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마을입구에 들어서기 전 만나는 표지석이다.
▲ 신전마을 입구  마을입구에 들어서기 전 만나는 표지석이다.
ⓒ 박기철

관련사진보기

 
추석을 앞두고 순천시 낙안면에 있는 신전마을을 찾았다. 이 마을은 1948년 10월 19일에 발생한 여순사건에 휘말려 비극을 겪었다. 그 이후로 소위 '추석 없는 마을'이라고 불리며 수십년 동안 추석이라는 명절을 마음 편히 누리지 못했다.

1949년 10월 8일, 그날 

1948년 10월 19일, 여수에 위치한 제14연대 병사들이 제주도(4.3사건) 토벌 명령을 거부하며 무장 봉기한다. 우리가 익히 들어본 여순사건이었다. 무장대는 여수와 순천을 비롯해 벌교와 남원 등 인근 지역까지 진출한다.

하지만 10월 27일 진압군이 여수를 탈환한다. 그렇다고 사건이 끝난 것은 아니었다. 14연대 남은 병사들은 인근 지리산 등지로 입산하여 빨치산 활동을 이어나갔다. 이 기간 전후로 수많은 주민들이 무장대와 토벌대 사이에서 희생되었고 삶의 터전이 파괴되었다.

그중에서도 신전마을 사건은 여순사건의 대표적인 민간인 학살로 알려져 있다. 진실화해위원회의 보고서뿐 아니라 여순사건 관련 다양한 책에서도 이 사건을 다루고 있다. 진실화해위원회 조사 2국에서 작성한 '순천지역 여순사건' 보고서를 중심으로 다른 책의 기술을 참고해 사건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949년, 조용했던 신전마을에 빨치산 무장대가 들이닥친다. 그들은 허벅지에 총상을 입은 한 소년을 마을 사람들에게 맡긴다. 승주읍(당시 쌍암면) 남정리 출신의 문홍주(14세)라는 소년이었다. 무장대는 소년의 부상을 치료해주라고 협박했다.

주민들은 위협이 두렵기도 한 데다 부상 당한 어린 소년을 모른 체 할 수 없어서 받아들인다. 그리고 밥도 주고 상처도 돌봐준다. 그렇게 그 소년은 마을 사람들의 보살핌 덕에 점차 회복되었다.

소년은 상처가 아물자 승주읍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할아버지를 만나러 길을 나섰다. 그러다 인근 마을 아이들과 시비가 붙었다. 이 와중에 소년이 '우리 무리'들을 데리고 와서 혼내 주겠다는 말을 한다.

여기서 우리 무리란 바로 빨치산 부대를 가리킨다. 우연히 근처를 지나던 면서기 서정수가 이 말을 듣고 소년을 붙잡아 경찰서에 넘긴다. 토벌대 15연대는 소년을 취조하여 신전마을에서 있었던 일을 알아낸다.

그해 10월, 마을에 군인들이 왔다. 군인들은 마을 사람들을 모두 마을 공터에 모았다. 그리고 그 소년을 개머리판으로 때리면서 부역자들을 지목하게 했다.

이미 조사 단계에서부터 고문을 당했던 소년은 겁에 질려 손가락으로 마을 사람들을 하나씩 지목했다. 소년이 지목한 사람들은 그 소년에게 밥을 지어주고, 잠자리를 내주고, 간식으로 홍시를 줬던 이들이었다. 군인들은 이들을 빨치산 부역자로 규정했다.

군인들은 소년이 지목한 사람들을 동네에서 가장 큰 집 마당으로 끌고가 총을 쏘았다. 그리고 시신들 위에 기름을 붓고 불을 질렀다. 그 다음에는 마을 집집마다 처마 밑에 불을 놓았다.

30여 가구의 작은 마을에서 이 날 희생당한 사람만 22명이었다. 그 중에는 4살 이하 어린 아이 3명과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도 있었다. 순식간에 마을은 죽음의 냄새로 가득 찼다. 시신 타는 냄새가 사리지지 않아 주변 동네 사람들은 한동안 멀리 돌아서 다니기도 했다. 당시 일부 군인들도 자신들이 너무 심한 거 아니냐며 걱정했다고 한다.

군인들이 물러간 후 시신을 수습하려 해도 한데 모아서 불태운 시신의 형태가 온전할 리 없었다. 가락지나 비녀 등으로 겨우 신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신을 거둬서 묻으려고 해도 삽 한 자루 남아 있지 않을 정도로 마을 전체가 잿더미였다. 결국 이웃 마을 사람들이 와서 시신 매장을 도와주었다.

