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한영 가족사진.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이한영의 아내 이화순, 이한영, 이한영의 모 이성녀, 이한영의 아들 이상설.
 이한영 가족사진. 뒷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이한영의 아내 이화순, 이한영, 이한영의 모 이성녀, 이한영의 아들 이상설.
ⓒ 이상설

관련사진보기


"상설아, 얼릉 일어나! 아부지한테 가자. 여기 있다가는 모두 절단나겠다." 이른 아침에 눈을 비비는 상설(1937년 생)이에게 어머니 이화순(1915년 생)이 말했다. 이화순이 새벽부터 서두른 것은 치안대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았기 때문이다. 남편 이한영(1916년 생)은 전날에 이미 몸을 피한 터였다. 

이화순은 젖먹이 상숙(1949년 생)이만 둘러 엎고 고무신을 꿰찼다. 상설도 엄마를 따라 대문을 나섰다. 모자는 이한영이 피신한 충남 아산군(현 아산시) 음봉면 의식리로 발걸음을 옮겼다. 이후 이화순을 만나 마을 분위기를 전해들은 이한영은 한참 만에 결심한 듯 다문 입을 열었다. "나는 돌아가야겠소." "안 돼요!" "잘못한 게 없으니 뭔 일이야 있겠소?"

"무슨 일이 있더라도 공부를 해라"

남편의 고지식함에 아내는 속이 탔다. 그래도 이한영은 막무가내였다. 죽을 죄를 지은 것도 아닌데 마냥 도망다닐 수 없다는 생각이었다. 한참 옥신각신한 부부는 우선 이화순과 상설이 먼저 마을로 돌아가 정황을 살핀 후 이한영에게 기별하기로 했다. 그런데 사달이 나고야 말았다. 이한영이 그새를 못 참고 자전거를 타고 마을로 들어온 것이다.

결국 마을 사람 출입을 살피던 이의 밀고로 이한영은 붙잡혔고 탕정면사무소 창고에 구금됐다. 그곳에 밥을 가져온 아들 상설에게 이한영은 "너는 무슨 일이 있더라도, 공부를 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이한영의 그 말이 유언이 될 줄은 아무도 몰랐다. 그는 구금된 지 며칠 후인 1950년 10월 15일 탕정면사무소 뒷산 비누고개에서 학살됐다. 이한영을 포함한 탕정면 주민 98명이 북한군 부역 혐의로 경찰과 치안대원 들의 총탄 세례를 받았다.

탕정리의 청백리, 나의 아버지 이한영

미군정청으로부터 온 포장 박스를 뜯은 탕정초등학교 교사들의 입에서는 휘파람 소리가 났다. 박스에는 씨레이션(미군 전투식량)이 가득했다. 깡통에는 껌, 과자, 베이컨 등이 담겨 있었다. 1947년 당시 조선인들은 생전 구경 한 번 못해 본 것들이다.

선생들의 손이 재빠르게 움직였다. 어떤 사람은 캔을 두 개 챙겼다. 그런데 누군가의 호통 소리가 났다. "그렇게들 다 갖고 가면 다른 사람은 무얼 갖소!" 매사에 깐깐하기로 소문난 이한영 교사였다. "선생님도 하나 챙기면 돼죠. 또 누가 있다고 그래요?"라고 누군가 대꾸했다. 

"소사는 안 줘요?" "소사요?" 교사들은 벌린 입을 다물지 못했다. 소사는 학교에서 잔심부름을 하는 사람이었다. 선생들은 '소사는 직원도 아닌데'라고 생각하는 게 틀림없었다. "소사도 엄연히 우리 학교의 일꾼이요. 그 양반이 얼마나 힘들게 사는지 모두 알잖소. 그러니 당연히 그에게도 씨레이션을 줘야지요." 그 어떤 교사도 이한영의 말을 반박할 수 없었다.

