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9월입니다. 줌 수업으로 인해 학교에 다니는 것과 다니지 않는 게 구분이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그래도 아이들은 방학을 마치고 개학을 했습니다. 새로 시작하는 학기, 어떤 그림책으로 이야기를 나눌까 고민하다 <고래가 보고 싶거든>을 골랐습니다. 

만나는 사람마다 올여름은 유독 더웠다는 말을 잊지 않듯이, 지난여름은 참 더웠습니다. 사실 매년 하는 말이지만, '여름'이라는 계절을 보내는 건 녹록지 않습니다. 그래서일까 여름이라는 계절 동안은 저마다의 '고래'보다는 계절과의 '실랑이'가 더 우선이 되곤 합니다. '코로나'로 여행 다니는 게 쉽지 않은 데도 엉덩이가 들썩이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그러다 아침저녁 태양의 열기가 한풀 꺾이기 시작하면 문득 올해도 벌써 반이 훌쩍 지나버렸다는 생각에 마음이 급해지기 시작합니다. 한 해의 끝이 멀지 않았다는 생각에 올해 하고자 했던 일들을 떠올리게 됩니다. 개학을 맞이한 학생들의 마음이라고 다를까 싶어서 <고래가 보고 싶거든>을 들었습니다.  
 
고래가 보고 싶거든
 고래가 보고 싶거든
ⓒ 문학동네

관련사진보기

   
<고래가 보고 싶거든>은 줄리 폴리아노가 글을 쓰고 에린 E. 스페드가 그림을 그린 그림책입니다. 
 
고래가 보고 싶니? / 그렇다면 창문이 있어야 해 / 그리고 바다도 / 
시간도 있어야 해 /바라보고/ 기다리고  / "저게 고래가 아닐까?" 생각할 시간

책에는 '간절히 기다리는 이에게만 들리는 대답'이라는 부제가 있습니다. 글을 쓴 줄리 폴리아노는 어린이 책에 심취해 평생을 보내다가 뒤늦게 직접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 줄리 폴리아노에게 고래는 그림책이었을까요? 뉴욕 헌책방에서 직원으로 일하다 줄리 폴리아노를 만나 함께 그린 그림책으로,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에 선정된 에린 E 스페드는 어땠을까요? 
 
고래가 보고 싶거든
 고래가 보고 싶거든
ⓒ 문학동네

관련사진보기

 

그림책은 한 소년이 고래를 기다리는 이야기입니다. 텅 빈 창문 앞에 오도카니 앉아있던 소년은 고래를 찾으러 떠납니다. 그런데 이 그림책을 함께 읽고 난 후 소감을 물어보니, 막상 아이들은 고래에서부터 고개를 갸우뚱합니다. 자신에게 고래가 있는지 모르겠다는 것입니다. 선생인 저는 학생이니 공부를 잘하고 싶은 게 고래가 아닐까 하는 도식(?)으로 책을 골랐는데 말이죠. 

'헬리콥터 부모'라는 말도 있듯이 우리 사회에서 부모들은 아이들을 잘 키우는 것이, 자신들이 아이들을 위해 더 나은 교육 과정을 프로그래밍해 주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취업한 자녀가 회사 주변에서 식사할 식당 정보까지 알려줄 정도로 말입니다. 그래서 아이들은 아주 어릴 적부터 주어진 과정을 따라가기에 급급합니다. 그러니 자신의 고래를 떠올릴 새가 있었을까요. 

고래를 찾아가는 여정

아이들과 수업을 하며 간절한 고래에 대한 생각조차도 제 선입견이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책은 마치 그걸 알고 있었다는 듯이 이야기합니다. 저게 고래가 아닐까 라고 생각할 시간이 있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물론 살아가며 자신이 간절히 원하는 무언가를 분명하게 아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어쩌면 우리가 고래를 찾아가는 여정은 내게 '보고 싶은 고래가 있을까?'라고 생각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저건 그냥 새잖아", 깨달을 시간도. 

그러니까 때론 새와 고래를 헷갈릴 수도 있는 거지요. 새와 고래를 헷갈리다니 얼토당토않다고요? 100년을 살지도 못하면서 우리는 늘 천년만년 살 것처럼 행동하잖아요. 관계의 소중함보다는 내 자존심을 앞세우는 거, 눈앞의 이익에 급급해서 내 꿈을 먼 훗날로 미루다 기회를 놓치는 거, 그런 게 다 헷갈리는 거 아닐까요. 
 
