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종석 한국은행 부총재보가 1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21년 6월)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박종석 한국은행 부총재보가 1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21년 6월) 설명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한국은행

관련사진보기

 
코로나19 백신접종 확대 등으로 경제활동이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물가 오름세 압력이 예상보다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10일 공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2021년 6월)'에서 앞으로의 물가 흐름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한은은 "최근 물가 동향과 주요 여건에 비춰 보면, 앞으로 농축산물 가격 오름세는 둔화할 것"이라며 "하지만 국제유가가 지난해 수준을 상당폭 넘어서고 (소비 등) 수요 측 물가압력은 점차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분기(4~6월) 중에는 물가안정 목표 수준인 2%를 웃돌다가, 하반기에는 2% 내외 수준에서 오르내릴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 

최근 미국의 대규모 재정부양책 등에 따라 인플레이션(물가가 전반·지속적 상승) 확대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2008년 이후 최고치(4.2%)를 기록했다. 우리나라도 4~5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각각 2.3%, 2.6%로 높은 수준을 보이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상형 한은 통화정책국장은 "농축산물 가격의 높은 오름세가 지속하는 등 공급 측 요인이 주도했고, 지난해 물가가 낮았던 기저효과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인플레이션 추이 예의 주시할 것"

한은은 앞으로 물가 흐름에 대해 농축수산물 가격 및 원자재 가격 오름세 확대, 코로나19 백신접종 확대 등에 따른 소비 회복세 강화 등이 상승 위험으로 잠재해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수요 부진 심화 등은 물가를 하락시킬 수 있다고 부연했다. 

한은은 "경제활동 정상화 과정에서 수요·공급 측면의 물가 상승압력이 예상보다 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인플레이션 추이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이번 보고서에서 한은은 가계부채 증가세 관련 우려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했다. 2019년 이후 주택가격 오름세와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하면서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이 2018년 말 91.8%에서 2020년 말 103.8%로 크게 상승했다. 

지난해 말 국내 가계부채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중 6번째로 높은 수준이며, 2019년 이후 이 비율의 상승 폭도 노르웨이 이어 2번째로 높다는 것이 한은 쪽 설명이다. 

코로나19와 저금리, 가계빚
 
한국은행
 한국은행
ⓒ 한국은행

관련사진보기

 
다만 한은은 이러한 금융불균형 상황이 0.5%로 사상 최저수준인 기준금리로 인한 부작용으로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박종성 한은 부총재보는 "최근의 자산 투자 확대 등이 전적으로 저금리 때문이라고만 보기는 어렵다"며 "주식시장의 경우 경기 전망과 기업 실적 전망이 호전된 부분이 반영됐다, 주택시장도 저금리 환경뿐 아니라 수급 우려, 가격 상승 기대 등이 복합 작용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코로나19 이후 금리를 많이 낮춘 것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위축을 방지할 필요성이 급선무였기 때문"이라며 "앞으로도 (통화정책으로) 경기 회복을 계속 뒷받침해야겠지만, 최근 투자 관련 위험선호 성향 확대, 가계부채 증가에 대해서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앞으로의 금융불균형 흐름에 대해 한은은 "부동산 등 특정 부문으로의 자금 쏠림은 경기 변동성을 확대하고 성장 잠재력을 약화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면서도 "금융시스템 위험 측면을 보면 현재로서는 금융불균형 누증이 금융시스템 전반의 안정을 훼손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태그:#한국은행, #인플레이션, #물가, #가계부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