, 부정·폄훼 말라"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공개홀에서 코로나 위기 극복과 관련 방역 ·민생경제를 주제로 진행된 2021 국민과의 대화 '일상으로'를 마친 뒤 현장 패널들과 인사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공개홀에서 코로나 위기 극복과 관련 방역 ·민생경제를 주제로 진행된 2021 국민과의 대화 "일상으로"를 마친 뒤 현장 패널들과 인사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행사를 마무리하면서도 "한 가지 국민들에게 꼭 당부드리고 싶은 말씀은 한국은 정말 자부심을 가질 만 하다는 것"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G7 국가들이 세계적 과제를 논의하는 데에 G7만으론 부족하고 좀 더 넓힐 필요가 있다고 해서 G10 정도로 구성할 경우에 가장 먼저 대상이 되는 나라가 한국"이라며 "자부심을 가져주십사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이어 "제가 이런 얘길 하면 '자화자찬이다' '국민들 삶이 이리 어려운데 무슨 말이냐'는 이런 비판도 있다는 걸 알고 있다"면서도 "이것은 우리의 주관적 평가가 아니라 세계에서 하는 객관적인 평가"라고 말했다.

"자부심을 왜 가져야 하냐면, 지금 우리가 갖고 있는 이 자부심이 앞으로 미래에 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라고 역설한 문 대통령은 "이 성취는 우리 정부만이 이룬 성취가 아니다. 역대 모든 정부의 성취들이 모인 것이고, 결국 오랜 시간동안 우리 국민들이 노력해 이룬 성취"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다시 "2차 세계대전 이후 70년 동안 가장 성공한 나라가 한국이라고 이야기들을 한다"며 "이런 성취를 부정하고 폄훼한다면 우리 정부에 대한 반대와 비판을 넘어서서 국민들이 이룩한 성취를 폄훼하고 부정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도 그런 국가적 위상에 걸맞게 국민들의 삶이 그만큼 향상되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며 "정부가 끝까지 국정을 잘 마무리할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께서 끝까지 힘을 모아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태그:#문재인, #국민과의대화, #톱10, #G10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상근기자. 평화를 만들어 갑시다.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2014년 5월 공채 7기로 입사하여 편집부(2014.8), 오마이스타(2015.10), 기동팀(2018.1)을 거쳐 정치부 국회팀(2018.7)에 왔습니다. 정치적으로 공연을 읽고, 문화적으로 사회를 보려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