이 때가 추석 직후인 10월 8일(음력 8월 17일)이었다. 이 날 이후로 이 마을에서 추석은 악몽이 되었고, '추석 없는 마을'이 되었다(진실화해위원회의 보고서에는 음력 8월 17일로 나와 있지만, 일부 자료에서는 8월 16일로 나오기도 한다). 
 
  조용하고 평화로운 곳이지만 수 십년  동안 아픔을 간직하고 있다.
▲ 신전마을 전경  조용하고 평화로운 곳이지만 수 십년 동안 아픔을 간직하고 있다.
ⓒ 박기철

관련사진보기


지워지지 않는 낙인  

희생자들이 정말 빨치산 동조자라고 보기는 어렵다. 총칼 앞에서 누가 그렇게 쉽게 거부할 수 있을까? 이들은 토벌대와 무장대 사이에서 무고하게 희생당한 사람들이다. 이들에게 죄가 있다면 그 시대 그곳에 살았다는 것과 부상당한 소년을 밀어낼 만큼 모질지 못했다는 것이다.

사건 당시 7살이었던 홍동호라는 이가 있었다. 그의 집은 마을에서 제일 컸고 잘 살았다. 그래서 부상당한 소년도 주로 이 집에서 머물렀다. 이 때문에 홍동호의 아버지와 어머니, 누나, 동생까지 살해당했다. 당시 동생은 3살이었다.

앞서 말했던 주민들이 살해당한 후 불태워진 곳이 바로 홍동호의 집 마당이었다. 자기 집 마당에서 일가족과 이웃들의 시신을 본 트라우마는 평생 동안 그를 괴롭혔다.

홀로 살아남은 홍동호의 삶은 파란만장했다. 일가족이 몰살당한 형편에 제대로 된 교육도 받지 못했다. 그리고 연좌제에 걸려 직업도 구할 수 없었다. 넝마주이나 거지생활도 했다고 한다. 이런 비참함을 견디다 못해 세 번이나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했는데 주변을 지나던 등산객이 발견해서 구해주기도 했다. 그러다 몇 년 전 한 많은 삶을 마감했다.

연좌제는 살아남은 수많은 이들을 괴롭혔다. 말 그대로 빨갱이여서 죽은 게 아니라 죽었기 때문에 빨갱이가 되었다. 그리고 살아남은 이들은 빨갱이 가족이 되었다. 그리고 이 낙인은 무서운 공포로 남아 수십 년 동안 입을 틀어막게 했다. 1980년 8월 1일, 공식적으로 연좌제가 폐지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그 낙인을 계속 남겨두려는 이들이 있다.
 
인터넷에서 보던 낡은 파란색 안내판이 아니라 새롭게 단장한 모습이다.
▲ 당시 사건에 대한 안내판 인터넷에서 보던 낡은 파란색 안내판이 아니라 새롭게 단장한 모습이다.
ⓒ 박기철

관련사진보기


잊지 않으려는 노력

진실화해위원회가 활동하던 2009년 즈음에 보수단체들이 여순사건 관련 안내판을 철거하라고 압력을 행사했다. 그리고 순천역 앞에 있던 안내판은 실제로 철거되기도 했다. 그래서 지난 9월 25일, 신전마을을 찾았을 때 제일 먼저 안내판이 아직 있는지부터 확인했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봤던 파란색 안내판은 보이지 않았다.

실망하고 있을 때 마을 입구 버스 정류장 옆에 서있는 안내판을 발견했다. 과거 파란색 안내판만 찾으려고 하다 보니 눈에 띄지 않았던 것이다. 안내판은 새롭게 단장한 모습이었다. 깔끔한 모습으로 서 있는 안내판을 보면서 왠지 모를 안도감이 들었다.

과거에 대해 어떤 이들은 이제 그만 잊으라고 한다. 하지만 어떤 이들은 계속 기억하려고 한다. 우리는 그동안 큰 사건을 겪을 때마다 잊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하지만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우리의 다짐은 참 쉽게 휘발되어 버리다. 그래서 새롭게 단장한 안내판처럼 기억하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을 계속 이어가야 한다. 그리고 그것이 이 글을 쓰는 이유이기도 하다.

[참고 자료]
진실화해위원회, <순천지역 여순사건>
김용옥, <우린 너무 몰랐다 – 해방, 제주4.3과 여순민중항쟁>, 통나무
주철희, <동포의 학살을 거부한다 – 1948, 여순항쟁의 역사>, 흐름

태그:#신전마을, #여순사건
댓글1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