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예산황새공원 근처 논에서 지난 11일 16번째로 열린 황새방사행사. 황새들이 갇혀있던 좁은 상자 밖으로 나오고 있다.
 예산황새공원 근처 논에서 지난 11일 16번째로 열린 황새방사행사. 황새들이 갇혀있던 좁은 상자 밖으로 나오고 있다.
ⓒ <무한정보> 김수로

관련사진보기


폭이 20㎝ 조금 넘는 직사각형 상자 10개가 일렬로 놓여 있다. 사람 허리 정도 오는 높이다. 정면으로 난 입구는 꽃다발을 붙여 장식하고 밝은색 테이프로 고정했다. 행사장에 입장한 기관단체장 등이 사회자가 호명하는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테이프를 자르자 문이 열리며 상자 안에 있던 황새가 한 마리씩 밖으로 나온다. 

지난 11일 충남 예산군 광시면 대리 예산황새공원 근처 논에서 16번째로 열린 '황새 야생방사 행사' 현장이다. 방사는 멸종위기종인 황새가 야생에 잘 적응해 살아남을 수 있도록 일정 기간 사람의 손길을 거친 뒤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과정이다. 

하지만 황새에게는 꽤 험난하다. 사육장이나 단계적 방사장에서 살다 10분 남짓한 행사를 위해 1시간 전부터 좁은 상자 안에 들어가 현장으로 옮겨지고, 빛이 잘 들지 않는 공간에서 영문도 모른 채 사람들의 말소리와 분주히 움직이는 소리를 듣고 있어야 한다. 황새는 소리에 민감한 특성이 있어 더 고역일지 모른다. 문이 열리면 즉시 낯선 땅을 밟고 날아올라야 한다.

황새생태연구원 누리집에 소개된 '야생 재도입 방법'을 보면 '단계적 방사법(soft release)'과 '자연방사법(hard release)'이 있다. 전자는 방사예정지에 익숙해지도록 일정기간 해당지역에서 사육한 뒤 방사하는 방식이다. 후자는 적응기간 없이 바로 방사해 '상대적으로 개체 사망률을 높이거나 정착률이 낮을 수 있어 지양한다'는 설명이 붙어있다. 이날 우리가 택한 건 자연방사법이다.

예산군도 대술 궐곡리와 덕산 외라리 등에 단계적 방사장을 설치했지만, 이곳에서 방사할 때도 상자에 넣었다가 황새에게는 전혀 필요가 없어 보이는 테이프 커팅 등 '의식'을 치른 뒤 풀어줘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 주된 이유는 전 국민의 관심과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다. 

문화재청이 지원하는 황새복원사업은 한반도에서 멸종됐던 황새를 되살리는 작업으로 국가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고, 황새가 안정적으로 정착해 개체수를 늘려가려면 먹이가 되는 물고기들이 논 등에 많아질 수 있게끔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친환경농업으로 전환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 지금의 방식을 고수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경남 창녕군은 한반도에서 40여년 전 멸종됐던 따오기를 복원해 방사행사를 열 때 야생적응방사장 출입문을 열어두고 자연스럽게 나갈 수 있도록 했다. 

"단계적 방사장을 지을 때 자동으로 지붕 그물이 열리는 등 황새가 스스로 자연으로 나가는 것을 유도할 수 있게 시설을 보완하면 된다. 미리 1~2개월을 사육한 뒤 내보내면 황새가 받는 스트레스가 줄어들고 방사도 한결 쉬워질 수 있다"는 황새공원 김수경 선임연구원의 설명처럼, 우리군도 같은 방법을 도입한다면 그 자체로도 홍보효과를 불러오는 것은 물론 보다 많은 박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예산에서 나고 자란 황새가 야생에서 제 식구들을 계속 늘려갈 수 있게 자연의 품으로 돌려보내는 일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는 지금, 시대의 흐름에 걸맞게 '행사 친화적'이 아니라 '황새 친화적'인 야생방사를 고민할 때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충남 예산군에서 발행되는 <무한정보>에서 취재한 기사입니다.


태그:#황새 방사, #황새 방사 행사, #황새 야생, #예산황새공원, #예산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본인이 일하고 있는 충남 예산의 지역신문인 무한정보에 게재된 기사를 전국의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픈 생각에서 가입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