고래가 보고 싶거든
 고래가 보고 싶거든
ⓒ 문학동네

관련사진보기

  
<고래가 보고 싶거든>은 고래를 향한 지고지순한 기다림의 과정을 설파합니다. 고래가 언제 올지 모르니, 의자와 담요도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깜박 잠들면 고래를 놓칠 수 있으니 너무 편한 의자는 안된다고 합니다. 어여쁜 분홍색 달콤한 향기를 내뿜는 장미 따위에 시선을 빼앗겨서도 안 된다고 합니다. 팔락팔락 깃발을 나부끼며 가는 배에도 한눈을 팔아서는 안 되겠지요. 

그런데 이상합니다. 그림책의 글밥은 소파에 누워 잠들어서는 안 된다고 하고, 지나가는 배에도, 펠리컨에게도 시선을 빼앗겨서는 안 된다고 하는데, 그림은 달라요. 아이는 새를 보고 고랜가? 하기도 하고, 장미꽃에도, 펠리컨에게도, 하물며 작은 애벌레에게도 관심을 보입니다. 고래를 보려면 바다를 봐야 하는데 하늘 위에 둥둥 떠가는 고래 모양 구름을 보고 있습니다. 

이 글밥과 그림의 어긋남은 무얼 의미하는 걸까요? 어쩌면 그런 어긋남이 진짜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 아닐까요? 고래가 있는지조차 모르는 아이들, 되돌아보면 우리 역시 그렇게 살아왔잖아요. 
 
고래가 보고 싶거든
 고래가 보고 싶거든
ⓒ 문학동네

관련사진보기

   
막연하게 인생을 잘살아 보고 싶지만, 정말 잘 사는 게 무얼까 늘 우리는 헷갈립니다. 공부를 잘하는 게, 등수를 몇 등 더 올리는 게 목표이던 시절을 지나, 사회 정의가 목표이던 때도 있고, 사랑하는 이를 만나는 게 혹은 결혼을 때에 맞춰 하는 게 당면의 과제이던 때도 있었습니다.

어느 시절을 살던, 그 시절마다 우리의 마음을 빼앗는 고래가 있다고 바삐 살아왔지요. 그런데 돌아보면 그게 새이고, 장미꽃이고, 스쳐 지나가는 배였잖아요. 그리고 고래만 찾겠다고 하면서 소파에 기대어 졸던 식의 때는 또 얼마나 많았는지요. 

인생에서 가장 숨 가쁘게 살던 시절 중에 고3 시절이 있는데 지금에 와서 떠올리면 열공의 기억보다는 방과 후 함께 남아서 공부하던 애들이랑 학교 앞 분식집을 들락거리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이야기를 나누던 추억이 먼저 떠오르네요. 대학 시절은 또 어떤가요. 최류탄 냄새가 매캐한 기억은 첫사랑의 아픔과 혼재되어 있지 않던가요.

그래요. 저는 그런 이야기를 아이들이랑 하고 싶었어요. 공부만을 위해 달려야 한다고 다그치는 세상, 초등학교 중학년 쯤부터는 학교를 끝나고 나서 다시 학원으로 달려가는 게 일상이 되는 아이들. 과연 어른들은 온종일 학교에 앉아있다 끼니도 대충 때우고 다시 학원에 가서 밤늦게 까지 공부하며 십여 년을 보내라고 하면 할 수 있을까요? 

인생의 프로그램이 이미 짜인 채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고래'를 찾는 과정 자체가 이 책의 그림처럼 이곳저곳 알짱거리며 가는 과정이라고 말해주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과정에서도 고래를 찾는 열의를 놓지 않는다면, 인생이라는 바다에서 언젠가 고래를 만날 수 있다고요. 한 해의 중반을 넘긴 9월, 여러분은 어떤가요? 여전히 고래가 보이지 않아 조급해진 마음, <고래가 보고 싶거든>과 함께 여유를 가져 보세요.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https://blog.naver.com/cucumberjh에도 게재됩니다.


고래가 보고 싶거든 - 간절히 기다리는 이에게만 들리는 대답

줄리 폴리아노 (글), 에린 E. 스테드 (그림), 김경연 (옮긴이), 문학동네(2014)


태그:#고래가 보고 싶거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