그렇게 해서 탕정초등학교 소사도 씨레이션 한 박스를 받게 됐다. 이 이야기를 들은 주민들은 "역시 이한영"이라며 칭찬했다. 이미 이한영은 탕정면의 청백리로 소문난 인물이었다.

일제강점기에 이한영은 탕정면사무소에 근무했다. 그런데 공금 횡령 사건이 일어났다. 횡령자들은 공범을 만들기 위해 그 돈을 다른 직원들에게도 나눠줬다. 그때 문제의 돈을 받지 않은 이가 딱 두명이었는데 그 중 하나가 이한영이었다. 결국 횡령 사건은 들통이 났고 직원 대다수가 파면됐지만 이한영은 무사했다.

청렴함으로 이한영은 면민 대다수에게 칭송을 받았지만 그를 질시한 이들도 있었다. 그 중 누군가가 군·경 수복 시에 이한영은 부역혐의로 죽이는 데 앞장섰다. 이한영은 인민군 주둔시기 인민학교 교장을 했는데, 그게 좋은 구실이 됐다.   

이한영이 인민공화국 시절 탕정인민학교(현재 탕정초등학교) 교장을 맡은 데에는 그럴 만한 사정이 있었다. 이한영은 1947년경 주변의 권유로 남로당(남조선노동당)에 가입했다. 하지만 탕정초등학교 내 남로당 조직이 얼마 후 발각됐고 이한영은 학교 책임자로 구속됐다. 면민들의 구명운동 덕에 석방되기는 했지만 이한영은 파면을 면할 수 없었다. 그 일로 2년간 일을 쉰 이한영은 6.25 직전에서야 탕정초등학교 신리분교 교사로 복직됐다. 때문에 북한군 입장에서 이한영은 전향한 국민보도연맹원과는 달리, 신념을 지킨 사람이었다. 

이한영이 죽은 후 얼마 후 아내 이화순도 연행됐다. 그녀는 젖먹이를 업은 채로 10월 31일 면소재지 뒷산 방공호에서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세상으로 갔다. 이한영 집안의 비극은 계속됐다. 1950년 11월 1일 치안대가 탕정면 갈산리에 들이닥쳤고 이한영의 부친 이경호(1894년생)가 연행됐다. 이경호 역시 죽음을 면하지 못했다.

당시 집 나이 14살이던 이상설은 간신히 검거를 피할 수 있었다. "빨리 몸을 피하라"는 할아버지의 말에 장롱 뒤에 숨었던 것이다. 하지만 얼마 안 돼 마을 사람의 밀고로 이상설도 연행되었다. 가족이 몰살한 데 이어 장손 상설까지 연행되자, 할머니 이성녀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이성녀는 탕정면 명암리에 살던 집안 손자 뻘인 이영배를 찾아갔다. 이영배는 전쟁 전에 온양군에서 지서장을 지냈고 여전히 경찰 신분이었다. "우리 손주 좀 살려주게" 읍소하는 이성녀에게 이영배는 "걱정하지 마세요"라고 했다. 

이상설이 잡혀있던 탕정지서를 찾아간 이영배는 지서장에게 고함을 쳤다. "당신도 자식이 있잖소. 14세 애를 죽여서 뭐할라고? 당신이 얘를 죽이면 내가 가만이 안 있을껴!" 효과가 있었던 것일까? 소년 상설은 탕정면사무소 창고에서 걸어나올 수 있었다.

지서장은 그에게 "앞으로 애국하며 살아"라고 훈계했다. 사실 상설은 창고에서 나오면서 '오늘 저 세상으로 가는가 보다'라는 생각에 발걸음이 무거웠다고 한다. 1950년 11월 8일경의 일이었다.

