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국언론노동조합 주최로 18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프레스클럽에서 '지역언론 포털 제휴 선정 결과와 지역언론 지원 방안 모색'을 주제로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주최로 18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프레스클럽에서 "지역언론 포털 제휴 선정 결과와 지역언론 지원 방안 모색"을 주제로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로부터 제재가 내려진 <연합뉴스>의 부정행위인 홍보성 기사(광고형 기사)의 포털 게재는 포털사의 정기 모니터링과 그 결과에 따른 평가로 지적된 것이 아니다. <연합뉴스> 제재 결정 직후, 20여 개 주요 언론이 기사형 광고 중단을 통보했다. 이번 제제로 CP제휴사를 대상으로 하는 프리미엄 상품이 대거 중단됐다. 이는 광고성 기사가 <연합뉴스> 만의 문제가 아니고 이미 패키지 상품 시장이 형성돼 있을 정도로 만연했던 부정행위였음을 반증한다."

18일 오후 '지역언론과 포털 제휴' 관련 토론회에서 김동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강사가 지적한 말이다.

지난 12일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심사를 통해 9개 권역 중 경기·인천을 제외한 8개 권역에서 8개 언론사가 CP(콘텐츠 제공사업자) 제휴 자격을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총 83개 언론사가 포털로부터 콘텐츠 이용대가를 받게 됐다.

CP제휴는 100점 만점에 80점 이상이어야 가능하나, 그동안 심사에서 80점 이상인 지역언론사는 없었다. 문제는 지역언론사에 관해서는 9개 권역 1사 제휴심사가 아니라 특별심사를 통해 점수기준을 정하고 그 점수를 상회하는 모든 언론사에 순차적으로 제휴할 것을 언론노조가 촉구했지만, 특별심사만 했을 뿐 나머지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셈이 됐다. 또한 콘텐츠 제휴를 맺은 지역언론 사주가 포털 제휴를 무기로 수익성만 추구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 관련해 전국언론노동조합(위원장 윤창현)이 18일 오후 2시 30분 한국프레스센터 프레스클럽에서 '지역언론 포털 제휴 선정 결과와 지역언론 지원방안 모색'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발제를 한 김동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강사(박사)는 "이번 지역언론 특별심사는 상이한 매체를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심사기준을 적용함으로써 특정 매체에 더 유리한, 또는 지역방송의 뉴스제작 역량이 부족한 권역에서 지역신문의 우위가 이미 정해진 상태에서 진행된 심사일 수밖에 없었다"며 "CP제휴란 한국사회에서 네이버라는 사주가 만든 뉴스 플랫폼을 통해 네이버의 사회공간적 권력을 배분받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일반적 시장 경쟁과 달리 CP제휴 언론사는 마치 네이버를 사주로 둔 계열사와 같은 지위를 부여 받는다"며 "네이버는 제휴언론사에게 네이버 뉴스판에 참여시킴으로써 언론사 간 위계를 부여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여기에서 제휴 언론사는 네이버를 통해 얻는 영향력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언론사 명의의 정치, 사회, 문화적 이벤트를 열고 이로부터 금전적·비금전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며 "그래도 가장 많은 이익을 얻는 곳은 다름 아닌 네이버"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심사를 통해 정해진 지역언론 CP제휴사는 도리어 각 권역의 지역 권력들이 집중할 수 있는 사회공간의 장을 만들어 줬다"며 "네트워크 안에서 네이버 제휴라는 평판은 사주이익에 큰 기여를 하게 된다"고도 했다.

특히 "불가피하게 콘텐트 층위에 맞추어진 지역언론 제휴심사 기준과 항목에 대해 전면적이 수정이 필요하다"며 "평가 기준이 변경된다면 일정 기간에 걸쳐 현재 CP제휴를 맺은 83개 언론사에 대한 대대적 재평가를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강력한 진입장벽과 내용 심의를 수행하는 제평위 구성과 권한의 변화가 절박하게 요구된다"며 "포털 권력이라는 불필요한 논쟁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언론현업단체들이 밝힌 저널리즘윤리위원회(가칭) 같은 언론사 통합자율기구에 함께 참여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의 지역언론 제휴 심사의 한계로 ▲지역언론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심사 ▲인쇄매체와 방송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심사 ▲뉴스 콘텐츠의 품질에만 집중된 심사 등을 꼽았다.

"포털을 공적 책무 가진 기업으로 바꾸는 입법 고민 필요"
 
지역언론 포털제휴 선정결과와 지역언론 지원 방안 모색 토론회
 지역언론 포털제휴 선정결과와 지역언론 지원 방안 모색 토론회
ⓒ 김철관

관련사진보기


토론에 나선 이서후 <경남도민일보>기자는 "<경남도민일보> 뉴미디어 콘텐츠가 언론진흥재단 상을 받기도 했는데 그것이 수익구조에서 돌파구를 찾기 힘들었고 결국은 포털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며 "차라리 제평위를 통해 선정 같은 거 하지 말고 일단 다 받아 주고 요즘 잘돼 있는 뉴스검증 기술로 하나씩 걸러내는 방식으로 결정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명래 <경인일보> 기자는 "네이버에 진출하지 못한 사측은 언론노조 싸움에 같이 올라탔는데, 입점이 되면 언론노동자의 시선과 사용자의 시선이 달라진다"며 "인천경기 인구가 1500만의 취재권역을 가졌는데 이번엔 배제됐고 광역단위 지역언론과 기초단위 풀뿌리 지역언론이 구분이 되는데 두 가지를 동일하게 평가해야하는지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기동 대전충남민주언론시민연합 대표는 "이번 심사에서 CP에 들어간 <대전일보>는 지역 유력지지만 달라진 위상만큼이나 수익성보다 공적책무를 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라고 밝혔다.

김위근 퍼블리시 최고연구책임자는 "포털의 뉴스 정책보다 제평위 안에서의 정책이나 이해관계를 바꿀 필요가 있다"며 "6기까지 흘러온 제평위 구성으로 볼 때 지역언론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사람은 없었다"고 말했다. 토론을 진행한 원용진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포털서비스를 공적 책무를 가진 기업으로 바꾸어내는 입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방청석에서 발언을 한 전대식 언론노조 수석부위원장은 "포털은 제평위 심사 시스템을 공개해야 한다"며 "미디어 다양성 기금과 같은 네이버의 공적 책무는 물론, 콘텐츠 제휴 이후의 분기별 평가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심사를 통해 지난 12일 발표한 8개 지역언론사는 국제신문(부산·울산·경남), 대구MBC(대구·경북), 대전일보(대전·충남), KBC광주방송(광주·전남), 강원도민일보(강원도), 전주MBC(전북), CJB청주방송(세종·충북), JIBS(제주) 등이다. 경기·인천 지역은 선정되지 않았다.

태그:#지역언론 포털 제휴, #지역언론 난개발 나선 포털, #뉴스제휴평가위 심사 전면 수정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와 미디어에 관심이 많다. 현재 한국인터넷기자협회 상임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