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일제 강점기에 미국에 거주하다가 징병됐던 한국인 1589명의 기록이 수집됐다. 징병등록증에는 생년월일, 주소 등 개인신상 기록은 물론 가족관계와 직업, 학력까지 나와 있어, 미주지역에서 독립운동을 했으나 가족관계 불명으로 훈장을 받지 못한 독립유공자의 후손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일인 12월 8일(미국 하와이 시간 12월 7일)을 맞아 미국 연방정부가 작성한 미주 한인 '징병등록증'을 수집했다고 밝혔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이 징병등록증은 제28대 대통령인 우드로 윌슨 정부가 1917년 5월 18일 연방의회가 승인한 '징병법'에 따라 미국 내 거주하는 18~45세의 외국인 남성들을 대상으로 작성한 자료이다.

당시 미국에 거주했던 한인 남성들이 이 법에 따라 1917~18년과 1940~45년에 징병등록증에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정등엽 선생 징병등록증
 정등엽 선생 징병등록증
ⓒ 국가보훈처

관련사진보기

 
국가보훈처는 미주 한인 '징병등록증'이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에 소장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보훈처의 '해외사료 수집위원'으로 활동하는 코스탈 캐롤라이나 대학교 사학과 교수인 브랜든 팔머(Brandon Palmer)에게 수집을 의뢰했었다.

국가보훈처는 "이번에 수집된 총 1,589명의 미주 한인 징병등록증을 분석한 결과, 이 중에서 정등엽(대통령표창)과 박기벽(애족장) 선생이 독립유공자 포상자 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가보훈처은 올해 11월 17일 순국선열의 날까지 독립유공자로 총 1만 6,410명을 포상했으며, 이중 미주지역 독립운동가는 332명이다. 특히 미주지역 독립운동가 포상자 중에 178명이 후손을 찾지 못해 훈장이 전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흥사단 기념촬영 사진, 뒷줄 오른쪽 네 번째가 정등엽 선생
 흥사단 기념촬영 사진, 뒷줄 오른쪽 네 번째가 정등엽 선생
ⓒ 국가보훈처 제공

관련사진보기

 
독립기념관 김도형 연구위원은 "징병등록증을 보면 미주 한인들이 자신을 '한국인'이라고 기재하고 있는데, 이는 일본의 식민지 신민이 아닌 독립국가 한국의 국민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며 "미주 한인들에 대한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가 담겨 있어 향후 독립운동사 및 미주 한인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사료이다"라고 평가했다.

보훈처는 "이번 사료를 기반으로 적극적으로 미주지역 독립유공자 발굴을 통해, 독립운동가 한 분이라도 더 찾아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태그:#징병등록증, #국가보훈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