장학재단 설립하고 140억 출연
 
탕정초등학교 졸업식. 둘째줄 좌측에서 2번째가 교사 이한영.
 탕정초등학교 졸업식. 둘째줄 좌측에서 2번째가 교사 이한영.
ⓒ 이상설

관련사진보기

 
부모를 잃은 상설은 할머니 이성녀와 함께 살았다. 상설은 아버지의 유언처럼 무슨 일이 있더라도 공부를 하기 위해서 안간힘을 썼다. 하지만 힘쓸 어른이 없어 머슴을 써서 농사를 지으니 집안 재산이 야금야금 사라졌다. 상설에게 새 학용품은 언감생심이었다. 백로지를 사서 비닐 포대로 표지를 대고 노트를 만들었다. 교과서는 영어, 수학, 과학책만 사고 나머지는 친구에게 빌렸다.

집에서 12km 떨어진 온양중학교를 다니느라 학교에 가면 파김치가 돼 공부를 제대로 할 수 없었다. 상설의 천안공업학교 성적은 우수했고 그는 1956년 한양공대에 합격했다. 그는 대학 생활 내내 입주가정교사 생활을 하며 어렵게 공부해야 했다. 힘든 여건에서 공부하느라 몸은 빼빼 마르고 폐렴이 발병했다.

그렇게 해서 이상설은 1960년에 당당히 남선전기(한국전력의 전신)에 입사하게 된다. 여기에는 사연이 있다. 상설이 남선전기에 1차 합격하자 고향인 충남 아산군 탕정지서에 그에 대한 신원조회 요청이 왔다. 면사무소에 일하던 유한영이 이 사실을 알게 됐고 지서 순경에게 손을 썼다. 순경에게 막걸리를 사주며 "상설이 아버지는 우리 면의 청백리였어. 상설이는 순전히 자력으로 공부해 서울의 대학까지 간 거여. 그 사람 앞길 막으면 당신 벌 받어!"라며 신원조회 무사통과를 부탁한 것이다.

다행히 순경은 신원조회 회신란에 '상설의 부는 남로당원으로 6.25때 처형되었으나, 그의 자는 근면성실하고 애국심이 투철하며, 사상이 양호함'이라고 기록했다. 결국 이상설은 남선전기에 무사히 입사했다.

그는 직장 생활을 하면서도 학업을 이어나갔다. 상설은 변전소에서 근무하며 1965년부터 3년간 석사과정을 밟았고 1974년에는 연세대에서 공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가 되기 1년 전에 회사를 그만둔 그는 광운공대 교수가 되었다. 1975년에는 모교인 한양공대의 교수가 되었다. 그런데 그는 한양공대 교수가 된 지 한 달 만에 프랑스로 유학을 갔다. 파격적인 행보였다. 1977년에 프랑스에서 또다시 박사학위를 따고 한양공대로 돌아와 학생을 가르쳤다. 그는 한양공대 학장(1995~1996년)을 거쳐 2002년도에 정년퇴직했다.

그렇게 이상설은 아버지의 유언을 실천했다. 그는 젊은 시절을 학문 탐구에 바쳤고 85세인 지금은 장학사업에 전 재산을 바치고 있다. 할아버지와 아버지, 자신의 이름 한 자씩을 딴 '호한상 장학재단'을 설립했다. 2021년 현재 호한상 장학재단은 가정 형편이 어려운 아산시 출신 고등학생과 대학생 5명을 선발해 등록금과 생활비를 지원하고 있다. 고등학생은 매월 30만 원, 대학생은 매월 80만 원을 지급한다. 학생들이 돈 걱정하지 않고 공부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이다.

이상설은 장학재단에 두 차례에 걸쳐 140억 원을 출연했다. 독실한 크리스찬인 그는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예수의 말씀을 몸으로 실천하고 있다. 한국전쟁의 아픔을 학문 탐구로 극복하고, 장학사업으로 여생을 보내는 이상설 같은 이가 있어 우리 사회는 살 만한 하다. 

태그:#이한영, #이상설, #탕정면, #호한상 장학재단, #민간인학살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